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_IT_K1310_T_001
-
036_0979_a_01L금강정연화부심염송의궤(金剛頂蓮華部心念誦儀軌)
불공(不空) 한역
김영덕 번역
보현보살과 금강수보살과
연화수(蓮花手)보살에게 귀명하여
예를 드리오며 유가(瑜伽) 수행하는
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응당 삼보를 예경하여야 한다.
장궤(長跪)1)하고 연장(蓮掌)을 합하고
성중에 대하여 운심(運心)2)하고
죄를 고백하며 수희(隨喜)하라.
다음에 일체의 법은
티끌과 더러움을 멀리 여의었다 관하고
이 진언을 송해야 한다.
기계(器界)3)는 모두 청정하다.
땅을 정화하는[淨地]4) 진언으로 송한다.
옴 라유 바가다 살바달마5)
唵 囉儒引波誐哆引入薩嚩達摩引入聲呼
다음에 3업을 깨끗이 하고
법은 본래 청정하다고 관해야 한다.
이 진언의 명(明)을 송하면
3업은 모두 청정하게 된다.
몸을 청정하게 하는 진언[淨身眞言]을 송한다.
사바 바 바슏다 살바달마6)
娑嚩二合婆引嚩秫馱引入薩嚩達摩引入
이 진언으로 말미암아
그 몸이 법기(法器)7)로 된다.
허공의 부처님을 관함에
두루 가득하신 것이 마치 참깨 꼬투리와 같다.
곧 변조(遍照)8)의 진언을 송하니
역력하고 자연스럽게 모든 부처님을 본다.
[비로자나]부처님을 관하는[觀佛] 진언으로 송한다.
캄바아라 다도9)
欠嚩日囉二合馱覩
훔(吽)10)자를 마음에 상상하니
변하여 오고저(五股杵)11)로 된다.
반드시 몸 가운데 두루하여 티끌의 수와 같은
금강살타로 된다고 상상해야 한다.
금강장(金剛掌)으로서 팔을 펴고
전신을 땅에 붙여 예배하라.
몸을 바쳐 법계에 가득하게 하고
아촉존(阿閦尊)12)께 봉헌하며,
극진하게 예하고 제불을 섬겨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포자 바살타 나야 다마 남니리야 다야 미살바
唵 薩嚩怛他引誐多布儒引波薩他二合曩也引怛摩二合引喃儞哩耶二合多夜引弭薩嚩
타타가다바아라 사다바 딛-따 사바 맘훔13)
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地瑟咤二合娑嚩二合𤚥吽
다음에 다라(怛𠸪二合)14)자가 이마 위에서
금강보(金剛寶)로 된다고 관상하며
몸이 보배의 모습으로 된다고 상상하라.
몸 안에 티끌처럼 많은 숫자의
금강장(金剛藏)을 이룬다고 관상하며
온몸으로 이마를 조아려 예를 올리라.
금강장(金剛掌)을 심장에 대고
보생존(寶生尊)께 봉헌하라.
가없는 국토에서 머리에 5불(佛)의 관(冠)을 쓰고
일체의 불정(佛頂)15)에 뿌린다고 관상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살바다타 가다포자 비세가야 다마 남니리야 다야미살바다타
唵薩嚩怛他引誐多布惹引毘曬迦耶引怛麽二合喃儞哩耶二合引多夜弭薩嚩怛他引
가다바아라 라다나 비신차맘다라16)
誐多嚩日囉二合引囉怛曩二合引毘詵者𤚥怛𠸪二合
입에 하리(紇哩)17)자를 관하고
곧 여덟 잎의 연꽃을 상상하라.
나의 몸이 연꽃으로 된다고 관하며
몸 가운데에 티끌처럼 많은 수(數)가
금강법(金剛法)을 이룬다고 상상하고
온몸과 입으로 예를 올려라.
금강장(金剛掌)을 정수리에 두고
무량수존(無量壽尊)께 봉헌하라.
모든 부처님 모이신 곳에 두루 참석하여
법륜 굴리시기를 청한다고 관상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살바다타 가다포자바라 바리다 나 야 다마 남니리 야 다
唵薩嚩怛他引誐多布惹鉢囉二合嚩哩多二合那引耶引怛麽二合喃儞哩二合耶二合引多
야 미살바다타 가다바아라 달마 바라 바리다 야맘하리18)
耶引弭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達麽引鉢囉二合嚩哩多二合耶𤚥紇哩二合
아(噁)19)자가 정수리에서
변하여 업금강(業金剛)이 되고
몸이 업금강이라고 관하라.
몸 가운데에 티끌처럼 많은 수량이
모두 금강업(金剛業)을 이룬다고 관하라.
온몸으로 정례하고
심장에 금강장(金剛掌)을 대고
불공존(不空尊)께 봉헌하라.
널리 집회에서 금강업의 몸이
대공양을 행한다고 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포자갈마니아다마 남니리야 다야미살바다타 가
唵 薩嚩怛他引誐多布惹羯磨抳阿怛麽二合喃儞哩耶二合引多夜弭薩嚩怛他引誐
다바아라 갈마구로맘 아아아20)
多嚩日羅二合羯磨矩嚧𤚥 噁噁噁
다음에 금강지대인(金剛持大印)을 결하라.
선(禪)21)과 혜(慧)22), 단(壇)23)과 지(智)24)를
서로 거꾸로 교차하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정수리 위에 두며
낱낱이 여래의 발에 예를 드린다고 관상한다.
손가락을 펼쳐서 정수리로부터
밑으로 드리운 것처럼 하여
심장에서 빙 도는 것이 춤추는 모습과 같게 하고
금강합장(金剛合掌)을 정수리 위에 두어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살바다타 가다가 야바하짇다바아라 바나남가로 미옴바아라
唵薩嚩怛他引誐多迦引耶嚩訖只多嚩日囉二合嚩娜南迦嚕引弭唵嚩日囉二合
믹25)
勿微一反
시방의 정등각(正等覺:불보)과
최승한 묘법(妙法:법보)과 보살들[승보]께 귀명합니다.
몸과 말과 뜻의 청정한 업으로
은근히 합장하고 공경하며 예를 올립니다.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모든 존재 가운데 윤회하면서
몸과 말과 뜻의 업으로 저지른 죄를
불보살께서 참회하신 것처럼
제가 지금 고백하며 참회함도 역시 그와 같습니다.
모든 불보살의 행원(行願) 가운데
금강의 3업에서 생겨난 복과
연각과 성문 및 유정들이
모인 곳에서 선근(善根)이 다하도록 수희합니다.
온갖 세상의 등불이 도량에 앉으셔서
깨달음의 눈을 뜨시고 3유(有)를 비추십니다.
제가 지금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우선 권청하오니
위없는 묘한 법륜을 굴리소서.
삼계의 주인이신 여래께서
무여열반에 머무시고자 하실 때
제가 모두 오래 머무시도록 권청하오니
자비의 원을 버리지 마시고 세간을 구하소서.
참회하고 수희하고 권청하는 복으로
원컨대 제가 보리심을 잃지 않고
모든 불보살의 훌륭한 대중 가운데
언제나 선우가 되어 떠나지 않겠습니다.
8난(難)26)을 여읜 난 없는 곳에 태어나
숙명주지(宿命住智)로 몸을 서로 장엄하며
우매함과 미혹을 멀리 여의고
자비와 지혜를 갖추며
바라밀을 모두 만족하여
부귀하고 풍요하며 훌륭한
족속에 태어나 권속이 광대하여
언제나 치성하길 바랍니다.
네 가지 걸림 없는 말솜씨[四無礙辯]27)와 열 가지 자재[十自在]28)
여섯 가지 신통[六通]과 모든 선정이 다 원만하고,
금강당(金剛幢) 또는 보현(普賢)과도 같아
발원하고 찬탄하고 회향하는 것도 역시 이와 같길 바랍니다.
수행하는 자는 광대한 원으로
다음과 같은 뛰어난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모든 유정들이
여래께 칭찬받게 되고
세간과 출세간에서
속히 실지(悉地)29) 성취하기를 바랍니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살바다타 가다샹시다 살바살타남살바싣다야삼바니연 담 다타
唵薩嚩怛他引誐多商斯哆引入薩嚩薩埵喃薩嚩悉馱藥三波儞演二合耽引怛他二合
가다시자 디뎨사따 담30)
誐多室者二合地底瑟姹坼諫反耽引
마타(麽吒)를 두 눈으로 삼아
해와 달로 된다고 관해야 한다.
두 손을 금강권31)으로 하고
각기 허리 옆에 댄다.
두루 공중의 부처님을 살피니
모든 부처님께서 모두 환희하신다.
가져온 향과 꽃, 그리고 그 밖의 공양구를
이 눈으로 쳐다보니
티끌을 제거하고 청정하게 되며
벽제(辟除)32)하고 결계(結界)33)를 이룬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니리 사띠 마타
唵 嚩日囉二合涅哩二合瑟致二合麽吒34)
복(福)과 지(智)의 두 손을 합하여
열 손가락의 첫마디를 교차하라.
이름하여 금강장(金剛掌)이라 하니
모든 인(印)의 우두머리이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란 자리35)
唵 嚩日囒二合引惹哩
곧 저 금강장에서
열 손가락을 결하여 주먹을 쥐는 것을
금강박(金剛縛)36)이라 이름하는데
능히 결사(結使)37)의 속박을 푼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만다38)
唵 嚩日囉二合引滿馱
금강박으로 제8식을 깨끗이 하고
또한 잡염의 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다라타(怛囉二合吒)의 두 글자를
양 가슴 위에 관상하며
두 손은 금강박을 하여
당겨 여는 것이 문짝과 같다고 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만다다라 타39)
唵 嚩日囉二合滿馱怛囉二合吒半音
곧 금강박으로 선(禪)40)과 지(智)41)를 굽혀서
손의 단(檀)42)과 혜(慧)43), 계(戒)44)와 방(方)45) 사이에 넣고
무루지(無漏智)를 불러서
장식(藏識) 가운데에 넣는다고 관상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볘사아46)
嚩日囉二合引吠奢噁
곧 앞의 인의 모습에서
진(進)47)과 역(力)48)으로 선(禪)과 지(智)를 버티고
심장 옆에 붙여서
무루지를 견고하게 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모사띠 밤49)
嚩日囉二合母瑟致二合鍐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인(忍)50)과 원(願)51)을 바늘처럼 수직으로 세우며
진언을 송하자마자
자신은 보현이 되어 월륜 위에 앉는다.
몸 앞에 보현을 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삼마야 사다밤52)
唵三昧耶引薩怛鍐二合引
수행자는 다음에 대서진실계(大誓眞實契)를 결하라.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단과 혜, 선과 지를 세우고
인과 원은 서로 손바닥에 넣으며
손가락 안쪽을 서로 붙여라.
두 손으로 심장을 찌르니
이름하여 대비전(大悲箭)이라 한다.
염리심(厭離心)을 쏘아서
극희삼매야(極喜三昧耶)가
본서(本誓)의 원을 경각케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삼마야호 소라다사다밤53)
唵三昧耶斛引蘇囉多薩怛鍐三合
수행자는 다음에 응당
항삼세대인(降三世大印)을 결하라.
두 손은 분노권(忿怒拳)으로 하여
단(檀)과 혜(慧)를 뒤쪽으로 구부려 결하라.
진(進)과 역(力)의 둘은 뒤쪽을 대어 세우고
몸에 분노왕(忿怒王)을 관상하라.
여덟 개의 팔과 네 개의 얼굴
웃고 성내는 무서운 형상이며
네 개의 이빨이 치성한 몸이다.
오른 발을 비스듬하게
왼발을 수직으로 하여
대천(大天)과 그의 아내를 밟으며
큰소리로 진언을 송하여
시방(十方)으로 빙 돌리라.
왼쪽으로 돌리면 벽제(辟除)를 이루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결계(結界)를 이룬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소 바니소바훔 그리 하나 그리 하나 훔그리 하나
唵蘇蘇唵反婆儞蘇婆吽短呼下同蘗哩二合訶拏二合蘗哩二合訶拏二合吽蘗哩二合訶拏二合反
바야훔하 나야호 바 가밤바아라 훔바닥54)
播野吽訶引曩野斛引婆去聲誐鍐嚩日囉二合吽發吒半聲呼
다음에 금강련(金剛蓮)을 결해야 한다.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단⋅혜⋅선⋅지를 세워라.
이것은 연화삼매야(蓮華三昧耶)로서
연화부를 이루어
그것을 굴리는 주재(主宰)가 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바아라 바나마 삼마야사다밤55)
唵嚩日囉二合鉢娜摩二合三摩耶薩怛▼(口+梵)三合
아뢰야식(阿賴耶識) 가운데에
보리와 어긋나는 종자가 있으니
다음에 법륜인(法輪印)을 결하여
그 염리(厭離)의 바퀴를 부순다.
곧 앞의 연화인(蓮華印)에서
단과 혜를 교차하여 세우고
자심(自心)을 부수어 당기자마자
곧 2승(乘)의 종자를 멸하게 된다.
진언으로 송한다.
훔타기사포 타야마하 미라 가바아람 바아라 다라살뎨예 나착56)
吽吒枳薩怖二合吒耶摩訶引尾囉引▼(口+梵)嚩日嚂二合嚩日囉二合馱囉薩帝曳二合曩坼勅角反
곧 대욕인(大欲印)을 결하라.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선(禪)을 지(智)의 호구(虎口)57)에 넣고
염송함에 따라서 출입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소라다바아람 자훔밤호 삼마야사다밤58)
唵蘇囉多嚩日㘕二合𠺁吽鍐斛引三昧耶薩怛▼(口+梵)三合
대락불공신(大樂不空身)의
인계는 위와 같도다.
널리 원하건대 모든 유정으로 하여금
속히 여래지를 증득케 하소서.
유가를 닦아 익히는 자는
반드시 이와 같은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중생을 성취시키고 나서
다음에 모두를 불러야 한다.
스스로 대염지(大染智)를 이루고
보리의 대욕(大欲)을 채워서
대비의 종자를 완성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마하소카바아란 사다야살바사다볘 뷰- 자훔밤호59)
唵 摩訶蘇佉嚩日囒二合娑馱耶薩嚩薩怛吠二合毘喩二合𠺁吽鍐斛
다음에 소죄인(召罪印)을 결하라.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인(忍)과 원(願)을 펴는 것을 바늘과 같게 하고
진(進)과 역(力)을 구부려서 갈고리와 같게 하라.
대비로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
오고 감에 이로써 관상하라.
모든 유정의 죄를 부르며
자신이 3악취(惡趣)에서 지은
온갖 죄를 손바닥에 부르는데
흑색(黑色)으로서 구름이나 안개와 같은
온갖 수많은 귀신의 형상이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바 바 가리사 나바아라 사다바 삼마야훔바닥60)
唵 薩嚩播引波引迦哩灑二合拏嚩日囉二合薩怛縛二合三摩耶吽發吒吒半聲
다음에 최죄인(摧罪印)을 결하라.
여덟 손가락을 안으로 서로 교차하고
인(忍)과 원(願)을 앞과 같이 세우며
독고저(獨股杵)를 관해야 한다.
자신의 모습이 변화하여
항삼세로 된다고 관하며
소리를 크게 내어 진언을 송하고
마음속으로 자비를 일으켜라.
인(忍)과 원(願)을 세 번 두들겨서
모든 유정의 죄를 멸하며
3악을 모두 물리쳐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바아라 바 니미살보 타 야살바바 야만타나니바라 모하사
唵嚩日囉二合播引尼尾薩普二合引吒二合耶薩嚩播引耶滿馱那儞鉢囉二合謀訖灑二合
야살바바 야가디 비야 살바사다바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삼마
耶薩嚩播引耶誐底丁以反毘藥二合薩嚩薩怛嚩二合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三摩
예훔다라 타61)
耶吽怛囉二合吒半音
다음에 3업의 장애를 청정히 하여
결정적인 업을 멸하게 한다.
두 손으로 금강장(金剛掌)을 하고
진(進)과 역(力)은 두 마디를 굽히며
선(禪)과 지(智)로 두 손가락을 누른다.
이 인을 결하여 업장을 없앤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갈마니슈 다야살바바라나 니모다살디예나훔62)
唵 嚩日囉二合羯磨尾輸引馱耶薩嚩嚩囉拏引儞母馱薩底曳曩吽引
다음에 보리심을 이루어
나와 남으로 하여금 원만케 한다.
인은 연화계(蓮華契)와 같게
정수리의 왼쪽에 두어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젼다로 다리삼만다바나라 기라니마하바아리 니훔63)
唵 戰捺嚧二合多𠼝三曼多婆捺囉二合枳囉尼摩訶嚩日哩二合尼吽
마음을 일으켜 관념하라.
모든 유정이
달 위의 여래의 위력에
속히 성취하는 것이 보현(普賢)과 같다.
유가경(瑜伽經)에서 설한 것처럼
결가부좌(結跏趺坐)해야 한다.
팔다리와 뼈마디를 움직이지 말고
등지인(等持印)을 결해야 한다.
두 손으로 금강박을 하고
받들어서 배꼽 아래에 놓고
몸을 바르게 하며 움직이지 않으며
혀는 위턱에 대고 호흡을 그쳐서 미세하게 하라.
모든 법의 성품은
모두 자심으로 말미암는다고 잘 관찰해서
번뇌와 수번뇌(隨煩惱), 5온⋅18계⋅12입 등은
모두 환상이며 불꽃과 같으며
건달바성(乾闥婆城)64)과 같고
또한 불바퀴[旋火輪]나 골짜기의 메아리와 같다고
이와 같이 잘 관하고 나서
몸과 마음을 보고서 적멸평등(寂滅平等)에 머무르라.
진실한 지혜를 구하려 하면
곧 공중에서 모든 부처님이
참깨의 꼬투리와도 같이
허공계에 가득하다고 관한다.
몸은 10지(地)의 경지를 증득하고
실다운 때에 머문다고 관상하라.
공중의 모든 여래가
탄지(彈指)65)해서 경각하여 말씀하시리라.
선남자여, 네가 증득할 것은 일도청정(一道淸淨)이다.
금강유삼매(金剛喩三昧)와 살바야지(薩婆若智)를
오히려 아직 증득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을 가지고 정(定)으로 삼지 말라.
반드시 보현(普賢)을 만족해야 하며
모름지기 이 바른 깨달음을 성취해야 한다.
몸과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고
선정 가운데에서 모든 부처님에게 예를 올리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바다만다남 가로미66)
唵 薩嚩怛他誐多波娜滿娜南引迦嚕弭
수행자가 경각하는 소리를 듣고
선정 가운데에서 널리 예경한다.
오직 바라건대 모든 여래시여,
저에게 행해야 할 바를 가르쳐 주소서.
모든 부처님은 한 가지 소리로 말한다.
너는 응당 자심을 관찰해야 한다.
이러한 소리를 듣고 나서
가르침대로 자심을 관한다.
오래도록 자세히 관찰하였지만
자심의 상을 볼 수 없으면
다시 부처님 발에 예 올린다고 관상하고
사뢰어 말씀드린다.
가장 뛰어나신 존(尊)이시여.
저는 자심을 볼 수 없나이다.
이 마음은 어떠한 상입니까.
모든 여래가 함께 고하여 말씀하신다.
마음의 상은 헤아리기 어렵다.
심진언(心眞言)을 수여하니
곧 마음을 밝히는 진언을 송하여
마음이 월륜처럼 구름이 낀 모습이라고 관하라.
이치대로 자세하게 관찰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지다바라 디베등가로미67)
唵 只多鉢囉二合底吠鄧迦嚕弭
장식(藏識)68)은 본디 물들지 않으며
청정하여 더러움이 없다.
복지(福智)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자심은 보름달과 같다.
다시 이것을 사유하라.
이 마음은 어떠한 것인가.
번뇌(煩惱)⋅습(習)⋅종자(種子)⋅선악(善惡)은
모두 마음으로 말미암으니
마음을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고 한다.
청정하게 수행함을 인(因)으로 삼아
육바라밀에 훈습되는 까닭에
그 마음은 대심(大心)이 된다.
장식은 본디 물들지 않으며
청정하여서 더러움이 없도다.
오랜 시간 동안 복지를 축적하니
비유하면 깨끗한 보름달과 같도다.
체(體)도 없고 또한 사(事)도 없으며
곧 또한 달이 아니라고 설한다.
복지를 갖추었으므로
자심은 만월과 같다.
뛰어오를 듯 마음이 환희하여
다시 사뢴다. 모든 세존이시여,
제가 이미 자심을 보니
청정한 것이 보름달과 같고
모든 번뇌의 더러움과
능집(能執)⋅소집(所執) 등을 떠나 있습니다.
모든 부처님이 다 함께 고하여 말씀하신다.
너의 마음은 본래 이와 같은데
객진(客塵)69)에 덮여 있었던 것이다.
보리심을 맑게 하기 위해서
너는 월륜을 관하여 보리심을 증득하라.
이 심진언을 수여하니 비밀하게 송하고 잘 관찰하여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보디지다모다바다야미70)
唵 冒地只多母馱波那夜弭
능히 심월륜(心月輪)으로
원만하게 하여 점점 분명하게 하라.
모든 부처가 다시 고하여 말씀하신다.
보리심을 견고하게 하라.
다시 심진언을 수여한다.
옴 소가차 마바아라71)
唵 素乞叉二合麽嚩日囉二合
오고금강연화(五股金剛蓮華)를 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딛-따 바아라 바나마72)
唵 底瑟侘二合嚩日囉二合鉢娜麽
너는 청정한 월륜에서
여덟 꽃잎 달린 연꽃을 관하고
널리 법계에 두루하게 해서
오직 하나뿐인 큰 연꽃이 되게 하라.
응당 알아야 한다.
자신이 금강연화계(金剛蓮華界)로 됨을.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다마 구 함73)
唵 嚩日囉二合怛麽二合句引含
자신이 연화로 되니
청정하여서 물든 바 없다.
다시 모든 부처님께 아뢴다.
제가 연화의 몸이 됩니다.
이때 그 모든 여래께서
문득 그에게 가르침을 주어 말한다.
몸을 관하여 본존으로 삼으라.
다시 이 진언을 수여한다.
옴 야타 살바다타가다사다타 함74)
唵 野他引薩嚩怛他誐多薩怛他二合引含
이미 본존의 몸을 이루었으니
여래께서 가지(加持)75)하신 것이다.
앞의 인상(印相)을 바꾸지 말고
이 진언을 송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 비삼모 디나리 다바아라 딛-따76)
唵 薩嚩怛他引誐多引避三冒引地涅哩二合茶嚩日囉二合地瑟姹二合
다음에 네 여래의 삼매야계인(三昧耶契印)을 결한다.
각각 본 진언을 사용하여 몸을 가지하라.
부동불(不動佛)77)은 심장에
보생존(寶生尊)은 이마에
무량수(無量壽)는 인후(咽喉)에
불공성취(不空成就)는 정수리이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사다바 딛-따 사바 맘78)
唵 縛日囉二合薩怛嚩二合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
옴 바아라 라다나 딛-따 사바 맘79)
唵 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引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
옴 바아라 달마 딛-따 사바 맘80)
唵 嚩日囉二合達麽引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
옴 바아라 갈마 딛-따 사바 맘81)
唵 嚩日囉二合羯麽引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
이미 몸을 가지하고 나서
다음에 관정(灌頂)82)을 수여해야 한다.
다섯 여래의 인계는
각각의 삼매야와 동일하다.
변조(遍照)83)는 정수리에 관정하고
부동불은 이마에
보생존은 정수리의 오른쪽
무량수는 정수리 뒤쪽
불공성취불은 정수리의 왼쪽에 두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 새바라야 비세 가훔84)
唵 薩嚩怛他蘖帶引濕嚩囉耶二合引毘囇引迦吽
옴 바아라 사다바 비신자맘 훔85)
唵 嚩日羅二合薩怛嚩二合引毘詵遮𤚥引吽
옴 바아라 라다나 비신자맘다라86)
唵 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引毘詵遮𤚥怛𠸪二合
옴 바아라 바나마 비신자맘 흐리87)
唵 嚩日囉二合鉢娜麽二合引毘詵遮𤚥引紇哩二合
옴 바아라 갈마 비신자맘 아88)
唵 嚩日囉二合羯磨引毘詵遮𤚥引噁
차례대로 관정한 다음에
여래의 만(鬘)을 묶어야 한다.
사방의 모든 여래는
모두 삼매야계(三昧耶契)이다.
이마의 앞에서 두 손을 나누어
세 번 정수리 뒤에 결하고
앞을 향하여 늘어뜨린 것처럼 하고
먼저 단(柦)과 혜(慧)89)부터 벌린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사다바 마 라 비신자맘 밤90)
唵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麽引라攞引毘詵遮𤚥引鍐
옴 바아라 라다나 마 라 비신자맘 밤91)
唵 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麽引攞引毘詵遮𤚥引鍐
옴 바아라 바나마 마 라 비신자맘 밤92)
唵 嚩日囉二合鉢娜麽二合麽引攞引毘詵遮𤚥引鍐
옴 바아라 갈마마 라 비신자맘 밤93)
唵 嚩日囉二合羯麽麽引攞引毘詵遮𤚥引鍐
다음에 모든 유정들에게
대비심을 일으켜야 한다.
끝없는 생사 가운데에서
언제나 대서원의 갑옷을 입고
청정한 불국토를 위하여
모든 천마(天魔)를 항복시키며
최고의 바른 깨달음을 성취하려 하므로
여래의 갑주(甲冑)를 입는다.
두 손을 금강권(金剛拳)으로 하고
심장에 대고 진(進)과 역(力)을 펴서
두 손가락을 서로 얽는다.
심장 뒤⋅배꼽⋅양 무릎⋅허리⋅양 어깨에 이르고
인후(咽喉)⋅목⋅이마 또는 정수리에
각각 세 번 돌리며
서서히 앞에서 밑으로 드리우고
먼저 단(柦)과 혜(慧)를 흩뜨린다.
그러면 곧 일체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천마조차도 부수지 못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툼94)
唵 砧
다음에 금강박(金剛拍)을 해야 한다.
평평한 손바닥으로 세 번 치는데
이 인의 위력으로 말미암아
박(縛)을 풀고, 풀면 박(縛)할 수 있다.
다시 견고한 갑옷이 되어
성스러운 대중들 모두 환희하시며
금강의 체(體)를 획득하는 것이
마치 금강살타와 같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도사야 호95)
唵 嚩日囉二合覩瑟也二合斛引
다음에 현지신(現智身)을 결한다.
두 손을 금강박으로 하고
선(禪)과 지(智)를 손바닥에 넣으며
몸 앞에 월륜을 관상한다.
가운데에 본존을 관하는데
자세하게 상호를 관하라.
금강에 편입(遍入)하고 나면
본인은 의칙과 같이
몸의 앞에서 결해야 하며
대살타를 사유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사다바 아96)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噁
다음에 견지신(見智身)을 결한다.
인계는 앞의 상과 같다.
저 지살타(智薩埵)를 보고
응당 자신이 구소(鉤召)하고
인입(引入)하며 박(縛)하고
기뻐하게 해서 성취를 행한다고 관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사다바 나리 샤야97)
唵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涅哩二合捨也二合
다음에 사자명(四字明)을 결하는데
인은 항삼세와 같게 한다.
처음에 진(進)을 갈고리형과 같게 하며
다음에 진(進)과 역(力)을 서로 교차하라.
거듭 끝을 구부려서 서로 버티고
다음에 서로 갈고리처럼 해야 한다.
음에 팔을 합하여 흔들라.
이 사자명의 인을 결하면
구소하고 인입하며 박하여 기쁘게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자 훔 밤 호98)
弱 吽 鍐 斛
이 삼매야인은 반드시
금강박을 결해야 한다.
인(忍)과 원(願)을 바늘처럼 세우고
본존의 유가를 성취하여라.
삼마야사다밤(三昧耶薩埵鍐)99)을 송하며
등 뒤로 찬드라(贊捺囉)100)를 편입하고
가운데에 살타의 체(體)와 동등하게
나도 삼마야사다밤이라고 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삼마유 함마하삼마유 함101)
三摩喩引唅摩訶三摩喩引唅
다음에 8공덕수(功德水)102)로 이루어진
큰 바다를 관상해야 한다.
위에 금거북[金龜]103)을 상상하며
일곱 개의 금산[七金山]104)이 둘러싸고 있고
산 사이에 하천이 있는데
모두가 8공덕수로 되어 있다고 관상하라.
종자를 관상하면서 동시에
함밤(唅鍐)105)과 바라(鉢囉)106)를 송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미마로나디훔107)
唵 尾摩嚧娜地吽
다음에 수미로(須彌盧)108)가
모두 네 가지 보배로써 이루어졌다고 관상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자라훔109)
唵 阿者攞吽
위에 보배 누각을 관상한다.
곧 금강륜(金剛輪)을 결하는데
이 인의 위력으로 말미암아
곧 모든 윤단(輪壇)110)을 성취한다.
두 손을 금강권으로 하고
진(進)과 역(力), 단(柦)과 혜(慧)를 갈고리처럼 하라.
그 가운데에 윤단을
본 가르침대로 관상해야 한다.
곧 보배 누각 가운데에
만다라(曼茶羅)111)를 관하라.
옴 바아라 자가라 훔112)
唵 嚩日囉二合斫迦囉二合吽
다음에 계청(啓請)113)을 송해야 한다.
앞의 인상(印相)을 바꾸지 말고
모든 성존께 아뢴다고 상상하라.
‘이 만다라에 내려오십시오’라고.
계청해서 송한다.
야 비염 닐 미갈나사 자가라 싣디샤 다무볘마리바아라 군다
野引毘焰二合引涅儞逸反尾竭那娑上斫迦囉二合悉地寫去多畝陛靺𠼝嚩日囉二合軍茶
니혜도비염 다 비염 다 비염 마 살도 사나 나모114)
利係都毘焰二合哆引毘焰二合哆引毘焰二合麽引薩覩二合娑娜引曩莫
다음에 개문계(開門契)를 결하라.
대단(大壇)의 문을 연다고 상상하고
두 손을 금강권으로 하여
단(柦)과 혜(慧)를 서로 갈고리처럼 얽는다.
진(進)과 역(力)을 세워서 옆에 합하고
문(門)에 매번 진언을 송하라.
훔(吽)을 송할 때마다 엄지손가락을 열고
동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돌아
바야흐로 앞면을 문 쪽으로 향하라.
만약 장소가 작고 좁으면
곧 관상하는 가운데
운심(運心)해서 본 가르침과 같게 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나바 로오나가 타야삼마야바라 베샤야훔115)
唵 嚩日囉二合娜嚩二合嚧嗢娜笳二合他也三摩耶鉢囉二合吠舍耶吽
다음에 계청계(啓請契)를 결하고
성존께 아뢰어 말씀드려라.
두 손을 금강박으로 하고
인(忍)과 원(願)을 견고하게 합해야 한다.
진(進)과 역(力)을 갈고리처럼 구부리고
중지를 뒤로 해서 붙이지 않는다.
명호를 칭하여 이로써 계청하고
게송[伽他]을 세 번 읊는다.
아연 도살볘모바내가사 라 바라 나 미다 셰사가추 라 마라 사
阿演去都薩吠慕嚩乃迦娑引囉引鉢囉二合挐引弭哆引世沙迦𦼈初句反囉引摩囉引娑引
가차 드가리 다난 다바바사바 바바사바 연모보난다바바사바
乞叉二合怛訖哩二合哆難上哆婆嚩娑嚩二合婆嚩娑嚩二合演慕髦難多婆嚩娑嚩二合
바 바116)
婆引嚩引入
다음에 바다와 같은 부처님의 모임을 관하라.
모든 성존께서 두루 구름처럼 모이시니
팔을 교차하여 탄지(彈指)하라.
탄지의 소리가 법계에 가득하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사마자자117)
唵 嚩日囉二合娑摩惹𠺁入
모든 여래께서 집회하셔서
모두 허공에 계신다.
일백팔명찬(一百八名讚)118)을 송하여
만다라의 대중께 예를 올린다.
찬탄하여 송한다.
바아라 사다바 마하 사다바 바아라 살바다타 가다삼만다바녜라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摩訶引薩怛嚩二合嚩日囉二合薩嚩怛他引蘖多三曼多跋涅囉
바아라 니야 바아라 바 녜나모 살도뎨119)
二合嚩日囉二合儞耶二合嚩日囉二合播引儜曩牟引薩都帝
바아라 라 자소몯다가리야 바아란 구샤다타 가다아모 가라자바
嚩日囉二合囉引惹蘇沒馱誐哩耶二合嚩日啷二合矩捨怛他引蘖多阿目引伽囉惹嚩
아라 니야바아라 갈사나모살도뎨120)
日囉二合儞耶嚩日囉二合渴沙曩牟薩都帝
바아라 라가마하 사기야바아라 바 나바샹까라마 라가 마마하 바
嚩日囉二合邏誐摩訶引燥企也嚩日囉二合嚩引拏嚩商迦囉麽引囉迦引摩摩訶引嚩
아라 자 바나모 살도뎨121)
日囉二合赭引波南牟引薩都帝
바아라 사다소바아라 가라바아라 도사태 마하 라뎨 바라모니야
嚩日囉二合娑度蘇嚩日囉二合蘖囉嚩日囉二合都瑟𪘨二合摩訶引囉諦引鉢囉母儞耶
라 자바아라 니야바아라 하사나모 살도뎨122)
二合囉引惹嚩日囉二合儞耶嚩日囉二合喝沙曩牟引薩覩帝
바아라 라다나 소바아라 라타바아라 아가샤마하마니아가샤
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蘇嚩日囉二合囉他嚩日囉二合阿迦捨摩訶摩尼阿迦捨
갈바바아라 다 바아라 갈바나모 살도 뎨123)
蘖婆嚩日囉二合茶雉也反嚩日囉二合蘖婆曩牟引薩覩二合帝
바아라 뎨자마하 니바 라바아라 소리야 니나바라 바바이라
嚩日囉二合帝惹摩訶引爾嚩二合囉嚩日囉二合素哩耶二合爾曩鉢囉二合婆嚩日囉二合
라시미 마하 뎨자바아라 바라 바나모 살도뎨124)
囉濕彌二合摩訶引帝惹嚩日囉二合鉢囉二合婆曩牟引薩覩帝
바아라 계도소사다바 라타 바아라 드바 자소도사카라다나
嚩日囉二合計都蘇娑怛嚩二合囉他二合嚩日囉二合特嚩二合惹蘇覩灑迦囉怛那二合
케투마하바아라 바아라 야사태 나모 살도 뎨125)
計覩摩訶嚩日囉二合嚩日囉二合也瑟𪘨二合曩牟引薩都二合帝
바아라 하사마하 하사바아라 시미 다마하 나보다프리 티
嚩日囉二合賀娑摩訶引賀娑嚩日囉二合悉弭二合多摩訶引曩步多必里二合低
바라 모니야 바아라 이리야바아라 프리뎨나모살도뎨126)
丁移反鉢囉二合母儞耶二合嚩日囉二合儗哩耶嚩日囉二合必里帝曩牟薩覩帝
바아라 달마소 사다바 라타 바아라 바나마 소슈 다가로 계
嚩日囉二合達摩蘇上娑怛嚩二合引囉他二合嚩日囉二合鉢娜摩二合蘇戎引馱迦路引計
새바 라소바아라 가사 바아라 녜 다라 나모 살도뎨127)
濕嚩二合囉蘇嚩日囉二合乞叉二合嚩日囉二合儜上怛囉二合南牟引薩覩帝
바아라 디 가사 나마하야 나바아라 구샤마하요다만수실리
嚩日囉二合底丁以反乞叉二合拏摩訶也引那嚩日囉二合句捨摩訶庾馱曼殊室唎二合
바아라 암 비 리야 바아라 몯뎨나모 살도 뎨128)
嚩日囉二合儼吳甘反鼻引哩耶二合嚩日囉二合沒第南牟引薩覩二合帝
바아라 헤도마하만다바아라 자거라마하 나야소바라 말다나 소바
嚩日囉二合係覩摩訶曼茶嚩日囉二合斫羯囉摩訶引曩耶蘇鉢囉二合靺怛曩二合蘇嚩
아로 라타 바아라 만다나모 살도 뎨129)
日路二合囉他二合引嚩日囉二合曼茶南牟引薩覩二合帝
바아라 바 사소미 니야 가라바아라 자파소싣디나아바 차바아
嚩日囉二合婆去沙蘇微微一反儞耶二合引蘖囉嚩日囉二合惹波蘇悉地那阿嚩引遮嚩日
라 미 니야 가라 바아라 바 사나모 살도뎨130)
囉二合微同上反儞耶二合引蘖囉二合嚩日囉二合婆引沙南牟引薩覩帝
바아라 갈마소바아라 기냐 갈마바아라 소사바가라 바아라
嚩日囉二合羯磨蘇嚩日囉二合枳孃二合羯磨嚩日囉二合蘇娑嚩蘖囉二合嚩日囉二合
모가마호 나리야바아라 미새바 나모 살도 뎨131)
目伽摩呼引娜哩耶嚩日囉二合尾濕嚩二合南牟二合薩覩二合帝
바아라 락-샤 마하볘리 야바아라 말마마하드리 다 나리요
嚩日囉二合囉乞叉二合摩訶吠哩二合耶嚩日囉二合靺摩摩訶涅哩二合茶去訥哩庾
다나소미 리야 가리 야바아라 미 리야 가리 야바아라
二合馱那蘇微同上反哩也二合仡哩二合耶嚩日囉二合尾引哩耶二合仡哩二合耶嚩日囉
미리야나모 살도뎨132)
二合尾哩耶南牟引薩覩帝
바아라 약-샤 마호 바 야바아라 담사타 라마하 바야마라바
嚩日囉二合藥乞叉二合摩呼引播引耶嚩日囉二合鄧瑟吒二合囉摩訶引婆耶麽囉鉢
라 마디 바아라 가라 바아라 젼나나모 살도 뎨133)
囉二合末儞二合嚩日囉二合蘖囉二合嚩日囉二合戰拏南牟引薩覩二合帝
바아라 산디소바녜 디야 바아라 만다바라 모 자가바아라 몯
嚩日囉二合散地蘇婆寧上聲地耶二合嚩日囉二合滿馱鉢囉二合毛引斫迦嚩日囉二合母
-땨야 가라삼마야바아라 몯-뗴 나모 살도 뎨134)
瑟吒耶二合蘖囉三摩耶嚩日囉二合母瑟𪘨二合南牟引薩覩二合帝
다음에 4명인(明印)을 결하라.
인은 항삼세(降三世)와 같고
구(鉤)는 진도(進度)를 구부려 부르며
색(索)은 진(進)과 역(力)을 둥근 고리처럼 하라.
쇄(鎖)는 팔을 벌려서
서로 갈고리처럼 하고
령(鈴)은 팔을 합하여 흔들며
각각의 본 진언을 송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바아라 구샤자바아라 바샤훔바아라 사보 타밤바아라 베사
唵嚩日囉二合矩捨弱嚩日囉二合播捨吽嚩日囉二合薩普引吒鍐嚩日囉二合吠捨
아135)
噁
다음에 금강박(金剛拍)을 결하여
성스러운 대중을 환희하시게 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다라도사사야 호136)
唵 嚩日囉二合哆囉覩瑟使也二合斛引
다음에 평등지(平等智)에 들어가
알가향수(閼伽香水)137)를 받들고
모든 성중의 몸을 씻는다고 상상하라.
반드시 관정지(灌頂地)를 얻게 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나가훔138)
唵 嚩日囉二合娜迦吽
다음에 진령인(振鈴印)을 결하라.
오른쪽에는 저(杵), 왼쪽에는 진령(振鈴)
마음으로 성해탈(聲解脫)에 들어가
반야의 이치를 관조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건타도사야 호139)
唵 嚩日囉二合健吒覩使也二合斛入
다음에 갈마인(羯磨印)을 결하라.
마음으로 수습하는데 심월륜(心月輪)에
갈마저(羯磨杵)가 있다고 잘 관하라.
응당 금강권을 결하여
등인(等引)140)하면서 양쪽으로 나누어야 한다.
오른손의 금강권으로 역(力)141)의 끝을 잡고
왼손을 배꼽에 대고
오른손은 내려서 땅에 접촉하라.
왼손은 앞의 모습과 같게 하고
오른손을 시원(施願)으로 만들고
두 손을 받들어 서로 교차하라.
진(進)과 역(力)을 세워서 서로 등 돌리고
선(禪)과 지(智)를 그 끝에 옆으로 뉘여라.
왼손은 다시 배꼽에 대고
오른손을 시무외(施無畏)로 하라.
이것이 다섯 여래의 계(契)이다.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짇다바라 디미등가로미142)
唵 質多鉢囉二合底微鄧迦嚕弭
옴 모디짇다모다바다야미143)
唵 冒地只多母怛波那夜弭
옴 짇-다 바아라144)
唵 底瑟吒二合嚩日囉二合
옴 바아라 다마구함145)
唵 嚩日囉二合引怛摩句唅
옴 예타살바다타가다사다타 함146)
唵 曳他薩嚩怛他蘖多薩怛他引唅
다음에 갈마의
4바라밀계(波羅蜜契)를 결해야 한다.
각각 본 부처님의 인계와 같게 해서
진언을 송하라.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사다바 바아리 라다나바아리 달마바아리 갈마바아리147)
唵 薩怛嚩二合嚩日哩二合囉怛那嚩日哩二合達摩嚩日哩二合羯磨嚩日哩二合
다음에 16존(尊)의
갈마계(羯磨契)를 결하는 의궤는
좌권을 허리 옆에 두고
오른손은 저(杵)를 던져라.148)
두 권(拳)을 교차하여 가슴에 품고
진(進)과 역(力)을 갈고리처럼 하여 얽어라.149)
두 권은 활 쏘는 법과 같게 하며150)
심장에 대고 선지(禪指)를 만들어라.151)
진(進)과 역(力)은 보배모습과 같게 하며152)
마음속으로 일륜(日輪)을 돌려라.153)
오른 팔꿈치를 좌권(左拳)으로 떠받치고154)
두 주먹을 입에서 흩뜨려라.155)
왼쪽을 연꽃으로 하고
오른쪽을 벌리는 계(契)이다.156)
왼손으로 꽃을 잡는다고 상상하고
오른손은 검(劍)을 쥐는 것처럼 하라.157)
주먹을 덮고 진(進)과 역(力)으로 떠받치며
배꼽에서 절반만큼만 돌려라.158)
함께 입에 이르러서 받들고 흩뜨리며159)
우선 선(禪)과 지(智)부터 펼치고
심장과 양 뺨에서 선무(旋舞)하며
금강장(金剛掌)을 정수리에 두어라.160)
두 주먹에 갑주(甲冑)를 입히고161)
진(進)과 역(力), 선(禪)과 지(智)를
이빨[牙]처럼 하라.162)
두 주먹으로 서로 합한다.163)
지금까지 설명한 것이
16대사(大士)의 인(印)이다.
내(內)의 8공양(供養) 보살과
외(外)의 8공양 보살, 그리고
네 문을 지키는 호(護) 보살에
해당되는 인상(印相)을 지금 설명하겠다.
두 권을 각각 허리에 붙이고
왼쪽으로 향하여 조금 머리를 밑으로 하라.164)
두 권으로써 만(鬘)을 묶고
이마로부터 정수리 뒤까지 늘어뜨려라.165)
두 권을 곁에서 서로 합하고
배꼽으로부터 입에 이르러 흐뜨려라.166)
두 권으로 무의(舞儀)를 생하고
손바닥을 회전시켜 정수리에 두어라.167)
금강권의 의(儀)로써
소향(燒香) 등의 4인(印)을 삼아라.
항삼세의 인으로써
구(鉤)와 쇄(鎖)의 4섭(攝)으로 삼아라.
권을 나란히 아래로 향하게 흩뜨려라.168)
받들어 흩뜨리는 것을 봉헌(捧獻)하는 것으로 하고169)
선(禪)과 지(智)를 세우는 것을 바늘처럼 하며170)
손바닥을 벌려서 가슴을 문지른다.171)
진(進)은 구부리는 것을 갈고리처럼 하고,172)
진(進)과 역(力)을 굽혀서 서로 버티어라.173)
두 손가락을 다시 서로 갈고리처럼 하며174)
팔을 합하여 가볍게 요동쳐라.175)
이들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사다바 아176)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阿
바아라 라자자177)
嚩日囉二合囉惹弱
바아라 라 가호
嚩日囉二合囉引誐護178)
바아라 사 두사
嚩日囉二合娑引度索179)
바아라 라다나 옴180)
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唵
바아라 뎨자암181)
嚩日囉二合帝惹暗引
옴 바아라 계도다람182)
唵 嚩日囉二合計都怛㘕二合
바아라 하사하183)
嚩日囉二合賀娑郝
바아라 달마흐리184)
嚩日囉二合達磨紇哩二合
바아라 디 걸차나담185)
嚩日囉二合底引乞叉拏淡
바아라 예도맘186)
嚩日囉二合曳都𤚥
바아라 바사람187)
嚩日囉二合婆沙㘕
바아라 갈마검188)
嚩日囉二合羯磨劍
바아라 락-샤 함189)
嚩日囉二合囉乞叉二合唅
바아라 약-샤 훔190)
嚩日囉二合藥乞叉二合吽
바아라 산 디밤191)
嚩日囉二合散引地鍐
바아라 라 세호192)
嚩日囉二合邏引細護
바아라 말리다라 타193)
嚩日囉二合摩黎怛囉二合吒半音
바아라 의 뎨의194)
嚩日囉二合儗引帝儗引
바아라 열리 뎨흘리 타195)
嚩日囉二合涅㗚二合帝訖哩二合吒
바아라 도비아196)
嚩日囉二合度箄婀
바아라 보스페 옴197)
嚩日囉二合補澁篦二合唵
바아라 로 계니198)
嚩日囉二合路引計儞引
바아라 간데가199)
嚩日囉二合巘提虐
바아라 구사자200)
嚩日囉二合矩捨弱
바아라 파샤훔201)
嚩日囉二合播捨吽
바아라 사보 타밤202)
嚩日囉二合薩普二合吒鍐
바아라 베샤호203)
嚩日囉二合吠捨斛引
오른손을 심장에, 왼손을 지(地)에 대고
윤단의 네 면을 두른다.
각각에 한 번씩 진언을 송하고
현겁(賢劫)204)의 위(位)에 안립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훔205)
吽
다음에 삼매야를 결하고
혀에 금강을 관하라.
먼저 금강장(金剛掌)을 합하여
다시 금강박으로 하라.
인(忍)과 원(願)을 검(劍)의 모습과 같게 하며
진(進)과 역(力)을 등에 붙여라.
인(忍)과 원(願)을 바늘처럼 세우고
뒤로 구부려서 보배모습과 같게 하라.
비밀하게 구부려서 연잎처럼 하고
손바닥 가운데를 합하며
단(柦)⋅혜(慧)⋅선(禪)⋅지(智)를 합하라.
이것을 다섯 부처님의 인으로 삼는다.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지자 남아206)
嚩日囉二合枳惹二合南阿去引
바아라 지자 남훔207)
嚩日囉二合枳惹二合南吽
바아라 지자 남다라208)
嚩日囉二合枳惹二合南怛𠸪
바아라 지자 남흐리209)
嚩日囉二合枳惹二合南▼(口+頡)唎二合入
바아라 지자 남아210)
嚩日囉二合枳惹二合南噁
다음에 삼매야
4바라밀(波羅蜜)의 계를 결하라.
각각 본 부처님의 인과 같다.
따로따로 진언을 송하라.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바아라 시리 훔211)
嚩日囉二合室哩二合引吽
바아라 알 리다람212)
嚩日囉二合戞百列反唎怛㘕二合
바아라 다 라 흐리213)
嚩日囉二合多引囉引▼(口+頡)哩
카마아리 니호214)
佉靺日哩二合尼斛入
다음에 16존(尊)과
8공양(供養) 및 4섭(攝) 보살의
삼매야인계를 결하라.
인(忍)과 원(願)을 바늘처럼 세워서
새끼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벌려서 세워라.215)
다음에 금강박으로서
진(進)과 역(力)을 구부려서 갈고리처럼 하고216)
갈고리로 인하여 다시 교차하여 세워라.217)
박(縛)을 풀고 탄지(彈指)하며218)
엄지손가락을 세우고 집게손가락을 반대로 구부려라.219)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고치지 말고
여섯 손가락을 펼쳐서 돌려라.220)
앞의 두 손가락을 역시 고치지 말고
중지를 박(縛)하고 아래의 네 손가락을 당(幢)으로 한다.221)
앞의 인의 모습을 바꾸지 말고
반대로 벌려서 입에서 흩뜨려라.222)
박(縛)으로 말미암아 선(禪)과 지(智)를 세우고
진(進)과 역(力)을 구부려서 연꽃 모양으로 하라.223)
박(縛)으로 말미암아 인(忍)과 원(願)을 세우고
윗마디를 구부려서 검(劍)처럼 하라.224)
인(忍)과 원(願)을 다시 박(縛)에 넣고
네 손가락을 세우며 다섯 손가락을 세워서 교차시켜라.225)
박(縛)한 데서 진(進)과 역(力)을 연꽃처럼 하고
선(禪)과 지(智)를 벌려서 붙여 드리워라.226)
여섯 손가락을 교차시켜 덮고
엄지손가락은 각각 새끼손가락의 손톱을 눌러라.227)
진(進)과 역(力)의 끝을 심장에 대어라.228)
진(進)⋅역(力)⋅단(柦)⋅혜(慧)를 벌리고
새끼손가락을 세워서 진(進)과 역(力)을 갈고리처럼 하라.229)
엄지손가락은 새끼손가락의 밑을 붙잡고 박(縛)하며
진(進)과 역(力)은 그 뒤를 버티고230)
박(縛)을 드리워서 선(禪)과 지(智)를 세워라.231)
이 인을 펼쳐서 이마에 대며232)
배꼽부터 입까지 받들면서 흩뜨려라.233)
손바닥을 춤추듯 회전시키며 정수리에 두고234)
박(縛)으로부터 아래에서 흩뜨려라.235)
박으로부터 받들어 열고 바쳐라.236)
박으로부터 선(禪)과 지(智)를 바늘처럼 하고237)
박을 풀고서 가슴을 비비며238)
박으로부터 진(進)을 갈고리처럼 하라.239)
선(禪)을 지(智)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넣으며240)
위의 네 손가락을 교차하여 둥근 고리처럼 하고241)
선(禪)과 지(智)를 손바닥에 넣고 흔들어라.242)
이들 네 가지 인[四印]은 하나의 박(縛)이다.
그 각각의 진언으로 송한다.
삼마야사다밤243)
三昧耶薩埵鍐
아나야사다밤244)
阿曩耶薩埵鍐
아호 수카245)
阿斛引蘇佉
사도사 도246)
娑度娑引度
소마하 다밤247)
蘇摩訶引怛鍐
로포니요 다248)
嚕藵儞庾二合多
알타바라 디249)
遏他鉢囉二合底丁以反
하하훔하250)
呵呵吽壑
살바가 리251)
薩嚩迦引哩
두카체다252)
耨佉砌那
몯다모디253)
母馱冒地
발라 디삽다254)
鉢囉二合底攝那
소바쉬다람255)
蘇嚩始怛鍐
닐 바야다밤256)
涅儞逸反婆也怛鍐二合
샤도로 박-샤257)
設咄嚕二合薄乞叉二合
살바싣디258)
薩嚩悉地
마하 라디259)
摩訶引囉底丁以反
로파슈볘260)
𡀔波戌陛
슈로 다라 소 계261)
輸𡀔二合怛囉二合燥二合契企耶反
살바보이262)
薩婆布而而移反
바라 하라 니니263)
鉢囉二合訶邏二合儞儞
바라 가미264)
破邏引誐弭
소뎨자 그리265)
素帝惹引吃哩二合
수간당기266)
素巘蕩儗魚枳反
아야 혜자267)
阿夜引呬弱
아혜훔훔268)
阿呬吽吽
헤살보 타밤269)
係薩普引吒鍐
간타아아270)
健吒噁噁
다음은 대공양계(大供養契)로
모든 여래를 공양한다.
반드시 금강박을 결해야 하는데
인상(印相)은 심장으로부터 일으킨다.
처음은 변조존(遍照尊)의
갈마인을 결하는 의궤이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다다바 누다라포자 사바 라나사마예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馱怛嚩二合訥多囉布惹引娑發二合囉拏娑摩曳引
훔271)
吽
다음에 금강살타갈마인(金剛薩埵羯磨印)이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사다바 누다라포자 사바 라 나사마예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耨多囉布惹引娑發二合囉二合努娑摩曳
훔272)
引吽
다음에 금강보갈마인(金剛寶羯磨印)이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라다나 누다라포자 사바 라나사마예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引耨多囉布惹引娑發二合囉拏娑摩曳引
훔273)
吽
다음에 금강법갈마인(金剛法羯磨印)이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달마 누다라포자 사바라 나사마예 훔274)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達摩引耨多囉布惹引娑發囉二合拏娑摩曳引吽
다음에 금강업갈마인(金剛業羯磨印)이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갈마 누다라포자 사바라 나사마예 훔275)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囉二合羯磨引耨多囉布惹引娑發囉二合拏娑摩曳引吽
다음에 심장 위에 금강박의 밀어(密語)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살바 다마나리야 다나포자 사바라 나갈마바아
唵 薩嚩怛他引誐多薩嚩引怛麽涅哩耶二合引怛那布惹引娑發囉二合拏羯磨嚩曰
리 아276)
哩二合阿引
오른쪽 옆구리의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살바 다마 니리 야다나포자 사바라 나갈마 그
唵 薩嚩怛他引誐多薩嚩引怛麽二合涅哩二合耶怛那布惹引娑發囉二合拏羯磨引矻
리 자277)
哩二合弱
왼쪽 옆구리의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살바 다마 니리 야다나 노라가포자 사바라 나
唵 薩嚩怛他引誐多薩嚩引怛麽二合涅哩二合耶怛那引努囉誐布惹引薩發囉二合拏
갈마바네 호278)
羯磨縛儜匿擎反護引
허리 뒤의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살바 다마 니리야 다나사 두가라포자 사바 라
唵 薩嚩怛他引誐多薩嚩引怛摩二合涅哩耶二合引怛那娑引度迦囉布惹引薩發二合囉
나갈마도사티 사279)
拏羯磨覩瑟置引索入
이마 위의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 가다 비세 가라다네 뵤 바아라 마니옴280)
唵 那莫薩嚩怛他引誐多引昆囇引迦囉怛寧二合驃引嚩日囉二合摩尼唵
심장 위에서 돌리는 것이 일륜(日輪)의 모습과 같다.
밀언(密言)으로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가다소리야바아라 뎨니바아라 히-281)
唵 那莫薩嚩怛他誐多蘇哩耶嚩日囉二合帝儞嚩日囉二合以翊二合引
정수리 위에 길게 두 팔을 펼쳐라.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 가다사바리포라나진따 마니드바 자 아리 뵤바아
唵 娜莫薩嚩怛他引誐多捨跛哩布囉拏眞多引摩尼特嚩二合惹引吃唎二合驃嚩日
라 드바자아리 다람282)
囉二合特嚩惹吃哩二合怛㘕
입 위의 소처(笑處)283)에서 풀고 흩뜨려라.
밀어로 송한다.
옴 나마살바다타 가다마하 필리 디바라 모 니야가레뵤 바아라
唵 娜莫薩嚩怛他引㘕多摩訶引必哩二合引底鉢囉二合母引儞耶迦黎驃引嚩日囉二合
하 세하284)
賀引西郝
입 위의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라 달마다 사마 디비 사도 노 미마하 달마
唵 薩嚩怛他引㘕多嚩日囉二合達磨多引三摩引地避入薩覩二合努引彌摩訶引達磨
그리 흐리285)
引吃哩二合▼(口+頡)唎二合
왼쪽 귀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라 자 바라미다 비 니리 하레 사도 노 미
唵 薩嚩怛他引誐多鉢囉二合惹二合波羅蜜多引避引涅哩二合賀㘑二合薩覩二合拏引彌
마하구사 노제담286)
摩訶具沙引努霓淡
오른쪽 귀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나자가라 걸차 라바리 마다나살바소다란 다나
唵 薩嚩怛他引誐多斫羯囉二合引乞叉二合羅鉢唎二合靺怛那薩嚩蘇怛▼(口+賴)二合引多奈
야예 살도노미살바만다례훔287)
耶曳引薩覩努弭薩嚩曼茶黎吽
정수리 뒤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산다바 사몯다상기 디 비 가 남소도 노 미
唵 薩嚩怛他引誐多散馱婆去沙沒馱僧儗魚以反底丁以反避引誐引南蘇覩二合努引弭
바아라 바리체288)
嚩日囉二合嚩利引斫
정수리 위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도파메가사 모나라 사바 라나포자 갈메가라가
唵 薩嚩怛他引誐多度播冥伽三三母捺囉二合薩發二合囉拏布惹引羯迷迦囉迦
라289)
囉
오른쪽 어깨 위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보스바 바라 사라 사바라 나포자 갈메기리기
唵 薩嚩怛他引誐多補澁波二合鉢囉二合娑囉二合薩發囉二合拏布惹引羯迷枳哩枳
리
哩入290)
오른쪽 사타구니 위의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 로가자바 라사바라 나포자 갈메바라바라291)
唵 薩嚩怛他引誐多引𡀔迦入嚩二合攞薩發囉二合拏布惹引羯迷跋囉跋囉入
다시 심장 위에 두고 진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간다삼 모나라 사바라 나포자 갈메로구구로292)
唵 薩嚩怛他引誐多巘陀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布惹引羯迷嚧矩矩嚧入
다음에 산화계(散花契)를 결하라.
그리고 시방을 관찰하고서
‘저는 지금 모든 부처님께
법륜 굴리시기를 권청드립니다’라고 말하라.
다시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지금 이 섬부주(贍部洲)293)와
시방의 세계에서
인간과 천(天)의 뜻하는 대로 피어나는 꽃과
물과 뭍에 있는 꽃을
모두 가지고 시방의 온갖 대살타와
부(部) 가운데의 모든 권속에게
인계와 진언으로 천(天)에 바친다.
내가 일체의 모든 여래께
널리 공양함으로써
사업을 행하기 위한 까닭이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보사바 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唵 薩嚩怛他引誐多補澁波二合布惹引咩伽三去母涅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
훔294)
吽引
또 소향계(燒香契)를 결하고
이렇게 생각하라.
‘인간과 천의 본체(本體)의 향과
화합(和合)한 향과 쉽게 바뀌는 향을
여래의 갈마를 위하여
내가 지금 모두 봉헌한다’고.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도파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唵 薩嚩怛他引誐多度波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
훔295)
吽
다음에 도향계(塗香契)를 결하라.
인간과 천의 본체의 향과
화합한 향과 쉽게 바뀌는 향의
이와 같이 각기 다른 향을
여래의 갈마를 위하여
내가 지금 모두 봉헌한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간다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296)
唵 薩嚩怛他引誐多巘陀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다음에 등계(燈契)를 결하고 나서
이렇게 생각하라.
‘인간과 천의 본체로부터 생하였으나
또한 서로 다른 광명을 가지고
사업을 행하기 위하여
내가 지금 모두 봉헌한다’ 라고.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니바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297)
唵 薩嚩怛他引誐多儞波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삼매야보계(三昧耶寶契)를 하고
이와 같이 생각해야 한다.
‘이 세계 및 다른 세계의
보배 산의 모든 보배 종류와
땅속 및 바다 속의 보배
그 모두로 공양한다.
여래의 갈마를 위하여
나는 지금 모두 봉헌한다’ 라고.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보 다얀가라다나 릉가 라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
唵 薩嚩怛他引誐多髦引特勝誐囉怛那二合稜迦引囉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
바라 나사마예 훔298)
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희희계(嬉戱契)를 결하고 나서
반드시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인간과 천에 있는
갖가지의 모든 가지고 노는 것[玩笑]과
기악(妓樂)의 도구를 가지고
모두 부처님께 공양하며,
이로써 사업을 행하시라고
나는 지금 봉헌해야 한다’ 라고.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하 샤 라 샤하리 나 라디조 계야 누다라 포
唵 薩嚩怛他引誐多賀引寫斯那反邏引寫訖利二合拏引囉底燥引契耶二合引耨怛囉二合布
자 메가삼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299)
惹引咩伽三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살타의 삼매를 결하고
반드시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겁수(劫樹)들과
갖가지 옷과 몸을 장엄하는
자구(資具)를 주는 자,
그들 모두를 공양해서
이로써 사업을 행하시도록 하기 위해
나는 지금 봉헌해야 한다’ 라고.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바아로 파마삼 마디바 바나 파 나모 자나바사나
唵 薩嚩怛他引誐多嚩日𡀔二合跛麽三去摩地婆引嚩那引播引那冒引惹那嚩娑那
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300)
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갈마삼매야(羯磨三昧耶)를 결하고
이와 같이 생각하라.
허공장(虛空藏) 가운데에
계시는 모든 여래의
사업을 내가 잇기 위하여
낱낱의 부처님 앞에
모두 자기 몸이 있다고 상상하고
가까이 섬기며 갖추어 받들어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카 야니리 야다나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唵 薩嚩怛他引誐多迦去耶涅哩二合夜怛那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
나사마예훔301)
拏三摩曳吽
달마삼매야(達磨三昧耶)로써
이렇게 생각하라.
‘지금 곧 나의 이 몸이
모든 보살과 동등하며
모든 법의 실다운 성품은
평등하여서 다름이 없다’고 관하라.
이미 이렇게 관하였으면
이 밀언을 송하라.
밀언으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짇따니리 야다나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
唵 薩嚩怛他引誐多只多涅哩二合夜怛那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
사마예 훔302)
三摩曳引吽
보당삼매야(寶幢三昧耶)로써
생사 가운데에서 온갖 부류의 중생이
고뇌에 얽매여 있음을 관하고
깊이 애민하는 마음을 일으켜라.
‘나는 지금 구호하고 또 보리심을 지켜주기 위해
아직 제도하지 않은 자를 구제하고,
아직 안락을 얻지 못한 자를 안락케 하며
모두 열반을 얻게 하고
나아가 갖가지 보배를 비처럼 뿌려서
구하는 바를 만족케 하리라.’
이러한 생각을 하고 나서
이 밀언을 송하라.
옴 살바다타 가다마하바아로 읍 바 바다나바 라미다포자 메가
唵 薩嚩怛他引誐多摩訶嚩日𡀔二合捻匿邑反婆二合嚩娜那波引羅蜜多布惹引咩伽
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303)
三去畝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다음에 향신계(香身契)를 결하고
삼매야도향(三昧耶塗香)으로써
이렇게 생각하라.
‘바라나니 일체 중생의
3업의 모든 착하지 않은 것들을
모두 다 멀리 여의고
일체의 모든 선법을
모두 다 성취하기를 바랍니다.’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 누다라 마하 모 디야 하라가시 라 바 라밀다
唵 薩嚩怛他引誐多引拏多囉 摩訶引冒引亭夜引賀囉迦尸引羅 波引囉密多
포자 메가삼 모날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304)
布惹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갈마촉지(羯磨觸地)인을 결하고
다시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바라건대 온갖 중생이
자심에 뇌해(惱害)함이 없고
모든 두려움을 멀리 여의어
서로 보는 데에 마음에 환희하고
모든 상을 장엄하며
깊고 깊은 법장(法藏)으로 되기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 누다라 마하 달마바모 다가샨 뎨바 라밀다포자
唵 薩嚩怛他引誐多引耨多囉二合摩訶引達摩嚩冒引陀乞鏟二合底波引囉蜜多布惹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훔305)
引咩伽三去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吽
투승정진계(鬪勝精進契)는
삼매야갑주(三昧耶甲冑)이다.
이렇게 생각한다.
‘바라건대 일체 중생으로
보살행을 닦는 자가
견고한 갑주를 입게 되기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 가다싱 사 라바리탸- 가노다라마하 미 리야 바 라
唵 薩嚩怛他引誐多僧去娑去囉鉢𠼝丁夜二合誐努怛囉摩訶引尾引哩耶二合波引囉
미다 포자 메가삼 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 훔306)
蜜多引布惹引咩伽三去母涅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引吽
삼마지계(三摩地契)를 결하라
북방불(北方佛)의 갈마이다.
응당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바라건대 모든 중생이
번뇌와 수번뇌(隨煩惱),
원수(怨讐)를 조복하여
깊고 깊은 선정을 획득하기를’
이어서 이 밀어를 송하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누다라 마하조기야 미 하 라지나바 라미다포자
唵 薩嚩怛他誐多耨怛囉二合摩訶燥企耶二合尾短呼賀引囉𠆙那波引囉蜜多布惹
메가삼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훔307)
咩伽三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吽
변조세존(遍照世尊)의
뛰어난 갈마계(羯磨契)를
결하고 나서 이렇게 생각하라.
‘바라건대 일체 중생이
다섯 가지의 명(明)을 성취하고
세간과 출세간의 지혜를 두루 성취하여
이로써 진실한 견해를 획득하며
번뇌장(煩惱障)을 제거하는 지혜와
변재(辯才)와 무외(無畏) 등의
불법(佛法)으로써
그 마음을 장엄하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진언을 송하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누다라 그 샤니 야바라나바 사나미나야나마하바
唵 薩嚩怛他誐多耨怛囉二合稽上賖抳尼曳反上耶嚩囉拏嚩引娑那尾那也那摩訶鉢
라 자 바라미다포자메가삼모나라 사바라 나사마예훔308)
囉二合惹而耶反波羅蜜多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曳吽
승상삼마지(勝上三摩地)의 인계를 차례대로 결해야 한다.
두 손을 밖으로 서로 교차하고
선(禪)과 지(智)를 서로 비틀어 받들고
가슴에 대며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제법의 참다운 성품은
공(空)으로서 상(相)도 없고 지음도 없다.
제법은 모두 이와 같다고
관하고 나서 밀언을 송하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우혜야마하바라 디 바디 포자메가삼모나라
唵 薩嚩怛他誐多噳呬耶摩訶鉢囉二合底丁以反鉢底丁移反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
사바라 나사마예훔309)
薩發囉二合拏三摩曳吽
다음에 손톱을 합하고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일체 중생이 내가 지금 하는 말을
모두 다 듣게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서 이 밀언을 송하라.
밀어로 송한다.
옴 살바다타가다바 나리 야다나포자메가삼모나라 사바라 나사마
唵 薩嚩怛他誐多嚩引涅哩二合夜怛那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發囉二合拏三摩
예훔310)
曳吽
이와 같이 널리 불사를 행하고 나서
다음에 자세하게 마음으로 염송해야 한다.
큰 대중들의 권속이 자신을 둘러싸게 하고
원적(圓寂)의 대경지(大鏡智)에 머물러라.
반드시 금강삼매야를 결하고
금강백자(金剛百字)의 명(明)을 송하라.
다음에 금강살타의 명을
혹은 세 번 혹은 다섯 번, 혹은 일곱 번을 송하라.
백자진언을 송한다.
옴 바아라 사다바 삼마야마노바라야바아라 사다바 디미노파
唵 嚩日囉二合薩埵嚩二合三摩耶摩努播攞耶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底尾努播
디사타 열리 다 미바바소도사유미바바아누락-도미바바소보사
底瑟咤二合涅哩二合濁輕呼弭婆嚩素覩使喩弭婆嚩阿努𠸪訖覩弭婆嚩素補使
유미바바살바싣디미바라 야차살바갈마소자미짇다시리 야구로하하
喩弭婆嚩薩嚩悉地弭鉢囉二合也瑳薩嚩羯磨素者弭只多室唎二合藥句嚧呵呵
하하호바가범살바타가다바아라 마미문차바아리 바바마하삼마야사
呵呵斛薄伽梵薩怛他誐多嚩日囉二合磨弭悶遮嚩日唎二合婆嚩摩訶三昧耶薩
다바아311)
怛嚩噁
다음에 주만(珠鬘)을 받들어 올리고
진언을 일곱 편 송해야 한다.
다시 가지구(加持句)로써
여법하게 가지하고
단정하게 앉는 것을 의칙과 같게 하라.
응당 금강어로써
1천 혹은 백 번을
마음 가는대로 염송해야 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사다바 아312)
唵 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噁
다음에 연화삼매야를 결하고
본 진언을 일곱 편 송하고 나서
바로 연화백자명(蓮華百字明)을 송하여서
혹은 한 번, 혹은 세 번, 혹은 일곱 번에 이르게 하라.
이 연화백자진언은 위의 금강백자진언과 같고 오직 바나마(鉢娜麽)313) 및 뒤의 종자(種子)를 바꾸어서 흐리(▼(口+頡)唎)314)로 한 것이다. 곧 이 두 손으로 주만을 받들어 올리고 본 진언을 일곱 편 송하며 주(珠)를 정수리에 받들어 올리고 심진언으로 가지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우혜야자바사마예훔315)
唵 嚩日囉二合噳呬也惹波三摩曳吽
이미 주(珠)를 가지하였으면
등인(等引)에 머물러서 송하라.
혀끝을 움직이지 말고
입술과 이[齒] 둘을 함께 합하며
밀어의 가르침을 성취하라.
금강어(金剛語)로 소리를 내지 말고
몸을 쫓아 상호를 관하라.
4시(時)에 빠뜨리지 말고
백천(百千) 번 하는 것을 정하는데
또 다시 이것을 넘어서야 한다.
그러면 신통과 복지(福智)가
현세에 금강살타와 동등해질 것이다.
정해놓은 염송을 마치고
주만을 받들어 크나큰 원을 발하며
삼마지인을 결하고
법계삼매에 들어라.
수행하는 자는 삼매에서 나와
곧 근본인(根本印)을 결하고
본 진언을 일곱 편 송하라.
다시 8공양을 수행하고
묘음(妙音)으로써 찬탄하며
알가향수(閼伽香水)를 바쳐라.
항삼세인을 가지고
왼쪽으로 돌려서 해계(解界)하라.
다음에 삼매권(三昧拳)을 결하고
한 번 송하여 당겨 벌려라.
다음에 갈마인을 결하고
세 번 송하여 세 번 손을 벌려라.
저들로부터 출생하는
일체의 인이라면
저들에게서 반드시 풀어야 하는데
그것은 이 진언심(眞言心)으로 할 수 있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무316)
唵 嚩日囉二合穆
다음에 봉송인(奉送印)을 결하고
두 손을 금강박으로 하고
인(忍)과 원(願)을 연잎처럼 하며
손가락의 끝에 계절 따라 피는 꽃을 두어라.
송하고 나서 위로 던져라.
성스러운 대중을 봉송하기 위함이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가리 도 바 살바사다바 라타 싣디나다 야타 누가살차드밤
唵 訖哩二合覩引嚩無博反薩嚩薩怛嚩二合囉他二合悉地娜多引野他引努誐薩車特▼(口+梵)
몯다비샤얌포자나라 가마나야도 옴바나마 사다바 무317)
二合勃馱尾灑鹽布惹娜囉引誐摩那野覩 唵鉢娜麽二合薩怛嚩二合穆
다음에 보인(寶印)을 결해야 한다.
두 손을 금강박으로 하고
진(進)과 역(力)을 보배모양처럼 하며
선(禪)과 지(智)도 역시 또 그렇게 하라.
인상(印相)은 심장으로부터 일으켜서
관정처(灌頂處)에 대고
손을 나누어 만(鬘)을 묶는 것처럼 하고
다음에 갑주인(甲冑印)을 결하라.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라다나 비선자맘 살바모나라 메나라 리뎨 구로
唵 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引毘詵者𤚥引薩嚩母捺囉二合咩捺囉二合哩墀引矩嚕
바라가바체나밤318)
嚩囉迦嚩制那▼(口+梵)
다음에 갑옷을 입고 나서
손바닥을 가지런히 하여 세 번 치고
성중들로 하여금 환희케 하라.
이 심진언으로써 박(縛)을 풀고
환희를 얻어 금강의 체를 획득한다.
진언으로 송한다.
옴 바아라 도사야 호319)
唵 嚩日囉二合覩瑟也二合斛引
성스러운 존을 봉송하고 나서
가지계(加持契)를 결해야 한다.
명(明)을 송하고 네 곳에 대어
관정하며 갑주를 입어라.
또 박(拍)의 인의(印儀)를 가지고
앞과 같이 네 부처님께 예를 드리고
참회하며 아울러 발원하라.
그런 다음에 한가하고 고요한 곳에서
향기로운 꽃으로 장엄하며
삼마지에 머물러
대승경전을 독송하며
뜻에 따라서 경행(經行)에 임하라. - 036_0979_a_01L金剛頂蓮華部心念誦儀軌 一卷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 不空奉詔譯歸命禮普賢 金剛蓮花手 說修瑜伽法先應禮三寶 長跪合蓮掌 運心對聖衆陳罪應隨喜。次觀一切法 遠離於塵垢 應誦此眞言器界皆淸淨 淨地眞言曰唵囉儒波誐哆薩嚩達摩次當淨三業 觀法本淸淨 誦此眞言明三業皆淸淨 淨身眞言曰沙嚩二合婆嚩秫馱薩嚩達摩由此眞言故 其身成法器 於虛空觀佛遍滿如胡麻 則誦遍照明 歷然見諸佛觀佛眞言曰:欠嚩日囉二合馱睹吽字想於心 變成五股杵 應想遍身中所有微塵數 爲金剛薩埵 金剛掌舒臂全身委地禮 捨身遍法界 奉獻阿閦尊盡禮事諸佛。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布儒波薩他曩也怛摩二合喃你哩耶多夜弭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地瑟咤二合娑嚩二合𤚥吽次想怚二合字 於額金剛寶 想身爲寶形身中微塵數。 想成金剛藏 全身以額禮金剛掌於心 奉獻寶生尊 想於無邊剎。首持五佛冠灌一切佛頂,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布惹毘曬迦耶怛麽二合喃你哩耶多夜弭薩嚩怛他誐哆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毘詵者𤚥怛二合觀紇哩二合於口 卽想八葉蓮 觀身爲蓮華身中微塵數。 想成金剛法 全身以口禮金剛掌於頂 奉獻無量壽。 想遍諸佛會而請轉法輪。眞言曰:唵薩嚩怚他誐多布惹鉢囉二合嚩哩多二合那耶怛麽二合喃你哩二合耶多耶弭薩嚩怚他誐多嚩日囉二合達麽引鉢囉二合嚩哩多耶𤚥紇哩二合噁字想於頂 變爲業金剛 觀身普金剛身中微塵數。 皆成金剛業 全身以頂禮當心金剛掌 奉獻不空尊。 想於普集會觀金剛業身 而作大供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布惹羯磨抳阿怛麽二合喃你哩耶多夜弭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羯磨矩嚧𤚥噁噁噁次結金剛持大印 禪慧檀智反相叉右膝著地置頂上 一一想禮如來足。舒指從頂如垂帶 從心旋轉如舞勢金剛合掌置頂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迦耶嚩訖只多嚩日囉二合嚩娜南迦嚕弭唵縛日囉二合勿微一反歸命十方正等覺 最勝妙法菩薩衆以身口意淸淨業 慇懃合掌恭敬禮無始輪迴諸有中 身口意業所生罪如佛菩薩所懺悔 我今陳懺亦如是諸佛菩薩行願中 金剛三業所生福緣覺聲聞及有情 所集善根盡隨喜一切世燈坐道場 覺眼開敷照三有我今䠒跪先勸請 轉於無上妙法輪所有如來三界主 臨般無餘涅槃者我皆勸請令夂住 不捨悲願救世閒懺悔隨喜勸請福 願我不失菩提心諸佛菩薩妙衆中 常爲善友不厭捨離於八難生無難 宿命住智相嚴身遠離愚迷具悲智 悉能滿足波羅蜜富樂豐饒生勝族 眷屬廣多恒熾盛四無㝵辯十自在 六通諸禪悉圓滿如金剛幢及普賢 願讚迴向亦如是行者廣大願 次應發勝心 願一切有情如來所稱讚 世閒出世閒 速成勝悉地眞言日:唵薩嚩怛他誐多商斯哆引薩嚩薩埵喃薩嚩悉馱藥三波你演二合耽引怛他誐多室者二合地底瑟姹坼諫反耽引麽咤爲兩目 應觀爲日月 二手金剛拳各安於腰側 遍視空中佛 諸佛皆歡喜所有香花等 及餘供養具 因此目瞻睹去垢成淸淨 辟除成結界。眞言曰:唵嚩日囉二合涅哩二合瑟致二合麽咤福智二羽合 十度初交分 名爲金剛掌一切印之首。眞言曰:唵嚩日㘓二合引惹哩卽彼金剛掌 十度結爲拳 名爲金剛縛能解結使縛。眞言曰:唵嚩日囉二合引滿馱卽以金剛縛 能淨第八識 亦除雜染種怛囉二合咤二字 想安於兩乳 二羽金剛縛掣開如戶扇。眞言曰:唵嚩日囉二合滿馱怛囉二合咤半音卽以金剛縛 禪智屈入掌 檀慧戒方開想召無漏智 入於藏識中眞言曰:唵嚩日囉二合引吠奢噁卽以前印相 進力拄禪智 以附於心門無漏智堅固。眞言曰:嚩日囉二合母瑟致二合鍐二羽金剛縛 忍願豎如鍼 纔誦眞言已自身成普賢 坐於月輪上 身前觀普賢眞言曰:唵三摩耶引薩怛鍐二合引行者次應結 大誓眞實契 二羽金剛縛檀慧禪智豎。忍願交入掌 指面令相合以二度刺心 名爲大悲箭 以射厭離心極喜三昧耶 警覺本誓願眞言曰:唵三昧耶斛引蘇囉多薩怛鍐三合行者次應結 降三世大印 二羽忿怒奉檀慧背鉤結 進力二皆豎 身想忿怒王八臂而四面 笑怒恐怖形 四牙熾盛身右足笡左直 踏大天及后 勵聲誦眞言旋轉於十方 左轉成辟除 右旋成結界眞言曰:唵蘇婆你蘇婆吽蘖哩訶拏蘖哩訶拏吽蘖哩訶拏播野吽訶曩野斛婆誐鍐嚩日囉二合吽癹咤半聲次結金剛蓮 二羽金剛縛 檀慧禪智豎蓮華三昧耶 得成蓮華部 轉輪之主宰眞言曰:唵嚩日囉一合鉢娜摩二合三摩耶薩怛二合阿賴耶識中 違背菩提種 次結法輪印摧彼厭離輪 卽前蓮華印 檀慧而交豎摧掣於自心 卽滅二乘種眞言曰:吽咤抧薩怖二合咤耶摩訶尾囉誐嚩日㘕二合嚩日囉二合馱囉薩帝曳二合曩坼勅角反卽結大欲印 二羽金剛縛 禪入智虎口隨誦而出入。眞言曰:唵蘇囉多嚩日㘕二合吽鍐斛引三昧耶薩怛二合大樂不空身 印契同於上 普願諸有情速證如來地 修行瑜伽者 應發如是心成熟衆生已 次當召一切 自成大深智菩提大欲滿 圓成大悲種眞言曰:唵摩訶蘇佉嚩日㘓二合娑馱耶薩嚩薩怛吠二合毘喩二合吽鍐斛次結召罪印 二羽金剛縛 忍願申如鍼進力屈如鉤 起大悲愍心 來去而觀想召諸有情罪 自身三惡趣 衆罪召於掌黑色如雲霧 衆多諸鬼形眞言曰:唵薩嚩播波迦哩灑二合拏嚩日囉二合薩怛縛二合三摩耶吽發咤咤半聲次結摧罪印 八度內相叉 忍願如前豎應觀獨股杵 當應自身相 變成降三世勵聲誦眞言 內心起慈悲 忍願應三拍摧諸有情罪 三惡皆辟除眞言曰:唵嚩日囉二合播尼尾薩普咤二合耶薩嚩播耶滿馱那你鉢囉二合謀訖灑二合耶薩嚩播耶誐底丁以反毘藥二合薩嚩薩怚縛二合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三摩耶吽怛囉二合咤半音次淨三業障 令滅決定業 二羽金剛掌進力屈二節 禪智壓二度 結此業障除眞言曰:唵嚩日囉二合羯磨尾輸馱耶薩嚩嚩囉拏你母馱薩底曳曩吽次成菩提心 自他令圓滿 印如蓮華契安於頂之左。眞言曰:唵戰捺嚧二合多三曼多婆捺囉二合抧囉尼摩訶嚩日哩二合尼吽運心諸有情 月上如來威 速成如普賢瑜伽經所說 應結跏趺坐 支節不動搖應結等持印 二羽金剛縛 仰安於臍下端身勿搖動 舌拄於上齶 止息令微細諦觀諸法性 皆由於自心 煩惱隨煩惱蘊界諸入等 皆如幻與焰 如乾闥婆城亦如旋火輪 又如空谷響 如是諦觀已不見於身心 住寂滅平等 究竟眞實智卽觀於空中 諸佛如胡麻 遍滿虛空界想身證十地 住於如實際 空中諸如來彈指而警覺 告言善男子 汝之所證處是一道淸淨 金剛喩三昧 及薩婆若智尚未能證知 勿以此爲定 應滿足普賢方成最正覺 身心不搖動 定中禮諸佛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波娜滿娜南引迦嚕弭行者聞警覺 定中普禮已 唯願諸如來示我所行處 諸佛同音言 汝應觀自心旣聞是說已 如教觀自心 久住諦觀察不見自心相 復想禮佛足 白言最勝尊我不見自心 此心爲何相 諸佛咸告言心相難可測 授與心眞言 卽誦徹心明觀心如月輪 若於輕霧中 如理諦觀察眞言曰:唵只多鉢囉二合底吠鄧迦嚕弭藏識本非染 淸淨無瑕穢 由具福智故自心如滿月 復作是思惟 是心爲何物煩惱習種子 善惡皆由心 心爲阿賴耶修淨以爲因 六度熏習故 彼心爲大心藏識本非染 淸淨無瑕穢 髟時積福智喩如淨滿月 無體亦無事 卽說亦非月由具福智故 自心如滿月 踊躍心歡喜復白諸世尊 我以見自心 淸淨如滿月離諸煩惱垢 能執所執等 諸佛皆告言汝心本如是 爲客塵所翳 菩提心爲淨汝觀淨月輪 得證菩提心 授此心眞言密誦而觀察。眞言曰:唵冒地只多母馱波那夜弭能令心月輪 圓滿益明顯 諸佛復告言菩提心堅固。 復授心眞言:唵素乞叉二合麽嚩日囉二合觀五股金剛蓮華眞言曰:唵底瑟侘二合嚩日囉二合鉢娜麽汝於淨月輪 觀八葉蓮華 令普周法界唯一大蓮花。 應當知自身 金剛蓮華界。眞言曰:唵嚩日囉二合怛麽二合句含自身爲蓮花 淸淨無染著 復白諸佛言我爲蓮華身。 時彼諸如來 便勅行者言觀身如本尊。 復授此眞言:唵野他引薩嚩怛他誐多薩怛他 二合引含旣成本尊身 結如來加持 不改前印相應誦此眞言。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避三冒地涅哩 二合茶嚩日囉二合地瑟姹二合次結四如來 三昧耶契印 各以本眞言而用加持身。 不動佛於心 寶生尊於額無量壽於喉 不空成就頂。眞言曰:唵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唵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引地瑟姹二合娑嚩 二合𤚥唵嚩日囉二合達麽引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唵嚩日囉二合羯麽引地瑟姹二合娑嚩二合𤚥旣以加持身 次應授灌頂 五如來印契各如三昧耶。 遍照灌於頂 不動佛於額寶生尊頂右 無量壽頂後。 不空成就佛應在頂之左眞言曰:唵薩嚩怛他蘖帶引濕嚩二合囉耶引二合毘曬引迦吽唵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引毘詵遮𤚥引吽唵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引毘詵遮𤚥怛二合唵嚩日囉二合鉢娜麽二合毘詵遮𤚥引紇哩二合唵嚩日囉二合羯麽引毘詵遮𤚥引噁次於灌頂後 應繫如來鬘 四方諸如來皆三昧耶契 額前二羽分 三結於頂後向前如帶垂 先從檀慧開唵嚩日囉二合薩怚嚩二合麽攞毘詵遮𤚥鍐唵嚩日囉二合囉怛曩二合麽攞毘詵遮𤚥鍐唵嚩日囉二合鉢娜麽麽攞毘詵遮𤚥鍐唵嚩日囉二合羯麽麽攞毘詵遮𤚥鍐次於諸有情 當興大悲心 無盡生死中恒被大誓甲 爲淨佛國土 降伏諸天魔成最正覺故 被如來甲胄 二羽金剛拳當心舒進力 二度相縈繞 心背臍兩膝臍腰心兩肩 喉項額又頂 各各三旋遶徐徐前下垂 先從檀慧散 卽能護一切天魔不能壞。眞言曰:唵砧次應金剛指 平掌而三拍 由此印威力縛解解者縛 便成堅固甲 聖衆皆歡喜獲得金剛體 如金剛薩埵眞言曰:唵嚩日囉二合睹瑟也二合斛引次結現智身 二羽金剛縛 禪智入於掌身前想月輪 於中觀本尊 諦觀於相好遍入金剛已 本印如儀則 身前當應結思惟大薩埵。眞言曰:唵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噁次結見智身 契印如前相 見彼智薩埵應觀於自身 鉤召引入縛 令喜作成就眞言曰:唵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捏哩二合捨也二合次結四字明 印如降三世 初進如鉤形次進力互交 仍屈頭相拄 次應互相鉤次腕合而振 由此四明印 召引縛令喜眞言曰:弱吽鍐斛引此三昧耶印 當結金剛縛 忍願豎如鍼成本尊瑜伽 誦三昧耶薩埵鍐背後遍入贊捺囉 於中等觀薩埵體我三昧耶薩怛鍐。眞言曰:三摩喩唅摩訶三摩喩唅次應想大海 八功德之水 於上想金龜七金山圍遶 想山閒有河 皆八德水成想種子幷誦唅鍐與鉢囉。眞言曰:唵尾摩嚧娜地吽次想須彌盧,皆以四寶成。眞言曰:唵阿者攞吽上想寶樓閣 則結金剛輪 由此印威力則成諸輪壇 二羽金剛拳 進力檀慧鉤於中應觀想 輪壇如本教 卽於寶閣中而觀曼茶羅。眞言曰:唵嚩日囉二合斫迦囉二合吽次應誦啓請 不改前印相 想白諸聖尊降此曼茶羅。啓請曰:野引毘焰二合引涅你逸反尾竭那娑上斫迦囉二合悉地寫去多畝陛靺嚩日囉二合軍茶利係都毘焰二合哆引毘焰二合麽薩睹娑娜曩莫次結開門契 想開大壇門 二羽金剛拳壇慧應相鉤 進力豎側合 每門誦眞言應吽而擘開 從東而右旋 每方面向門若方所小狹 卽應觀想中 運心如本教眞言曰:唵嚩日囉二合娜嚩二合嚧嗢娜笳二合咤也三摩耶鉢囉二合吠舍耶吽次結啓請契 啓白於聖尊 二羽金剛縛忍願應豎合 進力屈如鉤 中後而不著稱名而啓請。 三唱伽他曰:阿演去都薩吠慕嚩乃迦娑囉引鉢囉二合拏弭哆引世沙迦𦼈初句反囉摩囉引娑乞义二合得訖哩二合哆難上哆婆嚩娑嚩二合婆嚩娑嚩二合演慕髦難多婆嚩娑嚩二合婆嚩次觀佛海會 諸聖普雲集 交臂作彈指指聲遍法界。眞言曰:唵嚩日囉二合娑摩惹諸如來集會,皆在於虛空,誦一百八名,讚禮曼茶囉衆。讚曰: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摩訶薩怛嚩一二合嚩日囉二合薩嚩怚他蘖多二三曼多跋涅囉二合嚩日囉二合你耶三嚩日囉二合播儜曩牟薩都帝嚩日囉二合囉惹蘇沒馱誐哩耶二合嚩日啷二合矩捨怛他蘖多二阿目伽囉惹嚩日囉二合你耶三嚩日囉二合葛沙曩牟薩睹二合帝四嚩日囉二合囉誐摩訶燥企也一嚩日囉二合嚩拏嚩商迦囉二麽囉迦摩摩訶嚩日囉二合三嚩日囉二合赭波南牟薩睹帝四嚩日囉二合娑度蘇嚩日囉二合蘖囉一嚩日囉二合都瑟𪘨摩訶囉諦二引鉢囉二合母你耶囉惹嚩日囉二合你耶三嚩日囉二合喝沙曩牟薩睹帝四嚩日囉二合囉怛那蘇嚩日囉二合囉他一嚩日囉二合阿迦捨摩訶摩尼二阿迦捨蘖婆嚩日囉二合茶雉也反三嚩日囉二合蘖婆曩牟薩睹帝四嚩日囉二合帝惹摩訶爾嚩二合囉一嚩日囉二合素哩耶爾曩鉢囉二合婆二嚩日囉二合囉濕彌摩訶帝惹三嚩日囉二合鉢囉二合婆曩牟薩睹帝四嚩日囉二合計睹蘇娑怛嚩二合囉他一嚩日囉二合特嚩二合惹蘇睹灑迦囉怛那計睹摩訶嚩日囉二合三嚩日囉二合也瑟𪘨曩牟薩都帝四嚩日囉二合賀娑一摩賀賀娑嚩日囉二合悉弭多摩訶曩步多二必里低丁移反鉢囉二合母你耶嚩日囉二合儗哩耶三嚩日囉二合必哩帝曩牟薩睹帝四下同嚩日囉二合達摩蘇上娑怛嚩二合囉他一嚩日囉二合鉢娜摩蘇戍馱迦二路計濕嚩囉蘇嚩日囉二合乞叉二合三嚩日囉二合儜上怛囉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底丁以反乞叉二合拏摩訶也那一嚩日囉二合句捨摩訶庾馱二曼殊室唎二合嚩日囉二合儼吳甘反鼻哩耶三嚩日囉二合沒第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係睹摩訶曼茶一嚩日囉二合斫羯囉摩訶曩耶二蘇鉢囉二合靺怛曩二合蘇嚩日路二合囉他三嚩日囉二合曼茶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婆沙蘇微微反 你耶蘖囉一嚩日囉二合惹波蘇悉地那二阿嚩遮嚩日囉二合微同上反你耶蘖囉二合三嚩日囉二合婆沙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羯磨蘇嚩日囉二合抧孃二合一 羯磨嚩日囉二合蘇娑嚩蘖囉二合二嚩日囉二合目伽摩呼娜哩耶三嚩日囉二合尾濕嚩二合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囉乞叉二合摩訶吠哩二合耶一嚩日囉二合靺摩摩訶涅哩二合茶去二訥哩庾二合馱那蘇微同上反哩也二合仡哩二合耶三嚩日囉二合尾哩也二合仡哩二合耶三嚩日囉二合尾哩耶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藥乞叉二合摩呼播耶一嚩日囉二合鄧瑟咤二合囉摩訶婆耶二麽囉鉢囉末你嚩日囉二合蘖囉三嚩日囉二合戰拏南牟薩睹帝嚩日囉二合散地蘇娑寧上地耶 嚩日囉二合滿馱鉢囉二合毛斫迦二嚩日囉二合母瑟咤耶蘖囉三摩耶三嚩日囉二合母瑟𪘨二合南牟薩睹帝次結四明印 印如降三世 鉤屈進度招索進力如環 鎖開腕相鉤 鈴合腕以振各誦本眞言。 眞言曰:唵嚩日啷二合引矩捨弱嚩日囉二合播捨吽嚩日囉二合娑普引咤鍐嚩日囉二合吠捨惡次結金剛,拍令聖衆,歡喜眞言曰:唵嚩日囉二合哆囉睹瑟使也二合斛次入平等智 捧閼伽香水 想浴諸聖身當得灌頂地。眞言曰:唵嚩日囉二合娜迦吽次結振鈴印 右杵左振鈴 心入聲解脫觀照般若理。眞言曰:唵嚩日囉二合健咤睹使也二合斛引次結羯磨印 於心而修習 諦觀心月輪而有羯磨杵 應結金剛拳 等引而兩分左羽金剛拳 以握力之端 左拳安於臍右羽垂觸地 左拳如前相 右羽爲施願二羽仰相叉 進力豎相背 禪智撗其端左拳復安臍 右羽施無畏 是五如來契彼彼眞言曰:唵質多鉢囉二合底微鄧迦嚕弭唵冒地只多母怛波那夜弭唵底瑟咤二合嚩日囉二合唵嚩日囉二合引怛摩句唅唵曳他薩嚩怛他引蘖多薩怛他引唅次當結羯磨 四波羅蜜契 各如本佛印而誦於眞言。彼彼眞言曰:唵薩怛嚩二合嚩日哩二合囉怛那嚩日哩二合達摩嚩日哩二合羯磨嚩日哩二合次結十六尊 羯磨契之儀 左拳安腰側右羽搊擲杵 二拳交抱胸 進力鉤以招二拳如射法 當心作彈指 進力如寶形於心旋日輪 右肘拄左拳 二拳口仰散左蓮右開契 左手想持花 右手如把劍覆拳進力拄 於臍而半轉 竝至口仰散先從禪智舒 旋舞心兩頰 金剛掌於頂二拳被甲胄 進力禪智互 二拳而相合十六大士印 內外八供養 幷及於四護印相今當說 二拳各腰側 向左小低頭二拳以繫鬘 從額頂後垂 二拳側相合從臍至口散 二拳生舞儀 旋轉掌於頂以金剛拳儀 燒香等四印 以降三世印鉤鎖等四攝 竝拳向下散 仰散如捧獻禪智豎如鍼 開掌塗胸前 進屈如鉤形進力曲相捻 二度便相鉤 合腕微搖動彼彼眞言曰: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阿嚩日囉二合囉惹弱嚩日囉二合囉誐護嚩日囉二合娑度索嚩日囉二合囉怛那二合唵嚩日囉二合帝惹暗引嚩日囉二合計都怛嚂嚩日囉二合賀娑郝嚩日囉二合達磨紇哩二合嚩日囉二合底引乞叉二合拏淡嚩日囉二合曳都𤚥嚩日囉二合婆娑㘕嚩日囉二合羯磨釰嚩日囉二合囉乞叉二合唅嚩日囉二合藥乞叉二合吽嚩日囉二合散引地鍐嚩日囉二合邏引細護引嚩日囉二合摩黎怛囉二合咤半音嚩日囉二合儗引帝儗引嚩日囉二合涅㗚二合帝訖哩二合咤嚩日囉二合度箄娿嚩日囉二合補澀篦唵嚩日囉二合路引計你引嚩日囉二合巘提虐嚩日啷二合矩捨弱嚩日囉二合播捨吽嚩日囉二合薩普咤鍐嚩日囉二合吠捨斛引右心左按地 遶輪壇四面 各一稱眞言安立賢劫位眞言曰吽次結三昧耶 於舌觀金剛 先合金剛掌便成金剛縛 忍願如釰形 進力附於背忍願豎如鍼 及屈如寶形 㧙屈如蓮葉面合於掌中 檀慧禪智合 是爲五佛印彼彼眞言曰嚩日囉二合抧惹二合南阿去引嚩日囉二合抧惹二合喃吽嚩日囉二合抧惹二合南怛二合嚩日囉二合抧惹二合南▼(口+頡)唎嚩日囉二合抧惹二合南噁次結三昧耶 四波羅蜜契 各如本佛印別別誦眞言彼彼眞言曰嚩日囉二合室哩一合吽嚩日囉二合 戛百列反唎怛㘕一合嚩日囉二合多羅▼(口+頡)哩佉靺日哩二合尼斛引次結十六尊 八供與四攝 三昧耶印契忍願豎如鍼 小大開而豎 次以金剛縛進力屈如鉤 因鉤便交豎 不解縛彈指大豎次反屈 不改大與次 舒六而旋轉前二亦不改 中縛下四幢 不易前印相反開散於口 由縛禪智豎 進力屈如蓮由縛豎忍願 屈上節如鉤 忍願復入縛四豎五豎交 由縛進力蓮 禪智開偃附六度叉而覆 大各捻小甲 進力鍼當心進力檀慧開 小豎進力鉤 縛大捻小根進力拄其背 縛偃豎禪智 此印屈當額從臍口仰散 旋舞掌於頂 由縛而下散從縛仰開獻 由縛禪智鍼 解縛摩於胸由縛進如鉤 禪入智虎口 上四交如環禪智入掌搖 四印而一縛彼彼眞言曰三昧耶薩怛鍐阿曩耶薩怛鍐阿斛引蘇佉娑度娑度蘇摩訶怛鍐嚕襃你庾二合多遏他鉢囉二合底丁以反呵呵吽壑薩嚩迦哩耨佉砌那母馱冒地鉢囉二合底攝那蘇嚩姑怛鍐二合涅竹逸反婆也怛鍐二合設咄嚕薄乞叉二合薩嚩悉地摩訶囉底丁以反波戍陛輸二合怛囉二合燥引契企耶反薩婆布而而移反鉢囉二合訶邏引你你破邏引誐弭素帝惹引吃哩二合素巘蕩儗魚抧反阿夜引呬弱阿呬呬吽係薩普引咤鍐健咤噁噁次大供養契 供養諸如來 應結金剛縛印相從心起 初結遍照尊 羯磨之印儀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馱怛嚩二合訥多羅布惹娑癹囉拏娑摩曳吽次金剛薩埵羯磨印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耨多羅布惹娑癹囉二合拏娑摩曳吽金剛寶羯磨印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囉怛那引耨多囉布惹娑癹囉拏娑摩曳吽次金剛法羯磨印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達摩耨多囉布惹娑癹囉二合拏娑摩曳吽次金剛業羯磨印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羯磨引耨多囉布惹娑癹囉二合拏娑摩曳吽次心上金剛縛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薩嚩怛摩涅哩耶怛那布引惹娑癹囉二合拏羯磨嚩日哩二合阿引左脅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薩嚩怛麽涅哩二合耶怚那布惹薩癹囉二合拏羯磨矻哩二合弱右脅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薩嚩引怛麽涅哩二合耶怛那努囉誐拏布惹薩發囉二合拏羯磨縛儜匿擎反護引腰後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薩嚩引怛摩涅哩耶怛那娑度迦囉布惹薩癹囉拏羯磨睹瑟置引索 額上密語曰唵那莫薩嚩怛他誐多引毘曬引迦囉怛寧二合驃嚩日囉二合摩尼唵心上旋轉如日輪相密語曰唵那莫薩嚩怛他誐多蘇哩耶嚩日囉二合帝爾你嚩日囉二合以翊二合引頂上長舒二臂密語曰唵娜莫薩嚩怛他誐多引捨跛哩布囉拏眞多摩尼特嚩惹吃唎二合驃嚩日囉二合特嚩惹吃哩二合怛嚂口上笑處解散密語曰唵娜莫薩嚩怚他誐多摩訶必哩底鉢囉二合母你耶迦黎驃嚩日囉二合賀西郝口上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達磨多三摩地避薩睹努彌摩訶達磨吃哩二合▼(口+頡)唎二合左耳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鉢囉二合惹波囉蜜多避引涅哩二合賀㘑薩睹拏彌摩訶具沙努霓淡右耳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斫羯囉乞叉二合囉鉢唎二合靺怚那薩嚩蘇怛𡃤二合多㚓耶曳引薩睹努弭薩嚩曼茶黎吽頂後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散馱婆沙沒馱僧儗魚以反底丁以反避引誐南蘇睹努弭嚩日囉二合嚩利引斫頂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度播冥伽三母捺囉薩癹囉拏布惹羯迷迦囉迦囉右肩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補澀波二合鉢囉二合娑囉二合薩癹囉二合拏布惹羯迷抧哩抧哩入右胯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迦入嚩二合攞薩癹囉二合拏布惹羯迷跋囉跋囉復置心上眞言曰唵薩嚩怛他誐多巘陁三母捺囉二合薩發囉二合拏布惹羯迷矩嚧矩嚧次結散花契 觀察於十方 言我今勸請諸佛轉法輪 復應作是念 今此贍部洲及於十方界 人天意生花 水陸所有花皆持獻十方 一切大薩埵 部中諸眷屬契明密語天 我爲普供養 一切諸如來而作事業故。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補澀波二合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引又結燒香契 而作是思惟 人天本體香和合變易香 如來羯磨故 我今皆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度波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引次結塗香契 人天本體香 和合變易香如是差別香 如來羯磨故 我今皆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巘陁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引次結燈契已 而作是思惟 人天本體生及差別光明 爲作事業故 我今皆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你波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引三摩耶寶契 應作如是念 此界及餘界寶山諸寶類 地中及海中 彼皆爲供養如來羯磨故 我今皆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髦特媵誐囉怚那二合稜迦囉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引結嬉戲契已 應作是思惟 人天之所有種種諸戲弄 玩笑妓樂具 皆爲供養佛而作事業故 我今當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賀寫斯耶反邏寫訖利二合拏囉底燥契耶耨怛囉二合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結薩埵三昧 應作是思惟 如是劫樹等能興種種衣 嚴身資具者 彼皆爲供養而作事業故 我今當奉獻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嚩日二合跛麽三摩地婆嚩那引播那冒惹那嚩娑那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羯磨三昧耶 而作是思惟 於虛空藏中所有諸如來 我爲承事故 想一一佛前而皆有己身 以親近侍奉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迦耶涅哩二合夜怛那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達摩三昧耶 而作是思惟 我今卽此身與諸菩薩等 觀得法實性 平等無有異旣作是觀已 而誦此密言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只多涅哩二合夜怛那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羅二合拏三摩曳吽寶幢三昧耶 應觀生死中 一切衆生類苦惱之所纏 深生哀愍故 我今爲救護幷護菩提心 未度者令度 未安者令安皆令得涅槃 及雨種種寶 所求令滿足作是思惟已 而誦此密言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摩訶嚩日二合捻匿邑反婆嚩娜那波囉蜜多布惹咩伽三畝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次結香身契 三昧耶塗香 而作是思惟願一切衆生 三業諸不善 願悉皆遠離一切諸善法 願悉皆成就。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拏多囉摩訶冒賀囉迦尸羅波囉蜜多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結羯磨觸地 復應作是念 願一切衆生慈心無惱害 遠離諸怖畏 相視心歡喜諸相好莊嚴 成其深法藏。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耨怛囉二合摩訶達摩嚩冒陁乞鏟二合底波囉蜜多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鬪戰勝精進 三昧耶甲胄 而作是思惟願一切衆生 修菩薩行者 被堅固甲胄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僧娑去囉鉢丁夜二合誐努怛囉摩訶尾引哩耶二合波囉蜜多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結三摩地契 北方佛羯磨 應作是思惟願一切衆生 調伏於煩惱 隨煩惱怨讎獲甚深禪定 而誦此密語。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耨怛囉二合摩訶燥企耶二合尾短呼賀引囉那波囉蜜多布惹咩伽三母捺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結遍照世尊 羯磨勝契已 而作是思惟願一切衆生 成就五種明 世間出世閒智慧普成就 而得眞實見 除煩惱障智辯才無畏等 佛法嚴其心 而誦此眞言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耨怛囉一合稽上賖抳尼曳反上耶嚩囉拏嚩引婆那尾那也那摩訶鉢囉二合惹而耶反波羅蜜多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勝上三摩地 印契次應結 二羽外相叉禪智令相捻 仰安於懷中 應作是思惟證法眞實性 空無相無作 諸法悉如是觀已誦密言。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噳呬耶摩訶鉢囉二合底丁以反鉢底丁袳反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次應合指爪 而作是思惟 我今出語言願一切衆生 悉皆令得聞 而誦此密言密語曰:唵薩嚩怛他誐多嚩引涅哩二合夜怛那布惹咩伽三母涅囉二合薩癹囉二合拏三摩曳吽如是廣作佛事已 次應諦心爲念誦衆會眷屬自圍遶 住於圓寂大鏡智當結金剛三昧耶 而誦金剛百字明次誦金剛薩埵明 或三或五或七遍誦百字眞言曰:唵嚩日囉二合薩埵嚩二合三摩耶摩努播攞耶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底尾努播底瑟咤二合涅哩二合濁輕呼弭婆嚩素睹使喩弭婆嚩阿努訖睹弭婆嚩素補使喩弭婆嚩薩嚩悉地弭鉢囉二合也瑳薩嚩羯磨素者弭只多室利二合藥句嚧吽呵呵呵呵斛薄伽梵薩嚩怛他誐多嚩日囉二合磨弭悶遮嚩日唎二合婆嚩摩訶三昧耶薩怛嚩二合噁次應捧珠鬘 誦眞言七遍 復以加持句如法而加持 端坐如儀則 應以金剛語一千或一百 隨意而念誦。眞言曰:唵嚩日囉二合薩怛嚩二合噁次結蓮花三昧耶 誦本眞言七遍已卽誦蓮花百字明 或一或三或至七。此蓮花百字眞言,同上金剛百字眞言,唯攺鉢娜麽及後種子,字爲▼(口+頡)唎二合也卽是二羽捧珠鬘本眞言七遍捧珠頂及心,眞言以加持。眞言曰:唵嚩日囉二合噳呬也惹波三摩曳吽旣加持珠已 住等引而誦 不極動舌端脣齒二俱合 成就語密教 金剛語離聲循身觀相好 四時不令闕 百千是爲限又復應過是 神通及福智 現世同薩埵念誦分限畢 捧珠發大願 結三摩地印入法界三昧 行者出三昧 卽結根本印誦本明七遍 復修八供養 以妙音讚歎獻閼伽香水 以降三世印 左旋而解界次結三昧拳 一誦而掣開 次結羯磨拳三誦三開手 從彼彼出生 所有一切印於彼彼當解 由此眞言心。眞言曰:唵嚩日囉二合穆次結奉送印 二羽金剛縛 忍願如蓮葉指端安時花 誦已而上擲 爲奉送聖衆眞言曰:唵訖哩二合睹嚩薩嚩薩怛縛二合囉他二合一悉地娜多野他努誐二薩車特勃馱尾灑鹽三布娜囉誐摩那野睹四唵鉢娜麽二合薩怛嚩二合穆次當結寶印 二羽金剛縛 進力如寶形禪智亦復然 印相從心起 安於灌頂處分手如繫鬘 次結甲胄印眞言曰:唵嚩日囉二合囉怚那毘詵者𤚥薩嚩母捺囉二合咩捺囉二合哩墀矩嚕嚩囉迦嚩制那次應被甲已 齊掌而三拍 令聖衆歡喜以此心眞言 解縛得歡喜 獲得金剛體眞言曰:唵嚩日囉二合睹瑟也二合斛引奉送聖尊已 當結加持契 誦明加四處灌頂被甲胄 又爲指印儀 如前四佛印懺悔幷發願 然後依閑靜 嚴飾以香花住於三摩地 讀誦大乘典 隨意任經行金剛頂蓮花部心念誦儀軌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 1)두 무릎을 바닥에 대고 허벅지와 상체를 곧게 일으켜 세우는 자세. 무릎 꿇고 앉는 자세에서 허벅지를 세운 것이다. 호궤(胡跪)라고도 한다.
- 2)마음을 일으켜 관념(觀念)하는 것.
- 3)일체 중생이 머물러 살고 있는 세계. 기세계(器世界)⋅기세간(器世間)이라고도 한다.
- 4)밀교에서 수행에 앞서 땅을 정화하는 것.
- 5)oṃ rajo' pagatāḥ sarva dharmāḥ.
- 6)svabhāva śuddhāḥ sarva dharmāḥ.
- 7)불도를 수행할 만한 근기(根機)를 가졌다는 뜻. 아사리가 전수해 주는 비밀법을 감당할 만한 능력을 가진 제자.
- 8)변조(遍照)는 비로자나여래를 가리킨다.
- 9)khaṃ vajra dhātu.
- 10)hūṃ.
- 11)금강저(金剛杵;vajra)는 음사하여 발절라(跋折羅)⋅부일라(扶日羅)라고 하며, 또는 금강지저(金剛智杵)⋅견혜저(堅慧杵)라고도 한다. 원래 리그베다의 신인 인드라, 즉 제석천의 무기인 천둥이었는데 어느덧 금강석(金剛石)의 의미로도 쓰이게 되었다. 밀교에서는 부처님의 지혜가 견고함과, 번뇌를 깨어 부수는 두 가지의 상징으로 해석하고 여러 불보살이 지니는 물건으로서, 법을 전하는 관정(灌頂)이나 수행의 법구(法具)로써 쓰인다. 재료는 금⋅은⋅동⋅철의 금속이나 여러 가지 목재⋅인골⋅수정 등으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금동제가 많다. 종류는 고의 숫자로 표시해서 1,2,3,4,5,9고가 경전에 등장하는데, 보통으로는 독고⋅3고⋅5고가 자주 사용된다.
- 12)Akṣobhya.
- 13)oṃ sarva tathāgata pūja upastanāya ātmānaṃ niryātayāmi sarva tathāgata vajra sattva adhiṣṭhasva māṃ hūṃ.
- 14)traḥ.
- 15)buddhośṇīṣa, 혹은 uṣṇīṣa. 음역하여 올슬니사(嗢瑟尼沙)⋅오슬니사(烏瑟尼沙)⋅울슬니사(鬱瑟尼沙)라고 하며, 의역하여 계(髻)⋅정계(頂髻)⋅육계상(肉髻相)⋅무견정상(無見頂相)이라 한다. 부처님의 32상의 하나. 부처님의 정골(頂骨)은 자연히 융기하여 하나의 상투 모양이 되므로 이 육계(肉髻)를 부르는 칭호이다.
- 16)oṃ sarva tathāgata pūjābhiṣekāyātmānaṃ niryātayāmi sarva tath- āgata vajra ratnābhisiñca māṃ traḥ.
- 17)hūḥ.
- 18)oṃ sarva tathāgata pūjā pravartanāya ātmānaṃ niryātayāmi sarva tathāgata vajra dharma pravartaya māṃ hūḥ.
- 19)āḥ.
- 20)oṃ sarva tathāgata pūja karmaṇātmānaṃ niryātayāmi sarva tathā- gata vajra karma kuru aḥ aḥ aḥ māṃ.
- 21)오른손 엄지손가락.
- 22)왼손 새끼손가락.
- 23)오른손 새끼손가락.
- 24)왼손 엄지손가락.
- 25)oṃ sarva tathāgata kāya vōk citta vajra vandhansṃ karomi oṃ vajra viḥ.
- 26)불법(佛法)을 듣지 못하는 여덟 곳. ① 지옥, ② 아귀, ③ 축생, ④ 변지(邊地:즐거움이 지나쳐서 법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⑤ 장수천(長壽天:오래 살고 안온하기 때문에 구도심이 일어나지 않는다), ⑥ 세지변총(世智辯聰:세속지만 있어서 바른 도리에 따르지 않는다), ⑦ 맹롱음아(盲聾音我:감각기관에 결함이 있다), ⑧ 불전불후(佛前佛後:부처님이 안 계시는 세상).
- 27)자유자재하며 거리낌 없는 이해능력 및 언어적 표현능력을 말하는 네 가지. ① 온갖 교법에 통달한, 법에 걸림이 없음[法無碍], ② 온갖 교법의 요의(要義)를 아는, 뜻에 걸림이 없음[義無礙]), ③ 여러 가지 말을 알아 통달치 못함이 없는, 말에 걸림이 없음(辭無碍), ④ 일체 교법을 말하는 데 자재하여 걸림이 없는 것(樂說無礙)이다.
- 28)깨달음을 구하려고 수행하는 이가 지니고 있는 10종의 자재력. ① 명자재(命自在), ② 심자재(心自在), ③ 재자재(財自在), ④ 업자재(業自在), ⑤ 생자재(生自在), ⑥ 승해자재(勝解自在), ⑦ 법자재(法自在), ⑧ 원자재(願自在), ⑨ 신통자재(神通自在), ⑩ 지자재(智自在)의 열 가지를 말한다.
- 29)진언의 수법에 의해서 성취한 이상적인 경지.
- 30)oṃ sarva tathāgata śaṃsita sarva sattvanāṃ sarva siddhi samp- ādana tathāgata adhiṣṭhita taṃ.
- 31)금강권, 또는 금강여래권은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고 잡으며,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으로써 엄지손가락을 잡고, 집게손가락으로 엄지손가락의 뒤를 떠받치는 등, 유파에 따라서 스승이 전하는 것이 다르지만, 손바닥 가운데를 월륜, 엄지손가락을 대공지(大空智)에 비유하고, 식대금강지(識大金剛智)를 나타내며 금강부에서 사용한다.
- 32)마군 등을 물리치는 것.
- 33)sīmābandha. 만다라단을 쌓거나 성스러운 건물을 세우려 할 때에 작법에 의해 일정지역을 구획⋅제한하고 마장의 침입을 방지하는 일, 또는 그 장소. 만다라작법 등을 행하는 데에 장애가 될 만한 일들을 들이지 않기 위해서 일정지역을 구획하고 한정하는데 이것을 결호(結護)라 하며, 결계하여 몸을 보호한다는 뜻이다.
- 34)oṃ vajra dṛṣṭi maṭa.
- 35)oṃ vajrāñjali.
- 36)외박권(外縛拳)⋅지재외권(指在外拳)⋅향외상차권(向外相叉拳)이라고도 한다. 각 오른손가락을 왼손가락의 위에 교차하고, 열손가락을 밖으로 내어서 잡는 인계이다. 손바닥 안의 둥근 모양은 월륜을 나타내고, 밖으로 교차한 열손가락은 밖으로 발산하는 광명을 보인 것으로 이 광명월륜이란 곧 부처님의 체험세계를 상징한 것이다.
- 37)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몸과 마음을 속박하고 고(苦)를 그 결과로 끌어오므로 결(結)이라 하고, 중생을 따라 다니면서 중생을 마구 부리므로 사(使)라고 한다.
- 38)oṃ vajra bandha.
- 39)vajra bandha trataḥ.
- 40)오른손의 엄지손가락.
- 41)왼손의 엄지손가락.
- 42)오른손의 새끼손가락.
- 43)왼손의 새끼손가락.
- 44)오른손의 무명지(無名指), 또는 약손가락.
- 45)왼손의 무명지(無名指), 또는 약손가락.
- 46)vajrāveśa aḥ.
- 47)오른손의 두지(頭指), 또는 집게손가락.
- 48)왼손의 두지(頭指), 또는 집게손가락.
- 49)vajra muṣṭi vaṃ.
- 50)오른손의 중지(中指), 즉 가운뎃손가락.
- 51)왼손의 중지(中指), 즉 가운뎃손가락.
- 52)oṃ samaya sattvaṃ.
- 53)oṃ samaya hoḥ surata sattvaṃ.
- 54)oṃ sumbha nisuṃbha hūṃ gṛhṇa gṛhṇa hūṃ gṛhṇapaya hūṃ ānaya hoḥ bhagavaṃ vajra hūṃ phat.
- 55)oṃ vajra padma samaya sattvaṃ.
- 56)hūṃ ṭakki sphotaya mahāvirāga vajra vajradhara satyena ṭhaḥ.
- 57)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 선(禪)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고 지(智)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이다. 즉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에 넣는 것이다.
- 58)oṃ surata vajraṃ jaḥ hūṃ vaṃ hoḥ samaya sattvaṃ.
- 59)oṃ mahā sukha vajraṃ sādhaya sarva satvebhyo jaḥ hūṃ vaṃ hoḥ.
- 60)oṃ sarva-papa karṣaṅa viśodhana vajra sattva samaya hūṃ phaṭa.
- 61)oṃ vajrapāni visphoṭaya sarvāpāya bandhanāni pramohṣaya sar- vāpāya gatibhyaḥ sarvasatvanāṃ sarva tathāgata vajra samaye hūṃ traṭ.
- 62)oṃ vajra karmā-niśodhaya sarva valaṇāni buddha satyena sama- ya hūṃ.
- 63)oṃ candaarottara samanta bhadra kiraṇi mahā vajrini hūṃ.
- 64)실체가 없는 것의 비유. 심향성(尋香城)이라고 번역하며, 건달바신에 의하여 허공에 보이는 환상처럼 변화로 만들어진 도성을 말하는데, 신기루를 말하는 것 같다. 모든 것에 실체가 없고(空), 거짓 존재(假有)라고 하는 비유에 쓰인다.
- 65)손가락을 튕기는 것. 엄지손가락과 식지(食指:집게손가락)를 마찰시켜 소리를 낸다.
- 66)oṃ sarva tathāgata pāda vandanāṃ karomi.
- 67)oṃ citta prativeidhaṃ karomi.
- 68)제8 아뢰야식(阿賴耶識)이다.
- 69)우연히 밖으로부터 온 번뇌라는 말. 본래 있던 것이 아니라 밖에서 온 것이므로 객(客)이라 하고, 심성을 더럽히므로 진(塵)이라 한다. 진은 곧 먼지이며, 번뇌가 미세하고 수많은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 70)oṃ bodhicittam utpādayāmi.
- 71)oṃ sūkṣma vajra
- 72)oṃ tiṣṭha-vajra padma
- 73)oṃ vajrātmako' haṃ
- 74)oṃ yathā sarva tathāgatas tathā'haṃ.
- 75)가지의 원어는 adhi-ṣṭhāna로서 가(加)는 가피(加被)⋅증가(增加), 지(持)는 임지(任持)⋅섭지(攝持)의 뜻으로 해석된다. 즉 가는 제불의 대비의 힘이 수행자에게 가해지는 것이고, 지는 수행자의 신심에 부처님이 감응하는 것을 말한다. 호념(護念)⋅가호(加護) 등의 번역도 같은 뜻이다.
- 76)oṃ sarva tathāgata abhisambodhi dṛdha vajra tiṣṭha.
- 77)아촉여래의 다른 이름이다.
- 78)oṃ vajra sattvādhiṣṭhasva māṃ (hūṃ).
- 79)oṃ vajra ratnādhiṣṭhasva māṃ (traḥ).
- 80)oṃ vajra dharmādhiṣṭhasva māṃ (hriḥ).
- 81)oṃ vajra karmādhiṣṭhasva māṃ.
- 82)범어 abhiṣiñca. 정수리 위에 물을 붓는 것. 밀교의 법을 전하기 위해 관정을 받는 자[受者]의 머리와 이마 위에 물을 붓는 의례이다. 고대 인도에서 국왕이 즉위식 거행할 때 4대해의 물을 길어와 4해의 지배자가 됨을 나타내는 의식에서 시작된 것이 대승불교에 들어와서 부처님의 위(位)를 이어받는 의미로 바뀌었다. 밀교에서 불종(佛種)을 단절하지 않고 영원히 계승하는 의식으로 이 관정의식은 이마[頂]에 물을 흘리는[灌] 것인데, 부처님의 5지(智)를 상징하는 다섯 병의 지수(智水)를 붓는 것은 여래의 지혜를 모두 이어받는다는 것을 상징한다.
- 83)비로자나불을 가리키는 칭호. 비로자나는 Vairocana이며, 비로사나⋅비로절나⋅폐로자나⋅로사나⋅자나라고도 쓰고, 변일체처(遍一切處)⋅광명변조(光明遍照)⋅변조왕여래(遍照王如來) 또는 변조(遍照)라고도 한다.
- 84)oṃ sarva tathāgatā iśvaryābhiṣeka hūṃ.
- 85)oṃ vajra sattvābhisiñca māṃ hūṃ.
- 86)oṃ vajra ratnābhisiñca māṃ trāḥ.
- 87)oṃ vajra padmābhisiñca māṃ hrīḥ.
- 88)oṃ vajra karmābhisiñca māṃ aḥ.
- 89)단과 혜는 좌우의 새끼손가락.
- 90)oṃ vajra sattva mālābhiśiñca māṃ vaṃ.
- 91)oṃ vajra ratna mālābhiśiñca māṃ vaṃ.
- 92)oṃ vajra padma mālābhisiñca maṃ vaṃ.
- 93)oṃ vajra karma mālābhiśiñca māṃ vaṃ.
- 94)oṃ ṭuṃ.
- 95)oṃ vajra tuṣya hoḥ.
- 96)vajra sattva aḥ.
- 97)oṃ vajra sattva dṛṣya.
- 98)jaḥ hūṃ vaṃ hoḥ.
- 99)samaya sattvaṃ.
- 100)candra.
- 101)samayo'haṃ mahā samayo'haṃ.
- 102)징정(澄淨)⋅청냉(淸冷)⋅감미(甘美)⋅경연(輕輭)⋅윤택(潤澤)⋅안화(安和)⋅마실 때 목을 다치지 않음⋅마시고 나서 배탈이 나지 않는 여덟 가지의 덕을 갖춘 물.
- 103)수미산을 받치고 있는 금륜(金輪)을 가리키는 말. 이 세계의 가장 낮은 허공을 공륜(空輪)이라 하고, 공륜 위에 풍륜(風輪)이 있고, 풍륜 위에 수륜(水輪)이 있으며, 수륜 위에 금륜(金輪)이 있고 금륜 위에 수미산과 바다와 육지가 있다. 밀교에서 금륜의 형상이 방각(方角)으로 되어 금거북과 같이 보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 104)수미산 주위를 둘러싼 일곱 겹의 금산. ① 지쌍산(持雙山), ② 지축산(持軸山), ③ 담목산(擔木山), ④ 선견산(善見山), ⑤ 마이산(馬耳山), ⑥ 상비산(象鼻山), ⑦ 지변산(持邊山)의 일곱 산이다.
- 105)haṃ vaṃ.
- 106)pra.
- 107)oṃ vimalodadhi hūṃ.
- 108)sumeru. 수미산(須彌山). 하나의 세계에 중앙에 수미산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고대 인도의 세계관으로, 이것을 수미산설(須彌山說)이라 한다. 수미산을 본뜬 단(壇)을 수미단(須彌壇)이라 하며, 그 위에 불상을 안치한다. 또 같은 모양의 불상의 대좌(台座)를 수미좌(須彌座)라 한다.
- 109)oṃ acala hūṃ.
- 110)동그랗게 만든 단장(壇場).
- 111)maṇḍala. 신성한 영역으로 나누어 불보살을 배치한 공간. 깨달음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만다라는 도량(道場)⋅단(壇)⋅윤단(輪壇)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깨달음을 완성한 경지를 의미한다. 넓은 뜻으로는 우주의 삼라만상이 모두 만다라 아닌 것이 없으나, 좁은 뜻으로는 한 곳에 여러 보살을 줄지어 모신 것으로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방형을 구획한 것을 말한다.
- 112)oṃ vajra cakra hūṃ
- 113)불보살께 머리 숙여 수계관정 장소에 강림하시기를 청하는 의식.
- 114)yābhyāṃ nūvighna sacakra siddhi syātaṃ ubhe valevajra-kuṇḍ- ali hetubhyāṃ tābhyaṃ asutu sadānamaḥ.
- 115)oṃ vajra dvārodghāṭaya samaya praveśaya hūṃ.
- 116)āyantu sarva bhavanāika sārāḥ pranāmitāḥ śeṣa kaṭhara mārāḥ sākṣāt kṛtananta bhava svabhāvaḥ svayaṃ bhuvo'nantabhava svabhā vaḥ.
- 117)oṃ vajra samaja jaḥ.
- 118)금강계대일여래의 덕을 펼치면 16대보살이 되고, 이 16대보살 각각에게 많은 덕이 있는데 이 덕에 따라 갖가지 명칭을 세워서 108명으로 하는 것. 108명찬(名讚)⋅108찬(讚)이라고도 한다. 108찬이란 대일여래의 전체의 덕이 되는 것이고 따로따로 찬탄할 경우에는 4불(佛)⋅16대보살의 덕이 된다. 보통 108명찬은 4지찬(智讚)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108명의 덕을 집약하면 4지로되기 때문이다.
- 119)vajra sattva mahā sattva vajra sarva tathāgata samanta bhadra vajrādya vajra paṇe namo sutute.
- 120)vajrarāja su-buddhāgrya vajrāṇkuśa tathāgata amogha rāja vaj- rāgrya vajrākarṣa namo stute.
- 121)vajra rāga mahā saukhya vajra vāṇa vaśṅkara mahā kāma mahā vajra vajra cāpa namo stute.
- 122)vajra sādha su-rajnāgrya vajra tuṭṭāi mahā rate pramoddya rāja vajrāgrya vajra harṣa namo stute.
- 123)vajra ratna su-vajrārtha vajrākāśa mahā maṇi ākāśa garbha vajrāḍhya vajra garbha namo stute.
- 124)vajra teja maha jvāla vajra sūrya jinaprābha vaira raśmi mahā teja vajra prabha namo stute.
- 125)vajra ketusu-sattvārtha vajra dvaja su-ṭoṣaka ratna ketu mahā vajra vajra yaṣṭai namo stute.
- 126)vajra hāsa mahā hāsa vajra smita mahādbhuta prīti pramodya vajādya vajra prāte namo stute.
- 127)vajra dharma su-sattvārtha vajra padma su-śodhaka lakeśvara su-vajrākṛa vajra netra namo stute.
- 128)vajra tīkṣṇa mahā yāna vajra kośa mahā yuddha mañjuśrī vajra gāmbhīrya vajra buddhe namo stute.
- 129)vajra hetu mahā maṇḍa vajra cakra mahā naya su-pravartana vajrattha vajra maṇḍa namo stute.
- 130)vajra bhaṣa su-vidyāgrya vajrajapa su-siddhi-da avāca vajra siddhyagrya vajra bhāṣa namo stute.
- 131)vajra karma su-vajra jña karma vajra su sarva ga vajrāmogha mahāudārya vajra viśva namo stute.
- 132)vajra rakṣa mahā vairya vajra varma mahā dṛḍha dur-yodhana su-vīryāgrya vajra vīrya namo stute.
- 133)vajra yakṣa mahopāya vajra daṃṣṭra mahā bhaya māra pramardi vajrogra vajra canda namo stute.
- 134)vajra sandhi su-sanedhya vajra bandha pramocaka vajra muṣ- ṭyagrya samaya vajra muṣṭai namo stute.
- 135)oṃ vajrāṅkuśa jaḥ vajra pāśa hūṃ vajra sphaṭa vaṃ vajra veṣa aḥ.
- 136)oṃ vajra tāla tuṣya hoḥ.
- 137)알가는 범어 argha의 음사이다. 수(水)⋅공덕수(功德水)⋅무탁(無濁)⋅기(器)라 번역한다. 알가정(閼伽井)으로부터 떠온 물에 밀(樒)⋅향말(香末)을 넣은 물을 알가수(閼伽水)라고 부른다. 관정용(灌頂用)⋅수법용(修法用)의 알가수를 알가정으로부터 퍼 올리는 ‘알가작법(閼伽作法)’이 있다. 또한 밀교수법에 있어서 6종 공양의 하나로서 물을 본존에 바친다. 손님을 영접하는 때에 발 씻을 물을 내드리는 인도의 풍습으로부터 전공양(前供養)의 알가는 본지로부터 청래(請來)한 본존의 발 씻는 물을 관하고, 후공양(後供養)의 알가는 치주(馳走) 후의 입을 헹구는 물이라고 관한다.
- 138)oṃ vajradaka hūṃ.
- 139)oṃ vajra gaṅta tuṣya hoḥ.
- 140)범어 samāhita. 마음을 집중하여 안정된 상태. 선정(禪定)을 말하며 등(等)은 마음에 어두움과 산란함이 평정되어 고요한 것을 의미한다.
- 141)왼손의 집게손가락.
- 142)oṃ citta prativedhaṃ karomi.
- 143)oṃ bodhicitta utpādayāmi.
- 144)oṃ tisṭha vajra.
- 145)oṃ vajrātmako'haṃ.
- 146)oṃ yathā sarvatathāgata tathāhaṃ.
- 147)oṃ sattva vajri ratna vajri dharma vajri karma vajri.
- 148)금강살타인(金剛薩埵印)이다.
- 149)금강왕(金剛王)보살의 인이다.
- 150)금강애(金剛愛)보살의 인이다.
- 151)금강희(金剛喜)보살의 인이다.
- 152)금강보(金剛寶)보살의 인이다.
- 153)금강광(金剛光)보살의 인이다.
- 154)금강당(金剛幢)보살의 인이다.
- 155)금강소(金剛笑)보살의 인이다.
- 156)금강법(金剛法)보살의 인이다.
- 157)금강리(金剛利)보살의 인이다.
- 158)금강인(金剛因)보살의 인이다.
- 159)금강어(金剛魚)보살의 인이다.
- 160)금강업(金剛業)보살의 인이다.
- 161)금강호(金剛護)보살의 인이다.
- 162)금강아(金剛牙)보살의 인이다.
- 163)금강거(金剛擧)보살의 인이다.
- 164)금강희희(金剛嬉戱)보살의 인이다.
- 165)금강만(金剛鬘)보살의 인이다.
- 166)금강가(金剛歌)보살의 인이다.
- 167)금강무(金剛舞)보살의 인이다.
- 168)금강향(金剛香)보살의 인이다.
- 169)금강화(金剛華)보살의 인이다.
- 170)금강등(金剛燈)보살의 인이다.
- 171)금강도향(金剛塗香)보살의 인이다.
- 172)금강구(金剛鉤)보살의 인이다.
- 173)금강색(金剛索)보살의 인이다.
- 174)금강쇄(金剛鎖)보살의 인이다.
- 175)금강령(金剛鈴)보살의 인이다.
- 176)vajra sattva aḥ.
- 177)vajra rāja jaḥ.
- 178)vajra rāga haḥ.
- 179)vajra sādhu saḥ.
- 180)vajra ratna oṃ.
- 181)vajra teja aṃ.
- 182)oṃ vajra ketu trāṃ.
- 183)vajra hāsa haḥ.
- 184)vajra dharma hrīḥ.
- 185)vajra tikṣṇa dhaṃ.
- 186)vajra hetu maṃ.
- 187)vajra bhāṣa raṃ.
- 188)vajra karma kaṃ.
- 189)vajra rakṣa haṃ.
- 190)vajra yakṣa hūṃ.
- 191)vajra saṃdhi vaṃ.
- 192)vajra lāse hoḥ.
- 193)vajra māle traṭ.
- 194)vajra gīte gīḥ.
- 195)vajra nṛtye kṛṭ.
- 196)vajra dhūpe aḥ.
- 197)vajra puṣpe oṃ.
- 198)vajra loke dīḥ.
- 199)vajra gandhe gaḥ.
- 200)vajrāṅkuśa jaḥ.
- 201)vajra pāśa hūṃ.
- 202)vajra sphoṭa baṃ.
- 203)vajrā veśa hoḥ.
- 204)3겁의 하나로서 현재의 주겁.
- 205)hūṃ.
- 206)vajra jñānaṃ ah.
- 207)vajra jñānaṃ hūṃ.
- 208)vajra jñānaṃ trāḥ.
- 209)vajra jñānaṃ hrīḥ.
- 210)vajra jñānaṃ aḥ.
- 211)vajra śrī hūṃ.
- 212)vajra gauri trāḥ.
- 213)vajra tārā hrīḥ.
- 214)kha vajrini hoḥ.
- 215)금강살타(金剛薩埵).
- 216)금강왕(金剛王)보살의 인이다.
- 217)금강애(金剛愛)보살의 인이다.
- 218)금강희(金剛喜)보살의 인이다.
- 219)금강보(金剛寶)보살의 인이다.
- 220)금강광(金剛光)보살의 인이다.
- 221)금강당(金剛幢)보살의 인이다.
- 222)금강소(金剛笑)보살의 인이다.
- 223)금강법(金剛法)보살의 인이다.
- 224)금강리(金剛利)보살의 인이다.
- 225)금강인(金剛因)보살의 인이다.
- 226)금강어(金剛魚)보살의 인이다.
- 227)금강업(金剛業)보살의 인이다.
- 228)금강호(金剛護)보살의 인이다.
- 229)금강아(金剛牙)보살의 인이다.
- 230)금강권(金剛拳)보살의 인이다.
- 231)금강희희(金剛嬉戱)보살의 인이다.
- 232)금강만(金剛鬘)보살의 인이다.
- 233)금강가(金剛歌)보살의 인이다.
- 234)금강무(金剛舞)보살의 인이다.
- 235)금강소향(金剛燒香)보살의 인이다.
- 236)금강화(金剛華)보살의 인이다.
- 237)금강등(金剛燈)보살의 인이다.
- 238)금강도향(金剛塗香)보살의 인이다.
- 239)금강구(金剛鉤)보살의 인이다.
- 240)금강색(金剛索)보살의 인이다.
- 241)금강쇄(金剛鎖)보살의 인이다.
- 242)금강령(金剛鈴)보살의 인이다.
- 243)samaya satvaṃ.
- 244)anaya sva.
- 245)ahoḥ sukha.
- 246)sādhu sādhu.
- 247)su mahā tvaṃ.
- 248)rūpadyota.
- 249)artha prāti.
- 250)ha ha hūṃ haḥ.
- 251)rsarva kāri.
- 252)duḥkha ccheda.
- 253)buddha bodhi.
- 254)prati śabda.
- 255)su vāśi tvaṃ.
- 256)nirbhaya tvaṃ.
- 257)śatru bhakṣa.
- 258)sarva siddhi.
- 259)mahā rati.
- 260)rūpa śodhe.
- 261)śratra saukhye.
- 262)sarva pūji.
- 263)prahlādini.
- 264)phalāgami.
- 265)su-tejāgri.
- 266)su-gandhāṅgi.
- 267)āyahi jaḥ.
- 268)ahi hūṃ hūṃ.
- 269)he sphota vaṃ.
- 270)ghanta aḥ aḥ.
- 271)oṃ sarva tathāgata vajra dhātvanuttara pūja spharaṇa samaye hūṃ.
- 272)oṃ sarva tathāgata vajra sattvānuttara pūja spharaṇa samaye hūṃ.
- 273)oṃ sarva tathāgata vajra ratnānuttara pūja spharaṇa samaye hūṃ.
- 274)oṃ sarva tathāgata vajra dharmōmuttara pūja spharaṇa samaye hūṃ.
- 275)oṃ sarva tathāgata vajra karmōmuttara pūja spharaṇa samaye hūṃ.
- 276)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a niryātana pūja spharaṇa karma vajri āḥ.
- 277)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ōniryātana pūja spharaṇa karmāgri jaḥ.
- 278)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a niryātana anusāgaṇa pūja spharaṇa karma vāṇe (hūṃ) hoḥ.
- 279)oṃ sarva tathāgata sarvātma niryātana sādhu kāra pūja spha- raṇa karma tuṣṭi saḥ.
- 280)oṃ namaḥa sarva tathāgatā bhiṣeka ratne bhyo vajra maṇi oṃ.
- 281)oṃ namaḥa sarva tathāgata sūryebhyo vajra tejini jvāla hīḥ.
- 282)oṃ namaḥa sarva tathāgatāśa paripuraṇa cintāmaṇi dhvaja agrebhyo vajra dhvaja agri trāṃ.
- 283)hāsa-sthāna. 입[口]을 가리킨다. 정확하게는 웃을 때 코 양 옆의 움푹 파이는 곳, 또는 입술 위의 인중을 가리킨다.
- 284)oṃ namaḥa sarva tathāgata mahā prīti pramodya karebhyo vajra hase haḥ.
- 285)oṃ sarva tathāgata vajra dharmatā samādhibhiḥ stunomi mahā dharmāgri hrīḥ.
- 286)oṃ sarva tathāgata prajñā-pāramitābhiḥ nirhare stunomi mahā- gho ṣānuge dhaṃ.
- 287)oṃ sarva tathāgata cakrākṣara parivartana sarva sūtrāntanayaiḥ stunomi sarva maṇḍale hūṃ.
- 288)oṃ sarva tathāgata saṃdhā bhāsa budha saṃgītibhiḥ gānaṃ stuomi vajra vāce caḥ.
- 289)oṃ sarva tathāgata dhūpa megha samudra spharaṇa pūja karme kara karaḥ.
- 290)oṃ sarva tathāgata puṣpa prasara spharaṇa pūja karme kiri kiriḥ.
- 291)oṃ sarva tathāgata āloka jvāla spharaṇa pūja karme bharas bhara.
- 292)oṃ sarva tathāgata gandha samudra spharaṇa pūja karme kuru kuruḥ.
- 293)수미산의 사방에 있는 네 개의 대주(大洲) 가운데 하나. 남섬부주(南贍部洲).
- 294)oṃ sarva tathāgata puṣp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 aye hūṃ.
- 295)oṃ sarva tathāgata dhūp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 aye hūṃ.
- 296)oṃ sarva tathāgata gandh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 aye hūṃ.
- 297)oṃ sarva tathāgata dīp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298)oṃ sarva tathāgata bodhyāṅga ratna alaṅkār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eye hūṃ.
- 299)oṃ sarva tathāgata hāsya lāsya krida ratisau khyānuttar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0)oṃ sarva tathāgata vajropama samādhi bhavanāpana bojana va- sama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1)oṃ sarva tathāgata kāya niryātana pūja megha samudra spha- raṇa samaye hūṃ.
- 302)oṃ sarva tathāgata citta niryātana pūja megha 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3)oṃ sarva tathāgata mahā vajrodbhava dāna pāramitā pūja meg- 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4)oṃ sarva tathāgata anuttara mahā bodhy ahāraka śīla pāramatā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5)oṃ sarva tathāgata anuttara mahā dharma avabodha kṣānti pāra- mitā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6)oṃ sarva tathāgata saṃsāra parityāga anuttara mahā vīrya pār- amitā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7)oṃ sarva tathāgata anuttara mahā saukhya vihāra dhāno pār- amitā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8)oṃ sarva tathāgata anuttara kleśa jñeyāvaraṇa vāsanā vinayana mahā prajñā pāramitā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09)oṃ sarva tathāgata yuhyamahā pratipatti pūja megha samudra spharaṇa samaye hūṃ.
- 310)oṃ sarva tathāgata vākya niryātana pūja megha samudra sph- araṇa samaye hūṃ.
- 311)oṃ vajra sattva samayam anapālaya vajra sattva tvenopatiṣṭha dṛdha me bhava sutoṣyo me bhava anurakto me bhava supaṣyo me bhava sarva siddhiñ ca me prayaccha sarva karmeśu ca me citta śreyaḥ kuru hūṃ ha ha ha ha hoḥ bhagavan sarva tathāgata vajra mā me mūñca vajra bhava mahā samaya sattva āḥ.
- 312)oṃ vajra sattva āḥ.
- 313)padma.
- 314)hrīḥ.
- 315)oṃ vajra guhya japa samaye hūṃ.
- 316)oṃ vajra muḥ.
- 317)oṃ kṛto vaḥ sarva sattvārtha siddhi datta yathānugāgacchadhvaṃ buddha viśayaṃ punar āgamanaya tu oṃ padma sattva muḥ.
- 318)oṃ vajra ratnābhiṣiñca maṃ sarva mudrāṃ me dṛdhī kuru vara kavacena vaṃ.
- 319)oṃ vajra tuṣya ho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