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구원 사업 인문학(HK)연구사업, 한국불교전서 역전사업, 중점연구소사업

연구원 사업

  • 학술지간행
  • 단행본
  • 학술세미나

중점연구소사업

home 연구프로젝트 중점연구소사업

본 연구원은 2005년 12월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신청과제 ‘아시아 근현대 불교문화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을 포함한 아시아 전체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불교의 미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원은 총 9년에 걸친 이 사업을 3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그 과제명은 제1단계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문화의 변용 비교’, 제2단계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 제3단계 ‘아시아 불교문화 교류와 한국불교의 현대적 모색’이다.

총괄 연구과제 아시아 근현대 불교문화 연구
제1단계 연구과제
(2005.12~2008.11)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문화의 변용 비교
제2단계 연구과제
(2008.12~2011.11)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
제3단계 연구과제
(2011.12~2014.11)
아시아 불교문화 교류와 한국 불교의 현대적 모색

제1단계 연구과제에서는 한·중·일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가 불교문화의 변용에 미친 영향을 비교의 시각에서 다루었고, 제2단계 연구과제에서는 동북아 외에 다른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불교문화를 탐구하여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을 살피고, 이것을 통해 아시아불교의 정체성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2011년 12월부터 시작하는 제3단계 연구과제에서는 아시아 각국의 불교문화 교류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제1, 2 단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 불교의 새로운 현대적 모색을 시도하고자 했다.

본 연구원은 2008년 11월 제1단계 연구과제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문화의 변용 비교’를 수행 완료하고, 제2단계 연구과제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수행하던 중, 2011년 8월 불교학술원 산하 본 연구원이 주관하는 인문한국(HK)연구단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지원사업 인문사회 분야에 선정됨에 따라 지금까지의 중점연구소 사업은 모두 인문한국(HK)사업에 통합 승계되었다. 당초 계획했던 중점연구소사업 제3단계 연구과제 ‘아시아 불교문화 교류와 한국불교의 현대적 모색’은 2011년 9월부터 시작한 인문한국(HK)연구단의 연구아젠다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확장 담론’에서 함께 다루어질 예정이다. 앞으로 인문한국(HK)연구단은 약 6년 동안에 걸쳐 수행해 온 중점연구소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고, 제3단계 연구과제의 방향성을 계승하는 통합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심화, 확대된 연구를 진행해 갈 것으로 기대한다.


중점연구소사업 제1단계 (2005.12∼2008.11)

중점연구소 총괄 연구과제 ‘아시아 근현대 불교문화연구’의 제1단계 연구에서는 한·중·일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가 불교문화의 변용에 미친 영향을 비교의 시각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세부과제를 담당한 한국불교연구팀에서는 ‘한국 근대 민족불교의 부침과 자주화의 모색’을, 제2세부과제를 담당한 중국불교연구팀에서는 ‘중국 근대 동서문화의 충돌과 민족주의 불교의 발현’을, 그리고 제3세부과제를 담당한 일본불교연구팀에서는 ‘일본 근대 군국주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을 연구주제로 삼았다.


연구과제

제1단계 연구과제: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문화의 변용 비교
제1세부과제 (한국불교연구팀) 한국 근대 민족불교의 부침과 자주화의 모색
제2세부과제 (중국불교연구팀) 중국 근대 동서문화의 충돌과 민족주의 불교의 발현
제3세부과제 (일본불교연구팀) 일본 근대 군국주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

연구인력


한국불교연구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김상일 연구책임자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2005.12.01∼2008.11.30
한상길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5.12.01∼2008.11.30
김기종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문학사 2007.03.01∼2008.11.30
김정희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불교철학 2008.04.01∼2008.11.30
이기운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7.04.01∼2008.02.28
류승주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철학 2006.03.01∼2007.03.31
서재영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6.03.01∼2007.01.31
김기종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문학사 2007.03.01∼2008.11.30
이봉춘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사 2005.12.01∼2009.02.28
고영섭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학과 한국불교 2009.03.01∼2008.11.30
김광식 공동연구원 부천대 한국불교 2005.12.01∼2008.11.30
서재영 공동연구원 조계종 불학연구소 한국불교 2007.02.01∼2008.11.30
이기운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8.03.01∼2008.11.30

중국불교연구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정병준 연구책임자 동국대 사학과 동양사 2005.12.01∼2008.11.30
김종두 연구교수 동국대 선학과 중국불교 2005.12.01∼2006.02.28
김제란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불교 2005.12.01∼2008.11.30
이정수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중국불교 2007.12.01∼2008.11.30
정영식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 2008.04.01∼2008.11.30
김진무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불교 2006.03.01∼2008.02.28
김연재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불교 2005.12.01∼2007.11.30
서인범 공동연구원 동국대 사학과 중국사 2005.12.01∼2008.11.30
김진무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불교 2008.03.01∼2008.11.30

일본불교연구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강석원 연구책임자 동국대 일어일문학과 일본고전문학 2005.12.01∼2008.11.30
윤기엽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 2005.12.01∼2008.11.30
조승미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 2005.12.01∼2008.11.30
원영상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일본불교 2005.12.01∼2008.11.30
김성철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관학 2005.12.01∼2006.03.31

사토아츠시

(佐藤厚)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5.12.01∼2008.11.30

연구논문 게재

세부과제
연구팀
성 명 학술지명 게재 연월 논문명

 

한국불교

연구팀

한상길 불교학보 45 2006.08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한상길 불교학보 46 2007.02 개화기 일본불교의 전파와 한국불교
한상길 불교학보 48 2008.02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한상길 한국선학 20 2008.08 일본 근대불교의 한·중 포교에 대한 연구
한상길 한국사상과문화 46 2009.02 한국 근대불교의 형성과 일본, 일본불교
한상길 한국선학 28 2011.04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사찰계
서재영 불교학보 45 2006.08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
서재영 한국선학 22 2009.04 조선후기 선문논쟁의 전개와 의의
서재영 한국선학 24 2009.12 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교단적 전개
류승주 불교학보 48 2008.02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의 양상
류승주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1 2009.02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조선불교유신론
이기운 불교학보 48 2008.02 근대기 승가의 교육체제 변혁과 자주화운동
이기운 한국선학 20 2008.08 근대기 불교계의 30본산 교육체제 정비와 인재양성
김기종

한민족문화연구

26

2008.08 근대 불교잡지의 간행과 불교대중화
김기종 불교학보 49 2008.08 한중 근대 불교개혁론의 비교연구
김기종

한민족문화연구

28

2009.02 근대 대중불교운동의 이념과 전개
김정희 불교학보 49 2008.08 종단설립운동과 조계종의 근대적 의미
김상일 불교학보 46 2007.02 석전 박한영의 저술 성향과 근대불교학적 의미
김상일 불교학보 56 2010.12 석전 박한영의 불교적 문학관
김광식 한국선학 15 2006.12 사찰령의 불교계 수용과 대응
김광식 불교학보 47 2007.08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와 민족불교
김광식 불교학보 49 2008.08 김지효의 꿈 범어사 총림건설
김광식 한국선학 21 2008.12 송서암의 불교개혁론
김광식 정토학연구 11 2008.12 법정사 항일운동의 연구, 회고와 전망
김광식 한민족문화연구 21 2009.05 홍월초의 꿈 -그의 교육관에 나타난 민족불교
이봉춘 불교학보 48 2008.02 불교지성의 연구활동과 근대불교학 정립
고영섭 불교학보 51 2009.02 한·중·일 삼국 근대불교학의 연구방법론
조아담 불교학보 48 2008.02 재일 조선불교 유학생들의 활동
김경춘 한국선학 17 2007.08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

중국불교

연구팀

김진무 불교학보 45 2006.08 청말 묘산흥학과 중국근대불교학의 부흥
김진무 불교학보 46 2007.02 양문회의 불학사상과 금릉각경처
김진무 불교학보 48 2008.02 지나내학원과 중국불교학의 부흥
김진무 불교학보 49 2008.08 중국 근대 유불융합과 인간불교
김진무 한국선학 21 2008.12 중국근대 거사불교의 성격과 사회적 역할
김진무 한국선학 24 2009.12 중국근대 동서문화의 충돌과 민족주의 불교의 발현
김진무 한국선학 26 2010.08 구양경무의 교육사상
김제란 불교학보 45 2006.08 중국근대 신불교 운동과 <대승기신론> 논쟁
김제란 시대와 철학 18-2 2007.02 중국근대 혁명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김제란 불교학보 47 2007.08 동서학의 매개로서의 유식학의 유행
김제란 한국불교학 51 2008.08 중국 근대불교의 서학의 흡수와 비판
김제란 불교학보 49 2008.08 중국근대 사회진화론 수용에 대한 불교적 비판
김제란 한국사상과문화 46 2009.02 양계초 사상에 나타난 서학 수용의 일단면
김연재 불교학보 45 2006.08 중국근대의 민족불교에 있어서 호국론의 대두와 그 성격
김연재 동양철학 28 2007.12 중국 근대성의 담론으로부터 본 태허의 ‘인간불교’와 그 현생관
이정수 한국선학 20 2008.08 중국근대 불학원의 설립과 그 영향
이정수 불교학보 49 2008.08 근대 중국불교의 태동과 자각
이정수 한민족문화연구 28 2009.02 태허의 인간불교와 용성의 대각운동의 비교연구
정영식 불교학보 49 2008.08 청말-민국년간의 경전간행사업과 中日교류
정영식 한국사상과문화 46 2009.02 한·일 양국의 근대불교와 신흥종교의 성립에 관한 비교연구
서인범 불교학보 47 2007.08 청대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차상엽 한국선학 16 2007.02 근대중국에 있어서 팃벳불교연구의 전개
양정연 한국선학 20 2008.08 태허불교개혁운동의 실천원리와 전개

일본불교

연구팀

윤기엽 불교학보 45 2006.08 폐불훼석과 메이지정부
윤기엽 한국불교학 48 2007.08 일본 다이쇼시대 불교계의 편찬사업
윤기엽 불교학보 48 2008.02 대동아공영권과 교토학파의 이론적 후원
윤기엽 한국선학 20 2008.08 일본 근대불교의 해외포교 전개양상
윤기엽 한국사상과문화 48 2009.07 일본 근대불교의 북미지역 포교
원영상 불교학보 45 2006.08 단가제도의 성립 정착과정과 일본 불교계의 양상
원영상 한국선학 16 2007.02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원영상 불교학보 47 2007.08 일련주의의 불법호국론과 국체론
원영상 불교학보 49 2008.08 국체론과 일본 근대불교학
원영상 종교와문화 52 2008.09 일본불교의 영장(靈場)과 성지순례문화 연구
원영상 한국선학 21 2008.12 한·중·일 삼국근대불교의 민족의식에 대한 연구
원영상 한국선학 24 2009.12 일본근대 군국주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
원영상 한국선학 26 2010.08 일본 근대불교의 개혁운동과 야마자키 벤네이(山崎弁榮)의 광명회
조승미 불교학보 46 2007.02 근대 일본불교의 전쟁지원
조승미 불교학보 47 2007.08 메이지 말기 일본의 가족국가관 형성과 불교계의 여학교 설립
조승미 불교연구 29 2008.08 메이지시대 서구 불교문헌학의 수용과 난죠분유
조승미 불교학보 49 2008.08 근대 일본불교의 중국진출과 아시아주의
조승미 불교연구 30 2009.02 일본의 근대불교학 형성과 대승 비불설의 문제
조승미 불교연구 32 2010.02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

사토

아츠시

불교학보 46 2007.02 세노오 기로오의 불교와 사회주의

연구서 및 역서 출간

성 명 저 자 발행처 발행일 총서
동아시아불교, 근대와의 만남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08.06 동아시아 불교총서
근대 동아시아의 불교학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08.19 동아시아 불교총서
일본불교사 근대 (역서) 원영상 · 윤기엽·조승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08.28 동아시아 불교총서

학술세미나 개최

세미나명 (일자) 발표자 (소속팀) 발표 주제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계의대응Ⅰ

(2006.08.29)

서재영 (한국팀) 도성해금의 진실과 근대불교의 전개
한상길 (한국팀)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류승주 (한국팀)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근대불교의 변화
김진무 (중국팀) 청말 묘산흥학과 중국근대불교학의 부흥
김제란 (중국팀) 중국근대 신불교운동과 대승기신론 논쟁
김연재 (중국팀) 중국근대의 민족불교에 있어서 호국론의 대두와 그 성격
윤기엽 (일본팀) 폐불훼석과 메이지유신
원영상 (일본팀) 단가(檀家)제도의 성립 정착과정과 일본불교계의 양상
조승미 (일본팀) 근대 일본불교의 여성교육 비판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계의 대응 Ⅱ

(2006.11.01)

서재영 (한국팀) 조선후기 선문논쟁의 전개와 그 의의
한상길 (한국팀) 개화기 일본불교의 전파와 한국불교
류승주 (한국팀) 친일불교의 양상과 그 이중성
김상일 (한국팀) 석전 박한영의 저술에 나타난 근대 불교학적 의미
김진무 (중국팀) 금릉각경처의 설립과 불교의 근대교육
김제란 (중국팀) 중국 혁명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김연재 (중국팀) 유 · 불 · 도 삼교융합의 차원에서 본 중국근대의 민족불교
윤기엽 (일본팀) 일본 다이쇼시대 불교계의 편찬사업
원영상 (일본팀)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조승미 (일본팀) 근대 일본불교의 전쟁지원
佐藤厚 (일본팀) 1930년대의 일본과 신흥불교청년운동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계의 대응 Ⅲ

(2007.09.06)

이기운 (한국팀) 전통승가의 변혁과 주체성 교육
김기종 (한국팀)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
김광식 (한국팀)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와 민족불교론
김제란 (중국팀) 동서학의 매개로서의 유식학의 유행
김연재 (중국팀) 중국 근대성의 담론에서 본 태허의 인간불교와 그 현생관
서인범 (중국팀) 청대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윤기엽 (일본팀) 대동아공영권과 교토학파의 이론적 후원
원영상 (일본팀) 일련주의의 불법호국론과 국체론

중점연구소사업 제2단계 (2008.11∼2011.08)

중점연구소 총괄 연구과제 ‘아시아 근현대 불교문화연구’의 제2단계 연구에서는 동북아 외에 다른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불교문화를 탐구하여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을 살피고, 이것을 통해 아시아불교의 정체성을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1세부과제를 담당한 아시아불교 사상팀에서는 ‘근대적 사유와 아시아 불교의 변용’을, 제2세부과제를 담당한 아시아불교역사팀에서는 ‘아시아 근대불교의 역사적 전개와 시대의식’을, 그리고 제3세부과제를 담당한 아시아불교문화팀에서는 ‘아시아 근대불교문화의 변용과 정체성 모색’을 연구과제로 삼았다.


연구과제

제2단계 연구과제: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

제1세부과제

(아시아불교 사상팀)

근대적 사유와 아시아 불교의 변용

제2세부과제

(아시아불교 역사팀)

아시아 근대불교의 역사적 전개와 시대의식

제3세부과제

(아시아불교 문화팀)

아시아 근대불교문화의 변용과 정체성 모색

연구인력

아시아불교 사상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박인성 연구책임자 동국대 불교학부 중관학 2008.12.01∼2011.08.31
김용태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사 2008.12.01∼2011.08.31
배상환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아미달마 부파불교 2008.12.01∼2011.08.31
양정연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티벳불교 2008.12.01∼2011.08.31
김종욱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학부 불교생태학 2008.12.01∼2011.08.31
김진무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불교 2008.12.01∼2011.08.31

아시아불교 역사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김호성 연구책임자 동국대 불교학부 인도고대철학 2008.12.01∼2011.08.31
김제란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국 근현대철학 2008.12.01∼2011.08.31
박금표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인도사 2008.12.01∼2011.08.31
원영상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일본불교 2008.12.01∼2011.08.31
박영환 공동연구원 동국대 중어중문학과 중국고전문학 2008.12.01∼2011.08.31
이기운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8.12.01∼2011.08.31

아시아불교 문화팀

성 명 직 위 소 속 전 공 재직 기간
고영섭 연구책임자 동국대 불교학부 한국불교 2008.12.01∼2011.08.31
정영식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중선학 2008.12.01∼2011.08.31
한상길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 2008.12.01∼2011.08.31
김진영 연구교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인도철학 2008.12.01∼2011.08.31
강문선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학부 선학 2008.12.01∼2011.08.31
황순일 공동연구원 동국대 불교학부

인도초기

부파불교

2008.12.01∼2011.08.31

연구논문 게재

세부과제
연구팀
성명 학술지명 게재 연월 논문명
아시아불교
사상팀
배상환 한국선학 24 2009.12 서구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불교학의 성립
배상환 한국선학 27 2010.12 인간 평등이념과 인도의 신불교운동
배상환 대각사상 15 2011.06 동남아시아 불교의 전통윤리와 그 근대적 적응
배상환 불교학보 59 2011.08 미얀마불교에서 신앙의 자유와 불교의 국교화운동
양정연 한국사상과문화

52

2010.03 근대시기 종교인식과 한국불교의 정체성논의
양정연 한국선학 26 2010.08 욕망의 주체로서 개인과 상좌부 불교의 무아론
양정연 시대와 철학 22-2 2011.06 중국불교의 근대적 자유개념의 수용과 전개
양정연 한국선학 29 2011.08 근대과학적 세계관의 유입과 불교세계관의 조명
김용태 한국사상과 문화 53 2010.09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전통의 재인식
김용태 역사학보 210 2011.06 동아시아 근대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김용태 불교학연구 29 2011.08 한․일 근대불교의 정교분리 문제와 종교성 인식
김용태 불교연구 35 2011.08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 모색과 정치적 세속화
박인성 불교학보 55 2010.08 서구 근현대철학의 관점에서 본 불교철학의 두 수행방식
김종욱 불교연구 35 2011.08 근대 내셔널리즘의 대두와 화엄적 민족주의 형성
김진무 한국선학 29 2011.08 근대합리주의 인간관의 유입과 불성론의 재종명
아시아불교
역사팀
박금표 한국선학 25 2010.04 아시아 근대화와 불교사회주의 등장
박금표 한국선학 26 2010.08 베트남 근대화에 미친 불교의 영향
박금표 인도연구 16-1 2011.05 근대 불교의 사회주의 비판
박금표 남아시아연구

17-1

2011.06 스리랑카 근대불교와 민족주의
김제란 시대와 철학

21-2

2010.06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김제란 한국사상과 문화54 2010.09 서양 자본주의의 침투에 대한 중국 근대불교의 대응
김제란 범한철학 61 2011.06 대만 근대불교의 형성과 정체성 모색
김제란 불교학연구 29 2011.08 중국혁명시기 모택동 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원영상 종교연구 60 2010.09 일본 근현대불교의 정치단체 연구
원영상 동서비교문학 저널 24 2011.06 불교와 파시즘 및 군국주의의 상호연관성
원영상 일본근대학연구

33

2011.08 근대 일본불교의 현실참여와 아나키즘
원영상 한국불교학 67 2011.08 근대 일본불교의 서양사상의 수용과 전개 -井上円了를 중심으로-
김호성 불교학보 55 2010.08 근대한국의 선농불교에 대한 재조명
김호성 한국선학 27 2010.12 학명의 선농불교에 보이는 결사적 성격
김호성 남아시아연구 17-1 2011.06 근대인도의 노동의 철학과 근대 한국불교의 선농일치 사상비교
이기운 한국선학 24 2009.12 한국 근대불교잡지에 나타난 사회인식의 근대적 전환
박영환 불교연구 35 2011.08 중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불교사유와 역사의식
아시아불교
문화팀
정영식

한국사상과문화

52

2010.03 아시아 근대불교의례와 선문일송의 유통
정영식 불교학연구 27 2010.12 한일 근대불교의 사원조직에 대한 연구
정영식 한국선학 29 2011.08 한국근대불교에 있어서의 불타담론
정영식 불교연구 35 2011.08 근대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성지순례의 제상(諸相)
김진영 남아시아연구
16-1
2010.06 서구사상의 유입과 아시아 불교신앙체계의 변용비교
김진영 인도철학 31 2011.04 아시아 근대불교와 문화제국주의 비판
김진영 동남아시아연구
21-2
2011.06 근대 동남아불교의 힌두문화 수용
김진영 태국논총 18-1 2011.08 근대화와 동남아 신불교운동의 전개
한상길 한국사상문화 53 2010.09 한국 근현대 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연구
한상길 선문화연구 10 2011.06 한국 근대불교연구와 국사교과서의 근대불교서술
한상길 한국선학 29 2011.08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상길 보조사상 36 2011.08 한국 근대불교의 불교문화재 인식
고영섭 불교학보 55 2010.08 한국의 근대화와 전통불교의례의 변모
강문선 불교학보 55 2010.08 근대화에 따른 동아시아 사원규범의 변화
황순일 불교학보 55 2010.08 근대 돈황학 성립과 오리엔탈리즘

연구서 출간

서 명 저자 발행처 발행일 비고
동아시아 불교의 근대적 변용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09.17 동아시아 불교총서
아시아불교, 서구의 수용과 대응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07.29 동아시아 불교총서
아시아불교, 전통의 계승과 전환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07.29 동아시아 불교총서

학술세미나 개최

세미나명 (일자) 발표자 (소속팀) 발표 주제
아시아 근대불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Ⅰ

(2009.09.18)

배상환 (사상팀) 서구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의 수용과 인도불교학의 성립
양정연 (사상팀) 종교학의 성립과 불교의 정체성 논의
이기운 (역사팀) 한국 근대불교잡지에 나타난 수양론연구
박금표 (역사팀)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
정영식 (문화팀) 선문일송에 대한 기초적 연구
김진영 (문화팀) 아시아 근대불교와 문화제국주의 비판
아시아근대불교

문화팀 분과세미나

(2010.04.23)

황순일 (문화팀) 근대 돈황학의 성립과 오리엔탈리즘
김진영 (문화팀) 서구사상의 유입과 아시아 불교신앙체계의 변용비교
아시아 근대불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Ⅱ

(2010.06.04)

배상환 (사상팀) 인간 평등이념과 근대인도의 신불교운동
김용태 (사상팀)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전통의 재인식
김제란 (역사팀)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원영상 (역사팀) 일본 근현대불교의 정치단체 연구
김호성 (역사팀) 근대 인도의 노동의 철학(karma-yoga)과 근대한국불교의 선농일치 사상비교
고영섭 (문화팀) 한국의 근대화와 전통 불교의례의 변모
강문선 (문화팀) 근대화에 따른 동아시아 사원규범의 변화

아시아 근대불교

사상팀 분과세미나

(2010.09.10)

김용태 (사상팀) 일본불교에서 정교분리의 대두와 내면적 자아의 발견
박인성 (사상팀) 서구 근현대철학의 관점에서 본 불교철학의 무아론
아시아 근대불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Ⅲ

(2010.09.30)

양정연 (사상팀) 욕망의 주체로서 개인과 상좌부불교의 무아론
박금표 (역사팀) 베트남 근대화에 미친 불교의 영향
한상길 (문화팀)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아시아 근대불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Ⅳ

(2011.04.15)

김진무 (사상팀) 근대 합리주의적 인간관의 유입과 불성론 재조명
김용태 (사상팀) 동아시아 근대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김호성 (역사팀) 근대인도의 노동의 철학(karma-yoga)과 근대 한국불교의 선농일치 사상비교
김제란 (역사팀) 중국혁명시기 모택동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김진영 (문화팀) 근대 동남아불교의 힌두문화의 수용
정영식 (문화팀) 한일 근대불교의 사원조직 연구
아시아 근대불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Ⅴ

(2011.06.24)

김종욱 (사상팀) 내셔널리즘과 화엄적 민족주의
김진무 (사상팀) 중국근대 인간불교에 나타난 유불융합의 경향
김호성 (역사팀) 출가, 탈권력의 사제동행
이기운 (역사팀) 근대 불교잡지를 통해 본 수양론 양상과 불교개혁론
강문선 (문화팀) 근현대 한국비구니 선원청규의 변용

국제학술대회 개최

학술대회명 (일자) 발표자 (국적) 발표 주제
동남아시아의 근대와 불교
(2009.11.06)
Pham Quoc Su
(베트남)
16∼20세기까지 서구열강의 확장과 통치의 배경
Gamini Keerawella
(스리랑카)
16∼20세기까지 스리랑카에서 이루어진 서구 식민정책에 대한 불교의 대응 양상
Pichai

Kankulsoontorn(태국)

글로벌 시대의 태국 사회와 불교
장준영 (대한민국) 식민시기 미얀마 불교민족주의의 성격과 한계: 전통과 근대의 교차점에서
동아시아 근대불교의
역동과 변용 (2011.07.16)
원영상 (대한민국) 근대 일본불교와 아나키즘
배상환 (대한민국) 미얀마불교의 종교자유와 불교의 국교화
한상길 (대한민국) 한국 근대불교의 불교문화재 인식
박영환 (대한민국) 중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와 역사의식
蔡耀明 (대만) 근현대에 나타난 제종교에 대한 대만불교의 대응-불교의 포용설을 중심으로
習細平 (중국) 20세기 초 중국포교방식의 변화
馬場久幸 (일본) 일본 근대불교와 대장회(大藏會)

대학원협동과정 ‘비교불교학협동과정’ 개설

본 중점연구소사업의 제2단계에서는 연구과제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수행하는 것과 함께 2009년 대학원 협동과정 ‘비교불교학 협동과정’을 개설, 운영하였다. 본 대학원과정은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개설되어 아시아불교 전반에 걸친 다양한 교육강좌를 통해 불교 관련의 학술 연구, 언론, 문화 등의 다양한 전문기관 등에 종사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아시아 문화 속에서 불교의 위상과 그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교과과정은 ‘불교인문학’, ‘불교지역학’, ‘불교문화학’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8월 불교학술원 산하 본 연구원이 주관하는 인문한국(HK)연구단이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지원사업 인문사회 분야에 선정됨에 따라 지금까지의 중점연구소 사업이 모두 인문한국(HK)연구사업에 통합 승계되면서 대학원 협동과정 ‘비교불교학협동과정’이 일반대학원 과정 ‘한국불교융합학과’로 확대 개편되었다. 한국학과 불교학이 융합된 한국불교융합학과는 불교학술원 소속의 일반대학원 석박사과정으로서 연구와 교육이 연계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학원협동과정 ‘비교불교학협동과정’ 개설

No. 학수번호 교 과 목 명 학점 비고
1 CBS6001 비교불교학 연구방법론 3
2 CBS6002 동아시아 유불도 삼교관계 연구 3
3 CBS6003 불교사상과 현대철학 비교연구 3
4 CBS6004 불교와 심리학 연구 3
5 CBS6005 동아시아 근대화와 불교 연구 3
6 CBS6006 근현대 불교지성사 연구 3
7 CBS6007 현대불교학 성립사 연구 3
8 CBS6008 한국문학사와 불교 연구 3
9 CBS6009 아시아불교문헌 비교 연구 3
10 CBS6010 동서양 문학과 불교 연구 3
11 CBS6011 한중일 선시 연구 3
12 CBS6012 동아시아 선불교 비교 연구 3
13 CBS6013 인도․중국 대승불교 비교연구 3
14 CBS6014 한중 불교관계사 연구 3
15 CBS6015 한일 불교관계사 연구 3
16 CBS6016 실크로드 불교문화 연구 3
17 CBS6017 중국․티베트 불교관계 연구 3
18 CBS6018 한국학으로서의 불교학 연구 3
19 CBS6019 동아시아 대장경 비교연구 3
20 CBS6020 남․북방 불교수행론 비교연구 3
21 CBS6021 인도와 남아시아 불교 교류연구 3
22 CBS6022 불교전파와 문화변용 연구 3
23 CBS6023 불교문화재와 미학 연구 3
24 CBS6024 아시아 불교문화 원형 비교 연구 3
25 CBS6025 불교문화콘텐츠 연구 3
26 CBS6026 불교영상문화 연구 3
27 CBS6027 불교서사와 스토리텔링 연구 3
28 CBS6028 아시아 불교의례문화 연구 3
29 CBS6029 아시아 불교설화 비교 연구 3
30 CBS6030 대중문화와 불교미디어 연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