통합대장경

金剛頂勝初瑜伽經中略出大樂金剛薩埵念誦儀

ABC_IT_K1346_T_001
037_0142_b_01L금강정승초유가경중략출대락금강살타염송의(金剛頂勝初瑜伽經中略出大樂金剛薩埵念誦儀)


불공(不空) 한역
유옥영 번역


지금강(持金剛)1)에서 출생(出生)하여
미묘한 의궤[微妙儀]를 열어 펼치시고
간략함과 긴요함으로 진실한 뜻에 계합하신
대비밀주[大密]께 머리 숙여 예를 올리나이다.

유가(瑜伽)2)를 닦고 익히는 이들이
부디 시방세계의 남김 없는
모든 중생계(衆生界)에 대해
이로움과 안락을 주는 마음을 일으키길 바라나니
자성으로 진언(眞言)3)을 성취하려면
다음의 진언을 원하는 만큼 소리 내어 외워라.

옴 살바유아질다 모다바 나야미
唵一薩嚩瑜誐質多二母荅播二合娜夜弭

이러한 마음을 내기만 하여도
모든 장애가 소멸되어
안락과 기쁜 마음을 얻고
저 마군[魔羅]들을 굴복시키나니

곧 모든 여래(如來)들과 동등하게 되어
세간의 사람들과 하늘[世天]이 모두 공양하네.
모든 법에는 자체의 성품[自性]이 없음을 알아
가장 뛰어난 도리인 보리심[勝義菩提]을 통달하네.

자신의 몸[體]을 사유(思惟)하여
보현(普賢:금강살타)4)의 가슴에 달과 같은 모습이 나타나고
몸의 형상[身相]은 공적(空寂)으로 돌아가며
금강저[跛折囉]5)가 용솟음치며 드러나

금강저의 다섯 가닥이 깨끗하고 희게 빛나다가
금강살타와 같은 모습으로 변하여
꾸밈없이 소박한 연화대[蓮臺]에 계시니
다섯 부처님으로 장엄한 관6)을 쓰시고

붉은 옷을 입으시고 등에서 붉은 광명을 내시며
밝고 둥근 원[圓明] 안에 편안히 머문다고 여긴다.
그리고 진언과 자신의 인(印)을
차례대로 수행하고 외운다.

수행자[仁者]는 반드시 반가부좌하되
왼쪽 다리로 오른발을 누르고
오른손 주먹[智拳]은 월륜을 던지듯
가슴 사이에 놓는다.

훔(𤙖)7)자를 심진언(心眞言)으로 삼으며
왼손 주먹[定拳]은 금강만인을 지어 넓적다리 위에 놓고
몸[身]과 말[語]과 뜻[意]을 금강과 같이 하여
조금이라도 기울어지지 말게 하라.

본존(本尊)의 대인(大印)이 이루어지면
다음에는 금강합장[金剛掌]8)을 하여야 하나니
곧게 세워 서로 합하되 손가락의 첫 마디 부분[初分]을 교차하고
다음과 같은 밀언(密言)을 염송하라.

바아란 아리
嚩日囒引若里

이것이 바로 금강박(金剛縛)9)이니
그 진언[明]은 다음에 진술한 것과 같으니라.

바아라 만다
嚩日囒引滿䭾

금강박을 열어 가슴을 밀치듯이 치면서
반드시 다음의 밀언을 염송하라.

바아라 만다 다라 다
嚩日囉二合滿䭾一怛囉二合吒吒半音呼二

다음에는 앞의 금강박(金剛縛) 상태에서
양손 엄지손가락[禪ㆍ智]을 (안으로 구부려) 새끼손가락[檀ㆍ慧] 사이에 놓고서10)
진언을 염송하여 (일체 성인들을) 두루 들어가게 하면
강림(降臨)하실 때마다 가호(加護)하시리라.

바아라 볘샤 악
嚩日囉引二合吠捨一噁二

앞의 계(契)에서 순서를 바꾸지 않고
집게손가락[進ㆍ力]을 (구부려) 양손 엄지손가락 위에 올려놓으면
이것을 삼매권(三昧拳)이라 하니
진언을 다음과 같이 염송하라.

바아라 모-띠 맘
嚩日囉二合引母瑟知二合𤚥

삼매권을 둘로 나누어
왼손은 그냥 (허벅지에) 놓고 오른손은 가슴에 놓고서
몸[身]과 말[語]과 뜻[意]을 금강과 같이 하고
몸의 자세는 처음에 관(觀)할 때의 자세를 따라라.

앞의 금강박 상태에서
왼손 엄지손가락과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맞대어 문(門)처럼 만들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그 안으로 밀어 넣으면
비밀삼매계(秘密三昧契)가 되나니
이 계인을 가슴ㆍ이마ㆍ목ㆍ정수리에 놓고
그때마다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소라다사다범
素囉多薩怛梵二合

금강박을 또 지은 상태에서
양손의 가운데손가락[忍ㆍ願]을 세워 칼의 모양으로 하고
양손의 집게손가락[進ㆍ力]을 칼날의 측면에 닿게 하되
손끝이 첫째마디에 오게 한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왼손 엄지손가락의 끝을 눌러
마치 결가부좌의 모양과 같이 하고서
그 인계를 정수리와 가슴에 놓고
마땅히 비로자나(毗盧遮那:대일여래)부처님의
위엄이 있고 깨끗하고 희게 빛나는 모습을 생각하며
다음 진언을 염송하라.

옴보캄
唵部欠
다음에는 이마에 인계를 놓고
마땅히 아촉비(阿閦鼙:아촉여래)부처님께서
푸른색의 모습으로 그 앞에 계신다고 생각하며
비밀스런 진언구[秘明句]를 염송하라.

바아라 사다바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

다음에 인계를 정수리의 오른쪽에 놓고
그 이름이 보생존(寶生尊:보생여래)이신
황색의 단정하고 근엄하신 모습을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진언을 염송하라.

바아라 라다나
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

인계를 옮겨 정수리 뒤쪽에 놓고
무량수여래(無量壽如來:아미타불)의
붉은색의 빼어난 모습을 생각하며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바아라 달마
嚩日囉二合達磨

또, 인계를 정수리 왼쪽으로 옮기고
불공성취존(不空成就尊:불공성취여래)의
녹색이시고 다섯 부처님과 같은 모습을 생각하며
다음의 비밀스런 진언구를 염송하라.

바아라 갈마
嚩日囉二合羯磨

다음에 보만인(寶鬘印)을 맺나니
정수리에 물을 뿌려[灌頂] 몸을 장엄하고
두 손으로 금강권을 지어
이마 앞쪽을 따라서 돌리고
다시 금강권을 나누어 머리 뒤로 옮긴다.

앞에서와 같이 또한 보만인을 엮고 나서
양손의 새끼손가락[檀ㆍ慧]부터 천천히 풀어
손[羽]을 양 옆으로 내리되
마치 비단허리띠[繒帶]를 드리운다고 생각하며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옴 바아라 마라 볘션자 만 맘
唵一嚩日囉二合麼邏引避詵者二滿三𤚥

왼손과 오른손[定慧羽]을 모두 피고
양손으로 손뼉을 치면 계인이 이루어지나니
모든 성인을 기쁘게 하리라.
다음과 같이 진언을 염송하라.

바아라 도시야 혹
嚩日囉二合一覩使野二合二斛三引

금강만인(金剛幔印)의 진언은
소리를 내지 말고 마음으로 한 번 염송하라.

살범구로 야타소 캄
薩梵矩嚕一野他素上欠二

다시 위의 진언을 두루 갖추어 외우며
금강살타(金剛薩埵)의 관(冠) 위에 계신
다섯 부처님의 색신(色身)이
각기 상응하는 인(印)을 지으시고 편안히 머문다고 생각한다.

두루 비추시는 부처님[薄伽梵]께서는
여래권(如來拳)을 지으시고 머물러 계신다.

다음에는 아축비(阿閦鼙)부처님의 인계를 말하리니
왼손으로 옷깃[衣角]을 잡고
주먹을 쥐어 가슴에 놓으며
오른손[慧]은 의궤대로 촉지인(觸地印)11)을 맺는다.

보생존(寶生尊)은 시원인[施願]을 짓나니
오른손 손바닥[智掌]을 위로 향하게 하여 젖가슴에 닿게 한다.

무량광승인(無量光勝印)을 말하리니
왼쪽 주먹[定拳]은 만인을 지어 연꽃을 들고 있는 듯하고
오른쪽 주먹[慧拳]은 활짝 핀 연꽃 모양으로 한다.
또한 무동불(無動佛)과 같이
오른손은 세 깃발의 모습[三幡相]과 같이 하여
유정(有情)의 고통을 없애 구제하는 것처럼 하고
손바닥이 보이도록 하여 젖가슴 옆에 놓아라.

불공성취인(不空成就印)을 말하리니
또 금강박(金剛縛)을 지은 상태에서
손바닥을 벌려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합하고
양손 새끼손가락은 산봉우리처럼 곧게 세우고
양손의 가운데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넣어
서로 맞닿게 하여 화살모양과 같이 하여라.
이 계인을 가슴과 이마와 목에 놓고
정수리에서도 또한 그렇게 하되
그때마다 심밀어(心密語:心眞言)를 염송하라.


𤚥

대락수심인(大樂隨心印)을 맺어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
앞의 인(印)을 짓고 화살로 가슴을 찌르는 것처럼 하며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혜 마하소 카바아라 살다바 야혜 시아림 마하 소 카바아라
系一摩訶素上佉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夜呬二試仡𡄦三合三摩訶引素上佉嚩日囉二
목카삼매야 마로바라야 바라 모야 모야 소 라다살다범 마나
合目佉三昧耶四摩弩播攞野五鉢囉二合畝𠆙二合畝𠆙六素上囉多薩怛梵三合七摩拏
라가도 명바박 소 도사유 명바박 소 디리 주명바박 소 보사유
囉訖覩二合茗婆嚩八素上覩瑟庾二合茗婆嚩九素上地哩二合住茗婆嚩十素上報瑟庾二
명바박 바가범 나나 니녕다나사다박 살박싣디명 바라
合茗婆嚩二合十一婆伽梵十二曩曩引你𩕳䭾諾薩怛嚩二合十三薩嚩悉地茗十四鉢囉二合
야차이사다박 나가리 시야 바라 베사 삼매예라박 다박
野車翳沙怛嚩二合引十五曩訖哩二合使野二合鉢羅二合吠奢十六三昧裔囉嚩二合䭾縛二
바시가로미 매모나라 만다라 바나 약훔 맘
合引十七嚩試迦嚕弭十八昧畝娜囉二合引十九滿怛囉二合二十跛乃二十一弱𤙖二十二𤚥二十三

斛二十四

모든 존자(尊者)들께서 마땅히 기뻐하시리니
삼매야(三昧耶:本願)를 일깨워 드리려 하면[警覺]
약(弱)자까지 진언을 염송하고 나서
양손의 가운데손가락을 갈고리[鉤] 모양을 만든다.

갈고리를 열고 나서 나머지 심진언을 마치면
본존께서 도량에 강림하시니
성인들께서도 함께 오셔서
지위에 따라 위엄 있게 머무시리라.

양손의 가운데손가락을 서로 끝을 맞대어서
고리처럼 둥글게 하면 삭계(索契)가 되니
훔(𤙖)자를 그 안으로 이끌어 들이고
두 손가락 끝으로 서로 둘러싸면
쇠사슬을 이루어 모든 성인들을 머물게 하나니
몽(懵)자가 그 진언이다.

계인을 위와 아래로 서서히 움직이면
경쇠를 이루어 촉구(斛句) 진언을 외우나니
그 소리가 맑게 퍼져나가
성인들의 마음을 기쁘게 한다고 생각한다.

알가계(閼伽契)를 말하리니
견고한 금강합장[金剛掌]의 상태에서
양손의 가운데손가락을 서로 합하고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갈고리 모양처럼 하고는
양손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의 아래 끝에 닿게 한 후에
인계를 기울이고 옴구(唵句) 진언을 염송하라.

옴가 로목캄 살박달마나마나야 로다반 나다박 다
唵迦引嚕目欠一薩嚩達摩那磨娜語二合二弩多半二合曩怛嚩二合多多半音三

곧 향수(香水)를 받들고
다음의 알가(閼伽) 진언을 염송하라.

바라마소 카샤야 바라리다 미라사나미대라나 마미바가범담 약훔막
跛囉摩素上佉引捨野一婆攞里多二尾邏娑曩弭帶囉曩二合麼弭婆伽梵擔三弱𤙖𤚥
혹 혜혜혜혜 바라 디차 구소 만아리라나 타
斛四呬呬呬呬五鉢囉二合底車上六矩素上滿惹里囉曩二合他七

이마 가까이 향수를 받쳐 올리고
의궤에 따라 성인들을 목욕시키고
앞에서와 같이 관(觀)하여 보름달[滿月]이
단(壇) 가운데 매우 밝게 나타나는데
대성(大聖:金剛薩埵)께서 그 가운데에
금강만인[金剛幔]을 지으시고 머물러 계신다고 여긴다.

다시 4존위(尊位)를 말하리라.
안전(眼箭:欲金剛)께서 대성의 앞에
붉은 색의 의복(衣服)을 입으시고
관(冠)과 머리장식[鬘]으로 장엄하시고
두 손으로 화살을 메긴 활의 시위를 잡아당기시고
금강살타를 우러러보는 모습으로 계시네.

계리계라존(計里計羅尊:觸金剛)께서
흰색의 모습으로 대성의 오른쪽에 머무르며
금강권(金剛拳)을 하고서 두 손을
교차하여 삼매야(三昧耶)12)를 안고 계시네.

뒤에는 이름이 애(愛)금강인 분께서
몸도 옷도 모두 청색이며
두 손은 주먹 쥐고, 오른쪽 팔[慧臂]을 곧게 세우고
팔꿈치를 왼손으로 받들고
두 손으로 함께 마갈당(摩竭幢)을 들고 계시네.

왼쪽에는 이름이 만(幔)금강인 분께서
황색의 모습으로 주먹을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쪽을 향해 약간 머리를 숙이고 계시네.

갈마인(羯磨印)과 진언(眞言)으로 가지하여
금강만인을 지으신 대성(大聖)을
정성스레 모셔 놓고
반드시 심밀언(心密言:心眞言)을 염송하라.


𤙖

다섯 존자의 계인과 진언을 차례대로 말하리라.
안전(眼箭:촉금강)부터 시작하노니
두 주먹을 모두 견고하게 쥐고
활을 당겨 화살을 쏘는 모습을 하면
비밀한 계인의 모습이 되나니
다음과 같은 비밀한 진언[秘明]을 염송하라.
약 바아라 디리 삿디 사 야계 마다
弱一嚩日囉二合地哩二合瑟知二合二娑去野計三麼吒吒半音四

앞에서 같이 두 손은 주먹을 쥐고
가슴에서 엇갈려 팔짱을 끼면
계리계라존(計里計羅尊)의 계인이 되나니
반드시 다음의 구절을 염송하라.

훔 바아라 계리기리 훔
𤙖一嚩日囉二合計利吉麗二𤙖三

또 다음 계인으로 바꾸어야 하나니 앞의 계인에서
오른쪽 어깨를 당기[幢]와 같이 곧게 세우고
왼쪽 주먹으로 팔꿈치를 받치고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면 애금강의 계인[愛契]라 하느니라.

맘 박아리 니 사마 라 라다
𤚥一嚩日哩二合你二娑麼二合囉三囉吒吒半音四

두 주먹을 각각 넓적다리 위에 두고
머리를 왼쪽으로 향해 기울이면
만금강 인계[幔契]의 모습이 되나니
다음과 같은 진언을 염송하라.

혹 바아라 가 몌사박 리 다람
斛一嚩日囉二合迦引冥溼嚩二合哩二怛嚂二合三

다음에는 내공양법(內供養法)을 말하리라.
처음에 동남쪽부터 시작하나니
몸과 옷이 모두 흰색이신 금강묘적열(金剛妙適悅)께는
꽃을 받들어 올린다.

금강적열성(金剛適悅性)은
검은 색으로서, 향로를 들어 바친다.

붉은 색으로 장엄하고 계시는
금강안(金剛眼)께는 등불[燈]을 바친다.

마지막으로 바르는 향[塗香]을 바치는 자리에는
금강대길상(金剛大吉祥)이 계시니
모습 전체가 온통 황색이시네.

다음에는 그 계상(契相)을 말하리라
먼저 양손을 모두 주먹 쥐고 춤추듯이
의궤대로 하면 인계가 이루어진다.

두 손을 금강권으로 쥐고 있다가
두 손을 다 나란히 위로 던지듯이 손가락을 흩어 펴면서
미묘한 꽃[花]을 공양한다고 생각하며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계 바아라 라디
系一嚩日囉二合二囉底三

두 주먹의 손가락을 나란히 아래로 하여 던지듯 뿌리며
향을 사르러 그 향이 구름이나 바다처럼
모든 세계에 두루 퍼진다고 생각하며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마하라다바아리 곡
摩訶囉多嚩日哩二合一斛二

두 손을 주먹 쥐고 양손의 엄지손가락[禪ㆍ智]을 합하여
등불[燈]과 같은 모양을 하고, 반드시 마음으로 움직여
널리 베풀어 불사(佛事)를 한다고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밀언(密言)을 염송하라.

옴바아라 로자녜
唵嚩日囉二合路者寧三

다시 두 주먹을 나란히 포개었다가
가슴을 앞에서 양쪽으로 뿌리면서
미묘한 도향(塗香)을 바르듯이 하며
이 진언을 염송하라.

마하시리 바아라 혜
摩訶室唎二合嚩日哩二合呬引三

외공양법(外供養法)을 말하리라.
네 존자께서 또한 네 간방에 계신다고 생각하여야 하나니
동남쪽에는 이름이 금강희희[喜戱]인 존자께서
두 주먹을 가슴에 대고 계시느니라.

금강소[笑]께서는 서남쪽에 머무시며
두 손을 입가[口傍]에서 뿌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계시고
금강가[歌]께서는 서북쪽에 머무시며
공후(箜篌)를 들고 연주하고 계시느니라.

동북쪽에는 이름이 금강무[舞]인 존자께서
의궤대로 빙 도는 듯한 모습으로 계시니
몸과 옷이 모두 금색이니라.

네 존자의 진언과 인계를 또 말하리라.
두 주먹을 나란히 포개었다가
가슴 두르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이것이 금강희희인[喜戲印]이니
다음과 같은 진언을 염송하라.

계라디바아라 미라사니 다라 다
系囉底嚩日囉二合一尾邏賜你二怛囉二合吒吒半音三

앞에서처럼 인계를 입가에 놓고
양손의 새끼손가락부터 천천히 풀어
손바닥을 펴고 팔을 다 펴면서
미소를 머금으며 진언을 염송하라.

계라디바아라 하세 하하
系囉底嚩日囉二合一賀細二訶訶三

왼쪽 팔[定臂]을 공후(箜篌)와 같이 펴고
양손의 집게손가락[進ㆍ力]을 살짝 구부리고
오른손[慧羽]으로 공후의 줄을 타는 자세를 하면
금강가인[歌]이 되나니 다음의 진언[明]을 염송하라.

계라디바아라 니리 뎨 볘바볘바
系囉底嚩日囉二合一你哩二合諦 吠波吠波

두 주먹을 가슴에서 춤추듯이 돌리다가
정수리 위로 올려서 합하고서 곧 뿌리듯이 풀면
이것을 금강무인계[舞契]의 모습이라고 하나니
다음의 진언구(眞言句) 구절을 말하라.

계라디바아라 니리 뎨 볘바볘바
系囉底嚩日囉二合一你哩二合諦 吠波吠波

네 명의 승지(承旨)가 네 문(門)에 머물고 있으니
그 모습과 자세[形儀]를 다시 말해야 하리라.
처음은 금강구[鉤]를 들고 청색을 하고서
아름답게 장엄하고 그 사이에 머물러 있느니라.

남쪽에는 금강삭[索]을 지니고 모두 황색이며
서쪽에는 금강쇄[鎖]를 들고 온통 적색이며
북쪽에는 이름이 금강경[磬]인데
관(冠)과 만(鬘)을 갖추고 모두 녹색으로 있느니라.

다음으로 네 승지의 비밀한 인계와 진언을
이제 다시 말해야 하리라.
두 주먹의 등을 가까이하고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손등 쪽으로 서로 걸고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쭉 폈다가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조금 구부려서
살짝 걸치면 이것이 금강구인[鉤契]이니
다음과 같이 진언을 염송하라.

바아랑 구셰 약
嚩日𠻴二合矩勢一弱

앞의 인(印)에서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교차하여
손등 쪽으로 손가락 끝을 서로 맞대고
그 가운데를 고리처럼 둥글게 하면 금강삭인[索]이 되나니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라.

바아라 바셰 훔
嚩日囉二合播勢一𤙖二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고쳐 서로 걸고
주먹을 펴서 손등을 서로 벌려서 띄면
금강쇄인[鎖契]의 모습이라 하나니
다음과 같이 진언[密言]을 염송하라.

바아라 향가리 맘
嚩日囉二合餉迦麗一𤚥牟感反二

금강쇄인의 상태에서 손등을 서로 붙이고
움직여 흔들면 금강경인[磬]이 되나니, 다음의 진언을 말하라.

바아라 간뎨 혹
嚩日囉二合健𪘨一斛二

대성인[大聖]께서 장식하고 계신
연화좌[花座]와 의복(衣服)과
나머지 존자들 앞에 나타나는 모든 것들의
색이 모두 그 몸의 색을 따라 같음이라.

특별한 모습으로 많은 덕을 갖추시고
머리에는 다섯 부처님의 화신을 모신 관[五佛冠]을 쓰셨네.
장차 만다라를 건립하려 하나니
먼저 모든 자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달처럼 밝고 둥근 원[圓明]이 나타날 것이니
그 안에 모든 존자께서 계신다고 관하라.
수행자는 반가부좌하고 본존을 향하여 앉아
기쁨이 넘치는 눈으로 우러러 보라.

또 삼매야인을 나타내 보여야 하나니
본존의 삼매야인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그 인계[契]와 진언을
의궤대로 하여 틀리지 않도록 하여라.

나머지 존자들의 삼매야인을 차례대로 맺어서 보여야 하니
또한 안전(眼箭:金剛箭, 欲金剛)13)부터 시작한다.
앞에서 말한 몸을 보호하는
대락수심인(大樂隨心印)의 상태에서

양손의 집게손가락을 완전히 구부려
손가락 끝 부분인 첫마디가 맞은편 손등에 닿게 하고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나란히 그 부분을 누르면
인계의 모양이 완성된다.

여기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왼손 엄지손가락의 위로 가도록
깊이 교차하면 인계가 완성되나니
이것을 계리계라(計里計羅:觸金剛)14)인이라고 하느니라.

다음으로 마갈(摩竭:愛金剛)15)의 모양을 말하리라.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왼손 가운데손가락에 갈고리[鉤]처럼 걸고
왼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왼손 엄지손가락의 끝에 닿게 하고
양손의 약손가락을 펴서 바늘처럼 곧게 세우고서

양손 새끼손가락을 합하여 곧게 세우고
양손 엄지손가락을 나란히 하여
각각 양손의 집게손가락의 옆을 누르면
애금강인의 모양[愛契相]이 되느니라.

앞의 계인에서 순서를 바꾸지 않고
바깥쪽에서부터 넓적다리에 놓되
우선 오른쪽부터 하고 왼쪽도 또한 그렇게 하느니라.16)

내공양법을 또한 밝히리라.
금강합장을 옆으로 비틀어
위로 던지듯 올리면 화인(華印)이 되고
아래로 뿌리듯 손을 풀면 소향인[燒香]이 되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가까이 닿게 하면 등인[燈]이 되며
도향인[塗香]은 가슴 앞에서 두 손을 열어 제치면 됩니다.

금강희희[喜戱]인은 양손을 빙 돌려 예를 올리고17)
금강소인[笑契]은 입 가까이에서
양손의 새끼손가락부터 서서히 푸는 것이니라.

또한 금강가인[歌印]을 맺으니
왼손 집게손가락을 고쳐 약간 굽히고
오른손 집게손가락은 그 사이에서 허공을 향하여 튕기느니라.

왼손은 가타가(佉吒迦)와 같이 하고
오른손은 세 깃발[幡] 모양을 만들어서
가슴에 대어 빙 돌리면 금강무인[舞]이 된다.

8공양법(供養法)18)을 이미 마쳤으면,
다시 금강박(金剛縛)을 맺고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고쳐 약간 구부려
천천히 걸면 금강구인[鉤契]이 되느니라.19)

금강삭인[索]은 반드시 금강박에서 생겨나니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두면
금강삭인이 되며, 또 금강쇄인[鎖]을 맺어야 하나니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각각 붙여 고리처럼 둥글게 하고
맞대고 나서 곧 서로 갈고리처럼 걸면 되느니라.

또 견고박(堅固縛)을 짓고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양손의 새끼손가락을 아래로 내려
가슴에서 흔들어 움직이면
금강경인[磬]이 되니, 이에 4섭(攝) 보살의 인계가 완성되느니라.
삼매야인의 진언[三昧耶眞言]은
앞의 갈마 진언구[羯磨句]와 같으니라.

금강살타(金剛薩埵)께서 계신 곳과
수행자가 있는 곳을
열여섯 분의 존자[十六尊]께서
주위를 둘러싸고 단정하게 머무시니
다음과 같이 금강살타[王]를 찬탄하여
반드시 소리를 내어 염송해야 하느니라.

살바 노라 가소 카사다망 나사 다범 바아라 사다바 바라모소
薩縛引弩囉引伽素上佉薩怛莽二合曩娑去一怛梵二合嚩日囉二合薩怛縛二合跋囉莫素
라다 바바몌마하소 카디리 주뎨야나 바라 디바냐- 싣댜자라
上囉多入二婆嚩冥摩訶素上佉地哩二合住掣野諾三鉢囉二合底跋你也二合悉𠆙者攞
우바라나다
麌鉢囉曩多入四

이러한 금강가(金剛歌)로 인해
대락(大樂)과 대수(大隨)와 애락(愛樂)과
적열(適悅)이 모두 견고해져서
반드시 뜻하는 대로 모두 이루어지리라.

또한 다음으로 염송할 진언은
가장 훌륭하고 진실한 찬탄[最勝真實讚]이니
다만 염송하고 기억하기만 하여도
속히 원만하게 성취시켜 주시리라.

마하소 카 마하라 가 마하바아라 마하다나 마하라나 마하갈마 바
摩訶素上佉一摩訶囉引伽二摩訶嚩日囉二合三摩訶䭾那四摩訶▼(口+娘)那五摩訶羯摩六嚩
아라 사다바 댜싣다몌
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𠆙悉䭾冥七

다음에는 안인(眼印)의 모습을 말하리라.
대성(大聖:금강살타)부터 우선 시작하여
다른 부처님도 각각 따로 우러러 관하여야 하나니
계(契)의 명칭도 또한 다르니라.

수행자는 반드시
금강안(金剛眼)으로 존자를 보아야 하나니
이것이 대적열금강(大適悅金剛)의
불공경오인(不空警悟印)이니라.

반드시 금강살타를 관하여
대염심(大染心)도 함께 일으켜야 하나니
이 인(印)으로 가지(加持)하면
마땅히 속히 성취시켜 주시리라.

오른손은 세 깃발의 모양을 하고
왼손은 가타가(佉吒迦) 모양으로 하여
앞에서와 같이 자신의 가슴 앞에서
춤추는 듯이 하고 나서 꽃을 던지는 것처럼 하고

눈은 반쯤 뜨고 웃는 얼굴로
본존을 우러러 보면
이것이 대적의금강(大適意金剛)의
불공전인(不空箭印)의 상(相)이 되나니
법계의 체성인 지혜를
이것에 의하여 잘 간직할[住持] 수 있느니라.

큰 기쁨이 넘치는 눈으로
본존과 성자들의 모습을 관하면
대적열시인(大適悅視印)을 맺게 되나니
복이 적은 이[少福者]도 또한 성취하리라.

속히 원(願)하여 옆으로 흘겨보는 모습으로
가지하면 크게 성취하고
또 반드시 묘과(妙果)를 증득하여[現證]
의도들을 굴복시키리니[超勝]
대적열금강(大適悅金剛)의
당번장엄인(幢幡莊嚴印)이니라.

눈을 치켜뜨고 천천히 옆으로 흘겨보고
왼손은 가타가(佉吒迦) 모양을 하고
오른손은 세 깃발 모양을 한 후에
앞에서처럼 빙 돌리며 춤추듯이 하고

또 꽃을 던지는 모양을 하면
예인(禮印)이라고 하는 인계가 이루어지나니
삼계(三界)에 있는 사람과 하늘들이
공경하고 반드시 공양하리라.

다음에는 앞의 다섯 가지의 시인(視印)으로
본존을 우러러보며 훔(𤙖)자 진언을 염송하며
금강만인(金剛幔印)을 맺고
나머지는 모두 갈마계(羯磨契)를 맺어서
각기 진언구를 염송하나니
앞의 것과 다름이 없이 하느니라.

대성(大聖)께서 이루신 몸은
법계의 체성인 지혜이시니
앞에서와 같이 탐하고 물든 마음으로 흘겨보는 것이
바로 지금 그대로 원적(圓寂)을 보는 것이니라.

또 눈을 살짝 뜨고
그 속눈썹을 깜박거리며 움직이면
그 이름이 명시(明視)이니라.
이렇게 하여 본존을 청하여
행자의 몸[體]으로 들어오시게 하느니라.

몸과 마음의 애욕과 더러움의 모습으로20)
성자(聖者)를 받들어 모시니
인계의 힘[印力]이 진여(眞如)와 계합하며
지혜의 자성(自性)을 모두 통달하니라.

그로 인하여 금강살타께서 머무시니
이제 이 방편을 닦는 까닭으로
나는 이를 마땅히 증득하고 이루어
교법대로 두루 공양을 올린다고 여긴다.

다음에 물리치고 없애는 인[辟除印]을 맺으니
금강치성일삼매야(金剛熾盛日三昧耶)라고 한다.
양손을 손바닥 안쪽을 향하여 서로 깍지를 끼고
여덟 손가락을 서로 맞대며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펴서 서로 붙여서
금강저와 같이 하고서 손바닥 안쪽을 비운다.
왼쪽으로 돌려 능히 마군[魔]을 물리치고
오른쪽으로 돌려 두루 결계(結界)를 맺으며
천둥이 치는 듯한 소리로 훔(吽)자 진언을 염송하고
뜻하는 대로 인계를 움직여 마군을 결계를 맺는다.

스스로 뛰어난 이해와 사유로
일체의 허공계에
바르는 향[塗香], 등(燈), 음식,
화만(花鬘), 태우는 향[燒香]

의복, 일산[蓋], 당기와 번기[幢幡],
부채[扇], 불자[拂], 노래[歌], 보탁(寶鐸),
미묘한 춤[妙舞]과 궁전 등
의궤에 의해 훌륭한 것들을 공양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이제 변화하여 이루어
모든 성인들께서 모두 수용(受用)하시리니
앞과 같이 옴자(唵字) 진언을
칭송하며 움직인다고 생각하느니라.

눈을 깜박이지 않고 미소 띤 모습으로
사랑하고 좋아하는 마음을 견고하게 하며
성자(聖者)의 몸을 오랫동안 관(觀)하면
금강안(金剛眼)이 이루어지느니라.

본존의 대인(大印)을 지어서 보이면
살타께서 삼마지(三摩地)에 드실 것이니
입술과 이를 서로 합하여
소리를 내지 않고
혀끝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 금강어(金剛語)로 염송하면
모든 교법(敎法)을 성취하여
비로소 욕망이 그치고 없어지리라.

또 의궤대로 공양한다고 생각하면서
옴(唵)자 진언을 소리내어 염송하고
앞에서와 같이 받들어 올리며
백팔 명의 이름으로 찬탄하길
다음과 같은 진언을 소리내어 염송하라.

바라마댜 마하사다바 마하라다 마하라디 사만다바나라 살바 다
跋囉摩𠆙一摩訶薩怛嚩二合二摩訶囉多三摩訶囉底四娑滿多婆娜囉二合五薩嚩引怛
마 바아라 아마 바뎨바뎨 짇다사다바 사마댜아라 바아라
摩二合六嚩日囉二合蘗磨七跛諦跋諦八質多薩怛嚩二合九娑磨𠆙仡囉二合十嚩日囉二
바아라 마하다나 사만다바나라 저리야 아라 마라
合嚩日囉二合十一摩訶䭾那十二娑滿多婆娜囉二合十三折哩野引二合仡囉二合十四魔囉
마라 바라 마나가 살바모디 마하바다 바다바다 아라 아
魔囉十五鉢羅二合末娜迦十六薩嚩菩提十七摩訶勃䭾十八勃䭾勃䭾引仡囉二合十九惹
마아 바아라 훔 가 라 훔 가라 로계사바 라 마니바라
摩惹二十嚩日囉二合吽短迦引囉二十一吽短迦囉二十二路計濕嚩二合囉二十三摩尼鉢囉二
나 마하라 가 마하소카야 가마목카사 마하다나
合娜二十四摩訶囉引伽二十五摩訶掃佉野二合二十六迦摩目佉叉二合二十七摩訶䭾那二十
다리 가 라 싣다리 바바 싣다리야 아라야 다리 로가
八怛哩二合迦引攞卄九悉怛哩三合婆嚩三十悉怛哩野四合仡囉野三合三十一怛哩二合路迦
아라 다리 다 도가 살타 바라 바라 바바미야 가
引仡囉二合三十二怛哩二合䭾引覩迦三十三薩他引二合嚩囉三十四鉢囉二合婆嚩微野二合訖
다 소 소기사마 살도 라산자염 양가마바라 바라
多二合三十五蘇上素佶叉摩三合三十六薩吐二合攞散者焰三十七讓伽摩鉢囉二合嚩囉三十
바라 바뎨 바바 사 가라숟다나 아나 디니다나 전다건다
八鉢囉二合引跛諦二合婆嚩三十九娑引伽囉戍䭾那四十婀那引地你䭾那引典多建多四十
바라 가 살바마싣례 다 기리 다모 나라 유가삼
一鉢囉引迦半音三合薩嚩摩悉體二合多入四十二纈哩二合多畝二合娜囉二合四十三瑜伽三
매약 다다바 사다야 마하마학 다타 가다 마하 싣다
昧藥四十四多怛嚩二合薩多野二合四十五摩訶摩郝四十六多他引伽多四十七摩訶引悉駄四
달마갈마 마하바다 사달마사다갈 마바타 모디짇다 소
十八達摩羯磨四十九摩訶勃䭾五十娑達摩娑多羯二合摩跋他五十一菩提質多五十二素上
모다가 바아라 구로 다 마하구로 다 사바 라바라 라
慕䭾迦五十三嚩日囉二合矩嚕二合䭾五十四摩訶矩嚕二合䭾五十五入嚩二合邏鉢囉二合攞
야나마가 마하미나야 롯사따 아라 로나라 로나라
野那摩脚五十六摩訶微那野五十七弩瑟吒二合引仡囉二合五十八嚕娜囉二合嘮娜囉二合五
기사 잉가라 살바숟디 마하 바나마 바라 아유 바
十九佶叉二合孕迦囉入六十薩嚩戍地六十一摩訶引跋娜摩二合六十二鉢囉二合仡乳二合播
야 마하나야 라가숟디 사마댜아라 미사바 라 가
野六十三摩訶那野六十四囉伽戍地六十五娑摩▼(亭+也)仡囉二合六十六尾濕嚩二合囉引伽六十七
마혜사바 라 아 가 사나다야 니도볘 살바바다 마하라
摩醯濕嚩二合囉六十八阿去迦去舍難多野二合六十九你覩吠七十薩嚩勃䭾七十一摩訶攞
야 미보디시리 미모라아 살바 샤 바리보라가 나마
野七十二尾部底室唎七十三二合尾慕囉惹七十四上薩嚩引舍七十五跛哩布囉脚七十六曩麼
싣뎨 싣도 나마싣뎨 싣도 나모싣뎨 싣도 나모
悉諦二合悉覩二合七十七21)曩麼悉諦二合悉覩二合七十八曩麼悉諦二合悉覩二合七十九曩牟
나마 보아도 한다범 바라 바댜 몌 바아라 사다바
曩莫八十部仡覩二合恨怛梵二合八十一鉢囉二合跛𠆙引冥八十二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
야 싣다만
𠆙八十三悉䭾滿八十四

만약 이 왕의 이름을 찬탄하는
금강과 같은 법어를 지니어 외우면
바라는 것이 반드시 성취될 것이니
그 무엇보다도 빠르게 성취될 것이다.

매일 때마다 소리내어 외우면
모든 죄를 여의고
항상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며
정토(淨土)가 눈앞에 펼쳐지리라.
단지 염송하기만 하여도 많은 복덕이 원만해지고
좋은 일[吉祥]이 더욱 많아지며 지혜[明]가 충만해지라.

이제는 알가계(閼伽契)를 말하겠다.
공양 그릇 끝[器端]으로 인계[印]를 기울이고
머리도 마땅히 따라서 기울이면서
예(禮)를 올린다고 생각하며 옴(唵)자 진언을 외운다.

의궤[儀則]대로 받들어 올려 바치며
본 진언을 염송하라.
발원을 마치고 나면 앞에서와 같이
금강치성일삼매야인[金剛熾盛日]을 맺고

왼쪽으로 돌리면서 결계를 푼다고 생각한다.
또 견고박(堅固縛)을 짓고
양손의 가운데손가락을 바늘과 같이 세워
가슴 앞에 놓고 다음과 같이 진언을 외운다.

옴 가리 도바 살바살다바 라다 싣디라나 다 야타 로가 가
唵一訖哩二合覩嚩入二薩嚩薩怛嚩二合引囉託二合三悉地囉娜二合多四野他引弩伽引伽
차 다범 바다미사염 보나라 가마나야도 옴 바아라 사다바목
車上馱梵二合五勃馱微沙焰六補那囉引伽摩那野覩七唵八嚩日囉二合九薩怛嚩穆十

진언을 염송하고 나면 이마 가까이로 인계를 올리고
가운데손가락 끝부터 서서히 풀면서
모든 성인들께서 환궁(還宮)하신다고 생각한다.
호신인을 맺고는 뜻대로 다니면 된다.
선행법(先行法)을 행하려 하면
하루에 네 번씩 도량에 머물며
1낙차(洛叉:十萬) 만큼 염송하여라.
그렇게 밤낮으로 계속해서 염송하면
모든 존자들께서 옹호하시리니
더욱 힘써 행하여 정근(精勤)하여라.

또 염송문(念誦門)을 말하리라.
4위의(威儀)22)에서 항상 닦아 익히며
앞에서와 같이 모든 중생계에 있는 유정(有情)들을
구제해내기를 발원하며
처음에 말한 보리심밀어(菩提心密語)를 염송하라.

또 반드시 묘적열진언(妙適悅眞言)인
아(婀)자를 염송하며
모든 법은 본래 생기는 것이 아님을 깨달아
처음과 같이 모든 것이 공(空)하다고 관(觀)한다.

밝고 둥근 원(圓明)안에 다섯 가닥의 금강저가[五鋒杵]가
자기의 몸을 성취하여서
금강살타의 진실하신 위의와 같아짐을
분명하고 자세히 관하여라.

오른쪽 다리로 왼쪽 다리를 눌러 반가부좌하고
금강합장을 한 후에
또 견고박(堅固縛)을 짓고는
그 중심을 벌려서 인계 속에 두루 들어가게 하여라.
삼매권(三昧拳)을 지어 또한 이와 같이 하고
금강만인(金剛幔印)을 지어보이고
다섯 부처님의 인계를 맺어 보관(寶冠)처럼 정수리에 놓고
보만인[鬘:寶鬘印]을 맺고는 허리띠를 드리우듯 푼다고 생각한다.

일정하지 않게 손뼉을 치고
삼매계(三昧契)를 지어 옹호하고 지키며
또 이 인(印)으로 존자를 청하면
자신의 몸 안에 강림하시리라.

여덟 가지 공양을 하면 모든 존자들께서 구름처럼 모이시리니
앞에서와 같이 편안히 모시되
모두 대공(大空:阿字)에 의지하여
자리를 펼친다고 반드시 관(觀)하여라.

존자들을 분명하게 배열하고 나면
금강만계(金剛幔契)를 짓고
그 나머지 존자들께도 공양하되
모두 갈마인(羯摩印)을 맺어야 하느니라.

지금 다만 인계의 이름만을 나타냈으나
그 상(相)은 전에 말한 것과 같으니
모두 본진언(本眞言)을 염송하면서
마음으로 공양을 올린다고 생각하여라.

몸과 색(色)이 공하다고 관하는 것이
바로 참되게 본존을 뵙는 것이니
이와 같이 확실하게 알고
결코 의혹을 갖지 말라.
인연으로 화합한 유정(有情)들이
모두 본래 공(空)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깨닫고
다시 본존과 같은 위의를 건립하고
이와 같이 유가(瑜伽)에 머물러라.

무릇 훌륭하게 장엄된 것을 만나
기뻐하는 마음으로 특별하다는 생각에 빠지더라도
그러한 생각을 없애고 모두 다 공하다고 관하여
다시 차례대로 안립(安立)하라.

청정하게 하고나서
본존께 공양한다고 생각하고
옴(唵)자 진언을 부르면
보현보살과 같이 수용하시리라.

또 선행법(先行法)을 말하리니
가는 곳마다 닦고 익히되
1낙차(洛叉) 만큼 염송하고
앞에서처럼 밤낮으로 염송하라.

만약 한 달이나, 두 달,
혹은 보름 동안 오로지 힘써 행하면
놀라운 상(相)이 눈앞에 나타나리니
마음속으로 바라는 대로 성취되나니

만약 부처님의 지위에 오르거나
보살과 본존(本尊)이 되고자 하면
자신의 몸이 저 몸이라고 믿어라.
다만 그렇게 굳게 믿는 것만으로도 곧 증득할 것이니라.
비록 장애가 무거워 수행에 게으름이 있는 자라도
금생(今生)에 곧 얻게 될 것이니
대락(大樂)의 미묘하고 비밀한 수행문을
수행자는 마땅히 존중하고 받들어 행하여야 하느니라.
037_0142_b_01L金剛頂勝初瑜伽經中略出大樂金剛薩埵念誦儀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詔譯稽首禮大密 從持金剛生 開演微妙儀簡要契眞實 瑜伽修習者 願興利樂心十方盡無餘 一切衆生界 莫言性成就隨意稱誦之薩嚩瑜誐質多母答播二合夜弭由纔發此心 滅除一切障 獲安樂悅意超彼衆魔羅 卽同諸如來 世天皆供養知法無自性 達勝義菩提 思惟己體中普賢心若月 身相歸空寂 涌現跛折囉五股潔白輝 變同薩埵貌 質素蓮臺爾五佛用嚴冠 朱衣背赤光 安住圓明內眞言及自印 其次建立之 仁者應半跏左支右足押 智拳輪擲已 用按於胸間𤙖爲心眞言 定拳慢居胯 金剛身語意支分勿傾斜 本尊大印成 次結金剛掌豎合交初分 密言如是稱嚩日蘭若里便爲金剛縛其明如後陳嚩日囉二合滿馱開縛摧拍心應誦密言曰嚩日囉二合滿馱怛囉二合咤半音呼二次前金剛縛 禪智檀慧間 稱遍入眞言降臨每加護嚩日囉引二合吠捨不改次前契 禪智進力加 是名三昧拳眞言如是誦嚩日囉二合母瑟知二合一𤚥分彼拳作二 左慢右安心 身語意金剛形體依初觀 同前縛爲准 智與進如門禪逼於其中 秘密三昧契 印心額喉頂皆誦此眞言素囉多薩怛梵二合金剛縛又陳 忍願成刀狀 進力捻刃側依初第一文 禪押於智端 如結加趺勢印頂心當想 毘盧遮那佛 儼然潔白輝誦此眞言曰唵部欠次當印其額 應想阿閦鼙 色靑處於前稱此秘明句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次按於頂右 其名寶生尊 黃色相端嚴眞言如是誦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擧置在頂後 無量壽如來 色赤殊特儀稱此眞言曰嚩日囉二合達磨復至於頂左 不空成就尊 綠色五佛同誦此秘明句嚩日囉二合羯磨次作寶鬘印 灌頂以嚴身 用二金剛手額前遂縈繞 復分拳腦後 如前又繫鬘自檀慧徐開 以羽兩傍下 若垂繒帶想誦次後眞言嚩日囉二合麽邏避詵者滿𤚥定慧羽皆舒 俱拍契成就 能悅一切聖眞言如是稱嚩日囉二合一睹使野二合二三引金剛幔印明默心誦一遍薩梵矩嚕野他素復具明如上 金剛薩埵冠 以五佛色身安住相應印 遍照薄伽梵 契住如來拳次陳阿閦鼙 定羽持衣角 成拳按心上慧觸地如儀 施願寶生尊 智掌仰當乳無量光勝印 定拳幔執蓮 慧拳以敷花又如無動佛 智羽三幡相 如拔濟有情揚掌於乳傍 不空成就印 又作金剛縛開掌禪智合 檀慧直如峯 忍願入於掌相合如箭狀 印心額及喉 於頂亦如之皆用心密語𤙖大樂隨心印 用結護己身 前印箭刺心誦後眞言句摩訶素佉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夜呬試仡𡄦三合三摩訶嚩日囉二合目佉三昧耶摩弩播攞鉢囉二合畝二合畝多薩怛梵三合七摩拏囉訖睹二合茗婆嚩睹瑟庾二合茗婆嚩二合住茗婆嚩報瑟庾二合婆嚩二合十一婆伽梵十二曩曩你𩕳馱諾薩怛嚩二合十三薩嚩悉地茗十四鉢囉二合車翳沙怛嚩二合引十五曩訖哩二合使野二合鉢羅二合吠奢十六三昧裔囉嚩二合二合引十七嚩試迦嚕弭十八昧畝娜囉二合引十九滿怛囉二合二十跛乃二十一弱𤙖二十二𤚥二十三二十四諸尊當適悅 警覺三昧耶 誦至弱字明忍願如鉤狀 開鉤已心畢 本尊降道場衆聖亦同臻 依位儼而住 忍願便相拄如環索契成 𤙖字羂入之 二度極相繞鎖成止諸聖 懵字是其明 上下徐動搖罄成稱斛句 念其音淸暢 能悅衆聖心閼伽契乃陳 堅住金剛掌 忍願遂相合進力若鉤形 禪智捻其根 側印稱唵句唵迦嚕目欠薩嚩達摩那磨娜二合二弩多半二合曩怛嚩二合多半音三便捧其香水 稱後閼伽明跛囉摩素捨野婆攞里多尾邏娑曩弭帶囉曩二合麽弭婆伽梵擔弱𤙖𤚥斛呬呬呬呬二合底車上六矩素滿惹里囉曩二合近額奉獻之 如儀浴衆聖 依前觀滿月皓白現壇中 大聖處於閒 契住金剛慢復陳四尊位 眼箭在其前 色赤衣服然冠鬘以嚴飾 二羽彎弓矢 瞻矚薩埵儀計里計羅尊 色白居其右 金剛拳二羽交抱三昧耶 於後愛爲名 形服皆靑色二拳豎慧臂 肘以定羽承 共執摩竭幢於左名爲慢 色黃拳在胯 向左小低頭羯磨印眞言 加持諦安立 大聖金剛慢應誦心密言𤙖諸尊次復陳 自眼箭爲始 二拳各堅固彎弓放箭儀 密契相已成 秘明如後誦嚩日囉二合地哩二合瑟知二合二野計麽咤咤半音四准前拳二羽 交臂抱於胸 計里計羅尊當誦此後句𤙖嚩日囉二合計利吉麗𤙖又改次前印 慧臂直如幢 定拳承肘閒誦明名愛契𤚥二合娑麽二合咤半音四二拳各居胯 以頭向左傾 幔契相遂成眞言如後誦嚩日囉二合冥濕嚩二合怛㘕二合三次陳內供養 初起東南隅 捧花形服白金剛妙適悅 金剛適悅性 色黑執香鑪金剛眼獻燈 色赤嚴飾爾 末爲塗香位金剛大吉祥 形質皆以黃 次陳其契相俱先二拳舞 如儀遂結成 以二金剛拳相竝上擲散 想妙花供飬 眞言如後稱嚩日囉二合二囉底普拳乃下擲 念焚香雲海 普遍於一切誦如後眞言摩訶囉多嚩日哩二合一二拳禪智合 如燈應運想 廣施爲佛事密言如是稱唵嚩日囉二合路者寧竝覆其二拳 依胸兩向散 若妙塗香勢當誦此眞言摩訶室唎二合嚩日哩二合外供養諸尊 四隅又存想 東南名喜戲二拳以當心 笑處於西南 二羽口傍散歌居於西北 彈執其箜篌 東北舞爲名如儀旋轉勢 形服皆金色 眞言契又陳覆竝於二拳 繞心應右轉 是名喜戲印其明如後稱系囉底嚩日囉二合一尾邏賜你怛囉二合咤半音三如前印口傍 自檀慧徐散 揚掌極舒臂含笑誦眞言系囉底嚩日囉二合一賀細訶訶定臂如箜篌 改進力微屈 慧羽彈絃勢爲歌誦其明系囉底嚩日 囉二合一擬諦諦諦二拳舞於心 頂上合便散 其名舞契相眞言句遂陳系囉底嚩日囉二合一你哩二合諦吠波吠四承旨居門 形儀復當演 初持鉤靑色嚴麗處於間 南攜索皆黃 西執鎖尚赤其北名爲磬 具綠色冠鬘 秘契及眞言復次今當設 二拳背應逼 檀慧反相鉤進力皆極舒 又稍屈進度 微招是鉤契其明如後稱嚩日啷二合引矩勢前印進力交 反以頭相拄 其中如環索稱誦後眞言嚩日囉二合播勢𤙖改進力相鉤 開拳背交辟 遂名鎖契相密言如是稱嚩日囉二合餉迦麗𤚥牟感反二如鎖背相著 動搖磬明曰嚩日囉二合健𪘨大聖所嚴飾 花座及衣服 幷餘見前尊其色隨身相 殊形具衆德 首戴五佛冠將建漫茶羅 諸位先存想 月輪圓明現其中觀念之 半加面本尊 適悅目瞻仰又宣三昧印 本尊前所陳 彼契及眞言如儀勿差謬 餘尊次當設 亦眼箭爲初准前所護身 大樂隨心印 極屈其進力初分背相著 禪智竝押之 契相當成就以禪押於智 深交印乃成 名計里計羅次陳摩竭相 進鉤於願度 力掘其智端戒方舒成鍼 檀慧合而直 禪智自相竝各押進力傍 愛契相已成 不改次前印從外觸其股 先右左亦然 內供養又明側綟金剛掌 上擲爲花印 下散成燒香禪智逼爲燈 塗香依胸啓 喜戲旋轉禮笑契近口傍 自檀慧徐開 又結其歌印改力度微屈 進虛撥於間 定羽佉咤迦慧作三幡相 當心乃旋舞 八供養已周復結金剛縛 改進度微屈 徐招是鉤契從縛索當生 禪度智力間 印成又爲鎖環進禪智力 捻已便相鉤 又作堅固縛禪智戒方下 當胸遂搖動 爲磬四攝成三昧耶眞言 同前羯磨句 金剛薩埵位及行者所居 皆有十六尊 圍遶端嚴住讚王如後述 應當稱誦之薩縛弩囉伽素佉薩怛莽二合曩娑去一怛梵二合縛日囉二合薩怛縛二合跋囉莫素囉多入二婆嚩冥摩訶素佉地哩二合住掣野諾鉢囉二合跛你也二合悉者攞麌鉢曩多入四由此金剛歌 大樂隨愛樂 適悅皆堅固當得如意成 又誦次所陳 最勝眞實讚能纔稱念故 速令悉地圓摩訶素摩訶囉摩訶嚩日囉二合三摩訶馱那摩訶那摩訶羯摩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悉馱冥次陳眼印相 自大聖爲先 餘各異觀瞻契名亦分別 行人復應以 金剛眼視尊大適悅金剛 不空警悟印 當觀薩埵際兼興大染心 由此印加持 當速疾成就慧作三幡相 定羽佉咤迦 如前當自心舞畢擲花勢 目半開笑面 瞻仰於本尊大適意金剛 不空箭印相 法界體性智由此能住持 大適悅目觀 本尊聖者貌大適悅視印 少福者亦成 速願眄爲容加持大成就 復當令現證 超勝外道流大適悅金剛 幢幡莊嚴印 揚眸徐顧眄定作佉咤迦 慧當結三幡 如前旋舞相亦作擲花勢 其名禮印成 三界諸人天恭敬當供養 次前五種視 本尊𤙖字明金剛幔印幷 餘皆羯磨契 各誦眞言句如前無復殊 大聖所成身 法界體性智如前貪染顧 圓寂今睹之 又以眼少開其睫當瞤動 彼名曰明視 用此請本尊遍入己體中 身心愛染相 奉事於聖者印力契眞如 智自性皆達 薩埵因之住今修此方便 故我當證成 依教供養周次用辟除印 金剛熾盛日 三昧耶爲名二羽內相叉 八度互著掌 舒禪智面合如杵乃虛拳 左轉能辟魔 右旋遍結界吽聲若雷震 隨意爲提防 自勝解思惟一切虛空界 塗香燈飮食 花鬘及燒香衣服蓋幢幡 扇拂歌寶鐸 妙舞幷宮殿殊勝供養儀 我今變化成 衆聖皆受用如前唵字句 稱誦運想之 不瞬微笑容堅固愛樂意 夂觀聖者體 金剛眼乃成本尊大印陳 薩埵三摩地 脣齒應俱合金剛語離聲 不大動舌端 能成諸教法方欲止息除 復想供養儀 幷稱唵字明如前當奉獻 一百八名讚 次當稱誦之跛囉摩摩訶薩怛嚩二合二摩訶囉摩訶囉底娑滿多婆娜囉二合五薩嚩怛摩二合六嚩日囉二合蘖磨諦跛諦質多薩怛嚩二合九娑磨仡二合十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十一摩訶馱那十二娑滿多婆娜囉二合十三折哩野引二合二合十四魔囉魔囉十五鉢羅二合末娜迦十六薩嚩菩提十七摩訶勃馱十八勃馱勃馱仡囉二合十九惹摩惹二十嚩日囉二合二十一迦囉二十二路計濕嚩二合二十三摩尼鉢囉二合二十四摩訶囉二十五訶掃佉野二合二十六迦摩目佉叉二合二十七摩訶馱那二十八怛哩二合二十九悉怛哩三合婆嚩三十悉怛哩野四合仡囉野三合三十一二合路迦仡囉二合三十二怛哩二合三十三薩他引二合嚩囉三十四鉢囉二合婆嚩微野二合訖多二合三十五素佶叉摩三合三十六薩吐二合攞散者焰三十七讓伽摩鉢囉二合嚩囉三十八鉢囉二合引跛諦二合婆嚩三十九伽囉戍馱那四十娿那地你馱那典多建多四十一鉢囉半音三合嚩摩悉體二合入四十二纈哩二合多畝二合二合四十三瑜伽三昧藥四十四多怛縛二合多野二合四十五摩訶摩郝四十六多他伽多四十七摩訶悉馱四十八達摩羯磨四十九摩訶勃馱五十娑達摩娑多羯二合摩跋他五十一菩提質多五十二慕馱迦五十三嚩日囉二合矩嚕二合五十四摩訶矩嚕二合五十五二合邏鉢囉二合攞野那摩腳五十六摩訶微那野五十七弩瑟咤二合引仡囉二合五十八嚕娜二合嘮娜囉二合五十九佶叉二合孕迦囉入六十薩嚩戍地六十一摩訶跋娜摩二合六十二二合仡乳二合播野六十三摩訶那野六十四伽戍地六十五娑摩仡囉二合六十六尾濕嚩二合六十七摩醯濕嚩二合六十八阿去迦舍難多野二合六十九你睹吠七十薩嚩勃馱七十一摩訶攞野七十二尾部底室唎七十三二合慕囉惹七十四上薩嚩七十五跛哩布囉腳七十六曩麽悉諦二合悉睹二合七十八曩麽悉諦二合悉睹二合七十九曩牟曩莫八十部仡睹二合怛梵二合八十一鉢囉二合跛八十二嚩日二合薩怛嚩二合引八十三悉馱滿八十四若持此讚王 金剛法語誦 所樂當成就速疾無與倫 每日應及時 稱已離諸罪常脫一切苦 淨土當現前 纔誦衆福圓增吉祥明盛 復陳閼伽契 側印於器端首應亦隨傾 想禮稱唵句 捧獻如儀則誦其本眞言 發願畢結前 金剛熾盛日左旋想解界 又作堅固縛 忍願堅成鍼當心誦明曰訖哩二合睹嚩入二薩嚩薩怛嚩二合引囉託二合三悉地囉娜二合野他弩伽伽車馱梵二合五勃馱微沙補那囉伽摩那野睹嚩日囉二合九薩怛嚩穆句畢近額上 自鋒乃徐開 想衆聖還宮護身隨所適 欲求先行者 四時處道場誦滿一洛叉 次晝夜持念 諸尊當覆護然加行精勤 又演念誦門 四威儀修習如前願拔濟 無餘界有情 亦誦初所陳菩提心密語 又當稱娿字 用妙適悅言了諸法不生 如初住空觀 圓明五鋒杵及成就己身 同薩埵眞儀 分明諦觀想半跏右押左 金剛掌遂合 堅固縛又陳開心遍入印 三昧拳亦爾 金剛慢印施五佛印寶冠 繫鬘垂帶想 參差當拍掌三昧契護持 又此印請尊 降於己身內八供養雲集 如前安立之 皆依於大空布位當觀念 分明羅列已 金剛慢契陳其餘供養尊 皆用羯磨印 今但標契號其相前所申 皆誦本眞言 幷運心供養觀身色空已 是眞睹本尊 如斯勝解之決定無疑惑 因緣有情類 悟本皆成空復建同尊儀 如是瑜伽住 凡遇莊嚴事悅意殊特流 泯彼皆觀空 復次再安立皆成淸淨已 想供養本尊 幷稱唵字明同普賢受用 又陳先行法 隨處而修習數滿一洛叉 如前晝夜誦 若專精一月兩月或半月 警相當現前 隨意求成就樂登諸佛位 菩薩及本尊 信已卽彼身纔決定便證 雖障重懶惰 此生速獲之大樂微密門 仁者應尊奉金剛頂勝初瑜伽經中略出大樂金剛薩埵念誦儀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집금강신(執金剛神)이라고도 하니, 손에 금강저(金剛杵)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다. 밀교(密敎)에서는 부처님의 신(身)ㆍ구(口)ㆍ의(意) 3밀(密)의 위신력을 상징한다.
  2. 2)진언을 수행하는 자의 모든 작용이 부처님의 모든 작용과 상응하여 합치하는 것을 말한다.
  3. 3)고려대장경에는 ‘막언(莫言)’으로 되어 있으나, 의미상 신수대장경의 ‘진언(眞言)’을 따라 번역한다.
  4. 4)보(普)는 모든 곳에 널리 미친다는 뜻이고, 현(賢)은 가장 묘하고 뛰어나다는 뜻이다. 대비(大悲)의 행을 닦는 보살로, 밀교에서는 금강살타와 동체로 여긴다.
  5. 5)원음은 vajra로, 발사라(跋闍羅)ㆍ벌절라(伐折羅)ㆍ발왈라(跋曰羅) 등으로 음역하고, 금강저(金剛杵)ㆍ견혜저(堅慧杵) 등으로 의역한다.
  6. 6)오불보관(五佛寶冠)을 말한다. 금강계의 대일여래(大日如來)가 쓰는 보관으로, 다섯 부처가 있어 5지(智)의 원만(圓滿)함을 상징한다.
  7. 7)고려대장경 원문에는 글자가 불명확하여, 신수대장경을 참고로 교정한다.
  8. 8)귀명합장(歸命合掌)이라고도 한다. 열 손가락을 합하여 그 첫 마디를 교차하여 세우는 결인(結印)이다. 본존에 대한 수행자의 견고한 믿음을 나타낸다.
  9. 9)양손을 합쳐 각 손가락을 단단하게 깍지 낀 수인(手印)을 말한다.
  10. 10)밀교에 있어서 인상(印相)을 나타낼 때 양손 열 손가락의 다른 이름이다. 오른손의 엄지를 선(禪:定), 검지를 진(進), 중지를 인(忍), 약지를 계(戒), 새끼손가락을 단(檀)이라고 부르며, 왼손의 엄지를 지(智), 검지를 력(力), 중지를 원(願), 약지를 방(方), 새끼손가락을 혜(慧)라고 이름한다.
  11. 11)왼손은 주먹을 쥐어 배꼽 위에 대고 오른손은 땅으로 드리우면서 손바닥을 안으로 향(向)하여 다섯 손가락을 펴는 결인이다.
  12. 12)여기서 삼매야는 불ㆍ보살의 본래 서원을 표시하는 소지물인 삼매야형(三昧耶形)을 말한다. 촉금강은 손에 오고(五鈷)를 들고 있다고 한다.
  13. 13)5비밀(秘密) 보살 가운데 하나로, 금강전이라고도 한다. 또한 4금강의 하나로, 욕금강이라고도 한다.
  14. 14)5비밀 보살 가운데 하나로, 촉금강이라고 한다. 혹은 계리길라라고 한다.
  15. 15)5비밀 보살 가운데 서방의 보살로, 마갈당(摩竭幢)이라고도 하니, 좌우에 당(幢)을 집고 있다.
  16. 16)금강욕자재(金剛欲自在), 혹은 만금강(慢金剛)의 인계에 대한 설명이다.
  17. 17)여기서부터는 외공양법(外供養法)을 설명하고 있다. 외공양에는 금강희희(金剛嬉戱)ㆍ금강소(金剛笑)ㆍ금강가(金剛歌)ㆍ금강무(金剛舞) 등이 있다.
  18. 18)위의 4내공양과 4외공양을 합하여 8공양이 되는 것이다.
  19. 19)여기서부터는 4섭(攝) 보살에 대한 설명으로, 금강구(金剛鉤)ㆍ금강삭(金剛索)ㆍ금강쇄(金剛鎖)ㆍ금강경(金剛磬)의 인계를 차례로 설명하고 있다.
  20. 20)『대락금강살타수행성취의궤(大樂金剛薩埵修行成就儀軌)』에는 “몸과 마음의 애욕과 더러움을 모두 없애고[盡身心愛染]”라고 되어 있다.
  21. 21)고려대장경 원문에는 “曩麼悉諦二合悉覩二合七十七”이 결락되어 있다. 신수대장경을 참고로 교정한다.
  22. 22)수행자가 생활에서 갖추어야 할 네 가지의 몸가짐인 행(行)ㆍ주(住)ㆍ좌(坐)ㆍ와(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