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베르그송 철학의 영향(김제란, 2021.05)
|
2021.06.16
|
14 |
213 |
밀교 승려 혜초의 사상과 신라 밀교(옥나영, 2021.04)
|
2021.06.16
|
15 |
212 |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김제란, 2021.04)
|
2021.06.16
|
10 |
211 |
The Formation of the Bhiksu Ordination in 19th Century Choson Korea(이자랑, 2021.04)
|
2021.06.16
|
9 |
210 |
한국불교 전적에 나타난 염불선의 계승과 발전(김성순, 2021.03.)
|
2021.06.16
|
7 |
208 |
코로나 시대, 한국불교 어떻게 포교할 것인가(조기룡, 2021.04)
|
2021.06.16
|
6 |
207 |
A Buddhist Critique of Neo-Confucianism in Seventeenth-Century Chosŏn Korea(김종욱, 2021.04)
|
2021.06.16
|
11 |
206 |
랑카중심주의와 남방테라와다(Theravada) 불교(황순일, 2021.03)
|
2021.06.16
|
10 |
205 |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의 분석을 통한 寶性論 제1장 제27송의 해석과 번역(우제선, 2021.03.)
|
2021.06.16
|
9 |
204 |
哈佛大學燕京圖書館對高麗時代 佛教貴重本收藏和保存現狀(박영환, 2021.03.)
|
2021.06.16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