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_IT_K0640_T_001
-
017_0794_a_01L대승법계무차별론(大乘法界無差別論)
견혜(堅慧) 지음
제운반야(提雲般若) 등 한역
김철수 번역
뛰어난 방편으로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 병(病)과 괴로움에 의한
과실을 떠나게 하는
보리심에 머리 조아립니다.
보리심은 간략히 말해 열두 가지 뜻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이 이 논에서 다루고자 하는 본체이다. 총명하고 지혜가 있는 이들은 그 열두 가지가 다음과 같음을 알아야 한다. 이른바 과(果)인 경우, 인(因)인 경우, 자성(自性)인 경우, 다른 명칭[異名]인 경우, 차별이 없는 경우, 분위(分位)인 경우, 물들지 않는[無染] 경우, 항상하는 경우, 상응하는 경우, 뜻의 이로움을 짓지 않는 경우, 뜻의 이로움을 짓는 경우, 하나의 성품[一性]인 경우이다.
이 가운데 가장 먼저 보리심의 과(果)를 보여준 것은 뛰어난 이로움을 보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그것을 일으키는 인(因)에 관해 말하며, 그런 후에는 이로부터 생겨난 모습을 안립하고 다른 명칭이지만 차이가 없음을 드러낸다. 일체의 위(位)에서 물듦이 없으며[無染著], 항상 정법(淨法)과 함께 상응한다. 부정위(不淨位)에서는 갖가지 공용(功用)이 없고, 청정위(淸淨位)에서는 이익이 생긴다. 하나의 성품은 열반임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열두 가지의 뜻을 지금 이 논에서 차례대로 밝히고자 한다. 보리심의 과(果)란 무엇인가? 가장 적정(寂靜)한 열반의 세계를 말한다. 이는 오직 부처님들만 증득하는 경계이지 그 밖의 다른 이들은 증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오직 부처님ㆍ여래만이 일체 미세한 번뇌의 열기를 영원히 멸하여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태어남이 없는 이유는 다시는 생각[意]으로 여러 가지 온(蘊)을 생하는 일이 영원히 없기 때문이다. 늙음이 없음은 이 공덕이 점차 향상되어 훌륭하고 원만한 궁극의 경지에 이르러 쇠락하여 변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죽음이 없음은 불가사의한 변역사(變易死)1)를 영원히 버려 여의었기 때문이다. 병이 없음은 일체의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의 병(病)은 물론 습기(習氣)를 모두 다 영원히 끊었기 때문이다. 괴로움이 의지하는 곳이 없음은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무명주지(無明住地)2)가 갖고 있던 습기3)를 모두 영원히 제거했기 때문이다. 과실이 없음은 일체의 몸[身]과 말[語]과 생각[意]으로 그릇되게 범하는 일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보리심으로 말미암아 최상의 방편을 행하고 퇴실(退失)함이 없는 인(因)으로 일체의 공덕이 구경(究竟)에 이르러 그 과(果)를 얻는 것을 말한다. 그 과라는 것은 열반의 세계이다. 열반의 세계란 무엇인가? 부처님들께서 가지고 계시는 전의상(轉依相)4)과 불가사의한 법신(法身)을 말한다. 보리심은 불가사의한 과(果)의 인(因)이다. 마치 보름달[白月]이 초승달을 원인으로 하는 것과 같다. 지금 머리 숙여 예를 올린다.
또다시 게송으로 말한다.
세간의 선법(善法)을 이익되게 하고
성스러운 법과 부처님들이
의지하는 보배의 처소이고 바탕이니
땅과 같고 바다와 같고 종자와 같네.
또한 보리심은 마치 땅처럼 일체 세간의 착한 싹이 생겨나 자라날 때 의지하는 곳이며, 마치 바다처럼 일체의 성스러운 법의 보배가 쌓여 모여 있는 처소이며, 마치 종자처럼 일체의 부처나무[佛樹]를 출생시켜 상속하게 하는 원인[因]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보리심의 과(果)에 대해서 설하였다.
보리심의 인(因)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믿음[信]이 그 종자요
반야가 그 어머니이며
삼매가 그 태장(胎藏)이고
대비(大悲)가 젖을 먹여 기르는 유모이네.
또한 이 인(因)은 어떻게 쌓여 모이는가? 전륜왕의 아들과 같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가운데 법에 대한 깊은 믿음이 보리심의 종자이고, 지혜에 통달함이 어머니이며, 삼매가 그 태장이다. 선정[定]의 즐거움에 머물러 일체의 선법(善法)을 안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비는 유모(乳母)와 같으니 중생을 가엾이 여기어 생사 속에서도 싫어하거나 권태로워함이 없다. 일체종지(一切種智)의 원만함을 증득하기 때문이다.
자성(自性)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자성은 물들지 않으니
환한 보배나 공중에서 내리는 물과 같으며
백법(白法)5)에 의해 성취되므로
마치 대산왕(大山王)6)과 같네.
또한 마땅히 이 보리심의 인(因)이 쌓여 모인 다음에는 두 가지의 양상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두 가지란 오염을 떠난 청정한 모습[離染淸淨相]과 백법소성상(白法所成相)이다.
오염을 떠난 청정한 모습이란 이 마음의 자성이 물들지 않고, 또한 객진번뇌(客塵煩惱)의 장애를 떠나보내어 청정함을 얻는 것을 말한다. 비유하면 환한 마니보배나 허공에서 내리는 물 등은 재나 티끌이나 구름이나 흙먼지가 덮어 가릴 때에도 그 자성은 물들지 않으면서 재 등을 멀리 여읠 수 있기 때문에 환한 보석 등으로 하여금 청정함을 얻게 한다.
이와 같이 일체 모든 중생의 자성에 차별이 없는 마음[自性無差別心]은 탐욕 등의 번뇌에 의해 물들지 않으면서 탐욕 등을 멀리 여읠 수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은 청정함을 얻는다.
백법소성상(白法所成相)이란 이와 같은 자성의 청정한 마음[自性淸淨心]은 일체의 백법이 의지하는 바이다. 일체의 백정법(白淨法)으로 그 성품을 이루니, “수미산은 갖가지 보배가 의지한다. 왜냐하면 수미산은 갖가지 보배가 합하여 이루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다른 명칭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성불위(成佛位)에 이르면
보리심이라 이름하지 않고
아라하(阿羅訶)7)라 이름하며
상(常)ㆍ낙(樂)ㆍ아(我)ㆍ정(淨)의 바라밀이라 하네.
이 보리심의 성품은 밝고 깨끗하여
법계와 더불어 동체(同體)이며
여래께서는 보리심에 의지하여
불가사의한 법을 설하시네.
또한 이 보리심은 일체의 객진과 허물과 악(惡)을 영원히 떠나고, 일체의 공덕을 떠나지 않고 성취하여 네 가지 최상의 바라밀을 얻으니, 이를 여래의 법신이라 말한다. 세존의 여래법신이란 상(常)바라밀ㆍ낙(樂)바라밀ㆍ아(我)바라밀ㆍ정(淨)바라밀이라고 말한 것과 같다. 여래의 법신은 객진번뇌에 의해 물든 자성청정심과는 차별되는 명칭이다.
또한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사리불아, 이 청정한 법성이 곧 법계이니라. 나는 이 자성청정심에 의지하여 불가사의한 법을 설하노라.”
차별이 없다[無差別]는 것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법신은 중생 가운데서
본래 차별이 없는 모습[相]이니
지음도 없고 시초도 없고 다함도 없으며
또한 물들어 더러워지는 일도 없네.
법의 성품이 공하다는 것은 이 보리심의 지혜로 아는 바이고
보리심에 형상이 없음[無相]은 성인(聖人)이 행하는 바이며
일체법이 의지하는 바이니
단멸(斷滅)과 항상함 모두를 떠났네.
또한 이 보리심은 일체 중생의 몸에서 열 가지의 차별없는 모습을 갖추고 있다. 이른바 짓는 바가 없으니 무위(無爲)이기 때문이고, 시초가 없으니 일어남이 없기 때문이며, 다함이 없으니 멸함이 없기 때문이고, 물들어 더러워짐이 없으니 자성이 청정하기 때문이며, 법의 성품이 공하다는 것을 지혜로 아는 바이니 일체법이 무아(無我)이고 일미(一味)의 양상이기 때문이고, 형상이 없으니 온갖 근(根)이 없기 때문이며, 성인이 행하는 바이니 부처님ㆍ대성인[大聖]의 경계이기 때문이고, 일체법이 의지하는 바이니 오염되고 청정한 모든 법이 의지하기 때문이며, 항상하지 않으니 이는 잡되게 물들어서 항상하는 법성이 아니기 때문이고, 단멸하지 않으니 이는 청정하여 단멸하는 법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분위(分位)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부정위(不淨位)에서는 중생계(衆生界)요
오염된 가운데 깨끗한 보살이며
아주 지극히 청정한 자를
여래라 말하네.
또한 이 보리심은 본래 차별적인 모습이 없으나 깨끗하지 못한 분위(分位) 가운데 있으면 중생계라 하고, 더러운 가운데 청정한 위(位)에 있으면 보살이라 하며, 가장 청정한 위(位)에 있으면 여래라고 한다.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사리불이여, 이 법신은 본제(本際)가 가없으니 번뇌장(煩惱藏)에 얽매여 시작도 없는 때로부터 생사로 나아가 그 가운데서 생하고 멸하면서 흘러 구르는 것을 중생계라 하느니라. 또한 사리불이여, 이 법신은 생사에 표류하는 괴로움을 싫어하여 떠나고 일체 모든 탐욕의 경계를 버리고 10바라밀 및 8만 4천의 법【문】가운데서 보리를 구하여 온갖 행을 닦으면 보살이라 하느니라.
또한 사리불이여, 이 법신은 일체의 번뇌장으로부터 해탈하고, 일체의 괴로움을 멀리 여의며, 일체의 번뇌와 번뇌를 따르는 허물을 영원히 없애어 청정하고도 아주 청정하고 지극히 청정하여 법성에 머물러 일체중생을 관찰할 수 있는 경지와 일체 모든 알음알이를 다 없앤 경지에 이른다. 또한 무이(無二)한 장부(丈夫)의 처소에 올라 장애가 없고 집착함이 없는 일체법의 자재력(自在力)을 얻는데, 이를 여래ㆍ응공ㆍ정등각이라 한다. 그러므로 사리불이여, 중생계는 법신과 다르지 않고 법신은 중생계와 다르지 않느니라. 중생계가 곧 법신이고 법신이 곧 중생계이니라. 이는 단지 명칭만 다를 뿐 뜻은 다르지 않는 것이니라.”
물들지 않음[無染]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비유하면 밝고 깨끗한 태양이
구름에 의해 가리워지지만
만약 번뇌의 구름이 없어지면
법신의 태양이 밝게 드러나는 것과 같네.
또한 부정위(不淨位)에서는 한량없는 온갖 번뇌가 나타나는데도 어떻게 물들지 않는다는 것인가? 비유하면 둥근 태양이 구름에 가리워져도 그 성품은 항상 청정하듯이, 이 마음도 또한 그러한 것이다. 저 갖가지 번뇌는 잠시 머물다 가는 손님[客]일 뿐이기 때문이다.
항상함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비유하면 겁(劫)이 다할 때의 불길이라도
허공을 태울 수 없듯이
이와 같이 늙음과 병듦과 죽음도
법계를 태울 수 없네.
일체의 세간이
허공을 의지해 일어났다가 없어지듯이
온갖 근(根)도 이와 같아서
무위(無爲)를 의지하여 생멸하네.
또한 여기에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이 나타나는데 어떻게 항상하다 말할 수 있는가? 비유하면 허공은 비록 겁이 다할 때 재앙의 불길이 일어나도 해를 입지 않듯이, 법계도 또한 그러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세존이시여, 생사란 단지 세속의 말에 따라 존재하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죽음이란 온갖 근(根)이 다 사라지는 것입니다. 태어남이란 온갖 근이 새로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여래장에는 태어남과 늙음과 죽음이 일어난다거나 사라진다거나 하는 일이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장은 유위상(有爲相)을 넘어섭니다. 적정(寂靜)하고, 상주(常住)하며, 변하지 않고 단절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상응(相應)이란 무엇인가?
광명과 열기와 색상이
등불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다른 양상이 아니듯이
마찬가지로 모든 불법도
법성(法性)에 대해서 그러하네.
번뇌의 성품과 양상[性相]이 떠나면
저 객진번뇌가 공하며
깨끗한 법이 항상 상응하면
더러움이 없는 법은 공이 아니네.
또한 아직 정각을 이루지 못했는데 어떻게 불법에 상응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비유하면 광명과 열기와 색상 등은 등불에 있어서 다른 모습이 아닌 것처럼 모든 불법도 법신에 대해 이와 같다.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사리불이여, 모든 부처님들의 법신에는 공덕법이 있느니라. 비유하면 등불에는 광명과 열기와 색상이 있어 떨어지거나 벗어나지 않듯이 마니보주의 광명과 색상과 형상도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니라. 사리불이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든 부처님들의 법신의 지혜와 공덕법이 떠나지도 않고 벗어나지도 않는다는 것은 이른바 항하의 모래수보다 많은 여래법을 넘어서는 것이니라.”
또한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두 가지 여래장공지(如來藏空智)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두 가지인가? 이른바 공(空)여래장은 일체의 번뇌를 떠나기도 하고 벗어나기도 하는 지혜이고, 불공(不空)여래장은 항하의 모래수보다 많은 불가사의한 모든 불법(佛法)을 떠나지도 벗어나지도 않는 지혜이다.”
이로움을 짓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번뇌장(煩惱藏)에 얽히고 덮혀 있으면
중생을 이익되게 할 수 없으니
마치 연꽃이 아직 피지 않은 것과 같고
금(金)이 분뇨 속에 있는 것과 같으며
또한 보름달일 때
아수라가 가리는 것과 같네.
또한 중생의 공덕이 이와 같은 공덕과 상응하는데 왜 여래의 덕용(德用)이 없다고 하는가? 이는 마치 연꽃이 아직 피지 않은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하나니, 온갖 악견(惡見)의 잎이 그것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마치 금을 화장실에 떨어뜨린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하나니, 각관(覺觀)의 상태는 마치 분뇨의 더러움 속에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또한 마치 보름달을 가리는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하나니, 아만(我慢)의 라후(羅睺)8)가 집어 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못의 물이 탁해지는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하나니, 탐욕의 흙먼지가 혼합되어 섞이기 때문이다. 또한 금산(金山)이 가리워진 것과 같으니, 진에(瞋恚)의 진흙먼지로 봉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허공이 가리워진 것과 같으니, 어리석음의 두터운 구름이 가렸기 때문이다. 또한 태양이 아직 뜨지 않는 것과 같으니, 무명의 습기[無明習氣]가 있는 땅에 있어 밝음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세계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과 같으니, 6처(處)가 수대(水大)의 창고 속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름이 끼었어도 비가 내리지 않는 것과 같으니, 서로 어긋나는 인연이 현전(現前)하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을 총괄하여 게송으로 말한다.
연꽃이나 금 등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것처럼
부처님의 체(體)가 객진에 가리는 것도 역시 그러하네.
이때의 공덕은 자신의 이익이 아니니
이와 상반되면 커다란 이로움이 되네.
이로움을 짓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연못이 흙먼지에 더럽혀지지 않는 것과 같이
연꽃이 크게 피어나는 것과 같이
훌륭한 금에 있는
온갖 더러운 오물을 씻어내는 것과 같이
허공이 청정하여
밝은 달을 별들이 둘러싸고 있는 것과 같이
욕심을 떠나 해탈할 때의
공덕도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네.
비유하면 태양이 밝게 드러나면
그 위광(威光)이 세간에 두루하듯이
땅이 온갖 곡식을 낳듯이
바다가 온갖 보배를 산출하듯이
이와 같이 중생을 이익되게 하여
온갖 유루(有漏)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온갖 유루의 성품을 헤아려 알아
대비(大悲)를 일으키네.
다함이 있든 다함이 없든
이 모든 것에 대해 집착함이 없으니
불심(佛心)은 큰 구름과 같이
실제공(實際空)에 머무네.
삼매와 총지법(總持法)으로
때에 맞춰 단비를 내리니
일체의 모든 착한 싹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라나네.
이 게송의 내용은 앞의 내용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이것이 청정법신임을 알아야 한다. 객진의 온갖 고통을 멀리 떠나기 때문이며, 자성의 공덕을 성취하기 때문이다. 이 법을 증득하는 이를 여래ㆍ응공ㆍ정등각이라 한다. 적정(寂靜)하고 청량하며 불가사의한 열반의 경계에 상주(常住)하고, 항상 안락함을 수용하니, 일체중생이 귀의하고 믿는다. 하나의 성품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한다.
이것은 곧 법신이고
또한 여래이며
이와 같으면 곧
성스러운 진리[聖諦]의 제일의(第一義)이네.
열반은 부처님과 다르지 않으니
마치 차가움과 물과의 관계와 같으며
공덕이 서로 떠나지 않으므로
열반과 다르지 않네.
만약 여래의 법신이 열반과 다르다면 경전에서는 이와 같이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와 같은 것을 게송으로 말한다.
중생계가 청정하면
곧 법신임을 알아야 하네.
법신이 곧 열반이고
열반이 곧 여래이네.
또한 경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세존이시여, 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열반계라 하며, 이 열반계를 여래 법신이라 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와 법신은 서로 다르지 않습니다. 여래가 곧 법신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것은 고멸제(苦滅諦)와 다르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괴로움이 무너지는 것을 고멸제라 이름하지 않습니다. 고멸(苦滅)이란 본래부터 짓는 바도 없고 일어남도 없고, 태어남도 없고 멸함도 없고, 다함도 없고 다함도 떠나 항상 변하지 않고 단절됨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자성청정하여 일체의 번뇌장을 멀리 여의고 항하의 모래수보다 많은 지혜를 떠나지도 않고 벗어나지도 않으며, 불가사의한 온갖 불법을 갖춤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여래 법신이라 합니다. 세존이시여, 이 여래 법신이 아직 번뇌장(煩惱藏)을 떠나지 않은 상태를 여래장(如來藏)이라 합니다. 여래장의 지혜가 곧 여래의 공지(空智)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장은 일체의 성문이나 독각이 그 본바탕을 알 수도 없고 증득할 수도 없습니다. 오직 불세존만이 일체의 번뇌장을 영원히 무너뜨려 일체의 괴로움을 멸하는 도를 갖추어 닦아야만 증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과 열반은 차별이 없음을 알아야 합니다. 비유하면 차가운 촉감이 물과 다르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또한 오직 일승도(一乘道)만 존재한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고 이와 다르면 유여열반(有餘涅槃)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법계에 어찌 하열(下劣)한 열반과 승묘(勝妙)한 열반이 있겠는가? 또한 하(下)ㆍ중(中)ㆍ상(上)의 우열이 있는 온갖 인(因)으로부터 하나의 과(果)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현현하는 인이 차별되면 과도 또한 차별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세존이시여, 실로 우열과 차별이 없는 법은 열반을 증득합니다. 평등한 모든 법을 열반에서 증득합니다. 세존이시여, 평등지(平等智)와 평등해탈과 평등해탈견(平等解脫見)은 열반을 증득합니다. 그러므로 세존이시여, 열반계를 일미(一味)라 합니다. 이른바 평등미(平等味)이고 해탈미(解脫味)인 것입니다.”
- 017_0794_a_01L大乘法界無差別論堅慧菩薩造 大唐于闐三藏提雲般若等 譯稽首菩提心 能爲勝方便 得離生老死病苦依過失菩提心略說有十二種義是此論體諸聰慧,者應如次知所謂。果故因故。自性故異,名故無差:別故分住故無,染故常恒故相應故不作,義利故作義利,故一性故此中,最初顯示菩提心果令,見勝利,次卽說彼。所起之因然後,安立此出,生相及顯異名而無,差別於一切位無有。染著常與,淨法而共,相應不淨,位中無諸,功用於淸,淨位能作,利益一性。涅槃應知,如是十二種義今此,論中次第開闡。何者名爲菩提,心果謂最,寂靜涅盤。界此唯,諸佛所證非?餘能得所以者何、唯佛如來能永,滅盡一切,微細煩惱?熱故於中,無生永不復生,意生諸薀故無老此功德。增上殊勝圓滿究竟無衰變。故無死永捨,離不思議變易,死故無病一切。煩惱所知障病,及與習氣皆永斷故無苦。依無始時來,無明住地,所有習氣,皆永除故,無過失一切身、語、意,誤犯不行故,此則由菩提心爲最上方便不退失因一切功德至於究竟,而得彼果。彼果者,卽涅盤界。何者爲涅盤界謂諸佛所有轉依相,不思議法身。以菩提心,是不思議果因如白月初分故今頂禮復次頌曰能益世善法 聖法及諸佛 所依寶處如如地海種子復次菩提心如地一切世閒善苗生長所,依故如海一切聖法珍,寶積聚處所故如。種子。一切佛樹出生相續之因故。如是已。說菩提心,果云何此因頌曰信爲其種子 般若爲其母 三昧爲胎藏大悲乳養人復次云何此因積集應知如轉輪王子其,中於法深信爲菩提心種子智慧。通達爲母三昧,爲胎藏由定樂。住一切善法得。安立故大悲。爲乳母以,哀愍衆生於生死中。無有厭倦一切種智得圓滿故。云何自性?頌曰:‘自性無染著 如火寶空水 白法所成就猶如大山王。’復次,應知此菩提心因,積集已,有二種相:謂離染淸淨相、白法所成相。離染淸淨相者,謂卽此心自性不染,又出客塵煩惱障,得淸淨,譬如火、摩尼寶、虛空、水等,爲灰、垢、雲、土所覆翳時,雖其自性無所染著,然猶遠離灰等故,令火等,得淸淨。如是一切衆生,自性無差別心,雖貪等煩惱所不能染,然猶遠離貪等故,其心得淸淨。白法所成相者,謂如是自性淸淨心,爲一切白法所依。卽以一切白淨法,而成其性。如說須彌山,衆寶所依。卽以衆寶而合成故云何異名頌曰:‘至於成佛位 不名菩提心 名爲阿羅訶淨我樂常度 此心性明潔 與法界同體如來依此心 說不思議法。’復次此菩提心永離一切客塵過惡不離一切功德成就。得四種最上波羅蜜。名如來法身。如說世尊,如來法身,卽是常波羅蜜、樂波羅蜜、我波羅蜜、淨波羅蜜。如來法身,卽是客塵煩惱,所染自性淸淨心,差別名字。又如說:舍利弗此淸淨法性,卽是法界我依此自性淸淨心,說不思議法云何無差別頌曰:‘法身衆生中 本無差別相 無作無初盡亦無有染濁 法空智所知 無相聖所行一切法依,止 斷常皆悉離。’復次,此菩提心在於一切衆生身中,有十種無差別相:所謂無作以無爲故,無初以無起故,無盡以無滅故,無染濁以自性淸淨故:性空智所知,以一切法無我一味相故無形相以無諸根故,聖所行以是佛大聖境界故,一切法所依,以染淨諸法,所依止故:非常以是雜染非常法性故非斷以是淸淨非斷法性故。云何分位?頌曰:‘不淨衆生界 染中淨菩薩 最極淸淨者是說爲如來。’復次,此菩提心,無差別相故,不淨位中,名衆生界,於染淨位,名爲菩薩,最淸淨位,說名如來,如說,舍利弗,卽此法身,爲本際無邊煩惱藏所纏,從無始來,生死趣中,生滅流轉,說名衆生界。復次舍利弗,卽此法身,厭離生死漂流之苦,捨於一切諸欲境界,於十波羅蜜及八萬四千法門中,爲求菩提,而修諸行,說名菩薩。復次,舍利弗。卽此法身,解脫一切煩惱藏,遠離一切苦,永除一切煩惱隨煩惱垢,淸淨極淸淨最極淸淨,住於法性,至一切衆生所觀察地盡一切所知之地,昇無二丈夫處得無障㝵無所著,一切法自在力,說名如來應正等覺。是故舍利弗,衆生界不異法身法身不異衆生界。衆生界卽是法身法身卽是衆生界。此但名異,非義有別。云何無染頌曰:‘譬如明淨日 爲雲之所翳 煩惱雲若除法身日明顯。’此復云何?於不淨位中,現有無量諸煩惱,而不爲染,譬如日輪爲雲所覆,而性常淸淨,此心亦爾,彼雜煩惱,但爲客故。云何常恒?頌曰:‘譬如劫盡火 不能燒虛空 如是老病死不能燒法界。 如一切世閒 依虛空起盡諸根亦如是 依無爲生滅’復次,云何於此現有生老死,而言是常譬如虛空,雖劫災火起,不能爲害,法界亦爾,是故經言:世尊,生死者,但隨俗說有。世尊,死者,諸根隱沒。生者,諸根新起。非如來藏有生老死、若沒若起。世尊,如來藏過有爲相,寂靜常住,不變不斷故。云何相應頌曰:‘如光明熱色 與燈無異相 如是諸佛法於法性亦然 煩惱性相離 空彼客煩惱淨法常相應 不空無垢法。’復次,云何未成正覺而言於此佛法,相應?譬如光明、熱色等與燈,無有異相,諸佛法於法身,亦如是,如說:舍利弗,諸佛法身,有功德法。譬如燈有光明、熱色,不離不脫,摩尼寶珠光色、形狀、亦復如是。舍利弗,如來所說。諸佛法身智功德法不離不脫者所謂過恒河沙,如來法也。復次,如說:有二種如來藏空智。何等爲二?所謂空如來藏、一切煩惱若離,若脫智;不空如來藏過恒河沙,不思議諸佛,法不離不脫智。云何不作義利?頌曰:‘煩惱藏纏覆 不能益衆生 如蓮花未開如金在糞中。 亦如月盛滿 阿修羅所蝕。’復次,衆生法身,卽與如是功德相應,何故無有如來德用應知此如蓮未開,諸惡見葉,共包裹故。如金墮廁。在於覺觀糞穢中故。如滿月被蝕。我慢羅睺,所執取故如池水被濁。貪欲塵土,所混雜故如金山被翳瞋恚泥垢所封著故。如虛空被覆。癡愚重雲之所蔽故如日未出,在無明習氣地中故如世界未成在六處水大藏中故如雲無雨。相違緣現前故。摠爲頌曰:‘如蓮金等未開顯 佛體客塵翳亦然是時功德不自益 反此則能爲大利。’云何作義利?頌曰:‘如池無垢濁 如蓮大開敷 亦如上眞金洗除衆糞穢。 如虛空淸淨 朗月星圍繞離欲解脫時 功德亦如是。 譬如日明現威光遍世閒 如地生衆穀 如海出衆寶。如是益衆生 令從諸有脫 了知諸有性而起於大悲。 若盡若不盡 斯皆無所著佛心如大雲 住於實際空。 三昧摠持法甘,雨隨時降 一切諸善苗 因此而生長。’此偈中,義與前相反應知則是淸淨法身。遠離客塵衆患故。成就自性功德故。證斯法者則名如來應正等覺,於常住寂靜淸涼、不思議涅盤界,恒受安樂,爲一切衆生之所歸仰。云何一性?頌曰:‘此卽是法身 亦卽是如來 如是亦卽是聖諦第一義。 涅盤不異佛 猶如冷卽水功德不相離 故無異涅盤。’若如來法身,異涅盤者,經中不應作如是說。如彼頌曰:衆生界淸淨 應知卽法身 法身卽涅盤涅盤卽如來。復次,如有經言,世尊卽此阿耨多羅三藐三菩提名涅盤界。卽此涅盤界,名如來法身。世尊無異如來,無異法身。言如來者,卽法身也。復次應知此亦不異苦滅諦是故經言非以苦壞名苦滅諦言苦滅者以從本已來,無作無起,無生無滅,無盡離盡,常恒不變,無有斷絕。自性淸淨,遠離一切煩惱藏,具足過恒河沙,不離不脫智,不思議諸佛法,是故說名如來法身。世尊,卽此如來法身,未離煩惱藏,說名如來藏。世尊,如來藏智是如來空智世尊,如來藏者,一切聲聞、獨覺本所不見,本所不證,唯佛世尊,永壞一切煩惱藏,具修一切苦滅道之所證得。是故當知佛與涅盤無有差別譬如冷觸不異於水。復次,應知唯有一乘道。若不爾者,異此應有餘涅盤故。同一法界,豈有下劣涅盤、勝妙涅盤耶?亦不可言由下中上勝劣諸因,而得一果。以現見因,差別果亦差別故,是故經言,世尊實無勝劣差別法,證得涅盤。世尊平等諸法證於涅盤。世尊平等智,平等解脫,平等解脫見證得涅盤。是故世尊涅盤界者,名爲一味。所謂平等味、解脫味也。大乘法界無差別論此論丹藏與國宋二藏。不同此則丹本。有五字、四句、二十四頌。閒挾七言一偈。離爲十二段。段段各釋。吾祖賢首疏所釋者,此本也。按彼國宋兩本,有七字四句,二十偈。一擧竝出,後方次第釋之。其初偈,曰法界不生,亦不滅,無老病死,無蘊過,由彼發勝菩提心。是故我今稽首禮者是也。今按,開元錄及賢首疏竝以此論爲單譯。而國宋兩本,與此丹本文,雖有異,義則無殊。必是開元之後,後代重譯也。但未詳何代、何人之譯。此須待勘。二藏直以彼爲提雲般若譯者錯耳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 1)무위생사(無爲生死), 부사의변역생사(不思議變易生死)라고도 하며 분단생사(分段生死)의 대칭개념이다. 즉, 아라한이나 벽지불 및 큰 힘을 지닌 보살은 무루의 유분별업(有分別業)을 인(因)으로 무명주지(無明住地)를 연(緣)으로 삼아 삼계 밖의 뛰어나고 오묘한 과보의 몸을 감득(感得)한다. 무루의 비원력으로 이전의 분단생사의 조야한 몸을 미묘하고 형색이 없고 수명이 무한한 몸으로 변화시키므로 변역(變易)이라 하고, 무루의 정력(定力)과 원력(願力)이 감응하여 묘용이 측량하기 어려울 정도이므로 부사의(不思議)라 한다.
- 2)범어로는 avidyvsabhmi이며, 일체 무지(無知)의 근원을 가리킨다. 5주지혹(住地惑) 가운데 다섯 번째이다. 무명주지는 근본과 지말 번뇌 가운데 근본무명이다.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가운데 법집에 속한다. 일체의 번뇌가 의지하므로 변역생사의 원인[因]이기 때문에 무명주지라 칭한다.
- 3)범어로는 vsan이며, 번뇌습ㆍ여습(餘習)ㆍ잔기(殘氣)라고도 한다. 유식종(唯識宗)에서는 습기를 종자(種子)의 다른 명칭이라 한다.
- 4)전의란 하열한 법이 의지하는 것을 버리고 뛰어나며 깨끗한 법이 의지하는 것을 증득함을 말한다. 성스러운 도를 닦아 번뇌장과 소지장을 단멸하면 열반과 보리의 과(果)를 증득하게 된다. 이 두 가지 과를 2전의과(轉依果)라 한다. 이러한 양상을 전의상(轉依相)이라 한 것 같다.
- 5)일체의 선법(善法)을 지칭한다.
- 6)수미산을 말하는 듯하다.
- 7)범어로는 arhat이며 아라한을 말한다.
- 8)범어로는 Rhu이다. 나후는 황번성을 말하며 식신(蝕神)이라고도 칭한다. 그것이 해나 달을 만나면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