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학을 통한 한국적 전통의 통시적 접근과 담론 창출
- 한국과 동아시아의 시·공간적 종.횡축 설정과 확장성 개념
- 로컬과 글로벌의 이중구조를 고려한 글로컬리티의 제안
- 고유성, 횡단성, 확장성의 복합적·단계적 접근
- 특수와 보편의 결합을 통한 탈영역성 추구
- 학제적 통합 연구와 한국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 창출
- 한국학의 특수성과 불교학적 보편성의 결합과 시너지 효과
- 한국형 문명패러다임의 보편사적 제안
- 담론 창출과 교류의 제도화를 통한 한국학의 세계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