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
신라불교의 巫覡 수용과 神聖空間의 재구성 (김영진, 2014.08)
|
2017.04.26
|
92 |
113 |
신라의 불교 교단과 ‘종파’ (박광연, 2017.03)
|
2017.04.26
|
49 |
112 |
東軒完奎스님의 생애에 대한 고찰 (한태식, 2014.12)
|
2017.04.26
|
40 |
111 |
論韓國學術界對臺灣“人間佛敎”的解讀與認識 (박영환, 2016.12)
|
2017.04.26
|
35 |
110 |
조선후기 사원의 문화적 특성 (정병삼, 2017.03)
|
2017.04.21
|
48 |
109 |
중국근대 불전 수입과 대형 불서의 편찬 (김영진, 2016.09)
|
2017.04.21
|
38 |
108 |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나무아미타불』에 나타난 해석학적 眼目 (김호성, 2015.06)
|
2017.04.21
|
45 |
107 |
玄奘譯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우제선, 2016.09)
|
2017.04.21
|
43 |
106 |
『사분의극략사기(四分義極略私記)』 「입분부동문(立分不同門)」의 연구(2) (박인성, 2014.12)
|
2017.04.21
|
39 |
105 |
보조선과 임제선의 동처와 부동처 (고영섭, 2016.06)
|
2017.04.21
|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