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HK 연구단 소개 -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 불교학의 문화확장 담론이라는 연구 안젠다 수행

HK 연구단 소개

  • 사업개요
  • 연구단장 인사말
  • 연구인력
  • 협력기관
  • 오시는 길

연구인력

home HK 연구단 소개 연구인력

연구인력

김용태

상세보기

성명 김용태
소속 및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 한국불교융합학과 부교수
전공 한국불교사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신관 128호 / 02-6713-5169
이메일 yotai@dongguk.edu
성 명 김용태
소속 /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 한국불교융합학과 부교수
전 공 한국불교사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신관 128호 / 02-6713-5169
이메일 주소 yotai@dongguk.edu
학력
  • 2008 서울대 국사학과 문학박사
  • 2002 東京大 印度哲學佛敎學科 修士
  • 1999 서울대 국사학과 석사
  • 1996 서울대 국사학과 학사
경력
  •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한국불교융합학과 부교수
  • 2021.-현재, 불교학연구회 연구이사
  • 2013.-2014, 한국사상사학회 연구이사
  • 2012.-현재, 한국불교학회 일반이사
  • 2008.-2011.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점연구소 연구교수
  • 2016, 저술출판지원사업 선정(한국연구재단)
  • 2014, 대원불교문화상 대상 <불교학술 : 저서>
  • 201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대한민국학술원)
  • 2011, 일반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단독연구 정액) (한국연구재단)
  • 2010, 대원불교문화상 대상<불교학술: 저서> (동국대학교)
  • 2010, 선리연구원 학술상 (선학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2010, 한국사연구지원 (국사편찬위원회)
  • 2008, 우수논문사후지원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위논문
  • 2008,「朝鮮後期 佛敎의 臨濟法統과 敎學傳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2002,「笑菴觀復の華嚴思想硏究:『會解記』中心として」, 東京大 수사(석사)학위논문
  • 1999,「朝鮮中期 佛敎界의 변화와 ‘西山系’의 대두」,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0, 「Buddhism and the After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ading Souls to the Afterlife in a Confucian Society」, 『KOREA JOURNAL』 60-4
  • 2020, 「Formation of a Chosŏn Buddhist Tradition: Dharma Lineage and the Monastic Curriculum from a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Religions』 11-2
  • 2019, 「조선후기 불교와 민간신앙의 공존 양상- 산신·칠성 신앙의 불교화」, 『불교학연구』 61
  • 2019,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조선학, 『이조불교(李朝佛敎)』와 조선사상의 특성」, 『한국사상사학』 61
  • 2019, 「환성 지안의 宗統 계승과 禪敎 융합」, 『남도문화연구』 36
  • 2018, 「조선후기 사명대사 인식의 생성과 대중적 확산」, 『동아시아불교문화』 36
  • 2018, 「조선 불교, 고려 불교의 단절인가 연속인가?」, 『역사비평』 123
  • 2018, 「조선후기 불교문헌의 가치와 선과 교의 이중주」, 『한국사상사학』 58
  • 2017, 「朝鮮後期臨濟法統と敎育および修行体系の特徵」, 『印度學佛敎學硏究』 66-1
  • 2017, 「18세기 풍암 취우의 부휴계 법맥과 교학 계보」, 『한국불교사연구』 12
  • 2017, 「식민지기 한국인·일본인 학자의 한국불교사 인식 –공통의 지향과 상이한 시각」, 『한국사상사학』 56
  • 2016, 「유교사회의 불교의례: 17세기 불교 상례집의 五服制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76
  • 2016, 「조선 중기 의승군 전통에 대한 재고: 호국불교의 조선적 발현」, 『동국사학』 61
  • 2016, 「18세기 묵암최눌의 화엄교학과 불교사 인식」, 『보조사상』 46
  • 2015, 「청허 휴정과 조선후기 선과 화엄」, 『불교학보』 73
  • 2015, 「우정상 한국불교사 연구의 주춧돌을 놓다」, 『불교평론』 63
  • 2015,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한국사상과 문화』 78
  • 2015, 「The Establishment of the Approach of Chanting Amitābha’s Name and the Proliferation of Pure Land Buddhism in Late Chosŏn」, 『Journal of Korean Religions』 6-1
  • 2015, 「『조선불교통사』를 통해 본 이능화의 불교 이해」, 『애산학보』 41
  • 2014, 「근현대 승려 이미지의 굴절」, 『불교연구』 41
  • 2014, 「조선후기 중국 불서의 유통과 사상적 영향」, 『보조사상』 41
  • 2013, 「CHANGES IN SEVENTEENTH-CENTURY KOREAN BUDDH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IST TRADITION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CTA KOREANA』 16-2
  • 2013, 「조선시대 불교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불교학』 68
  • 2013, 「조계종 종통의 역사적 이해- 근현대 종명, 종조, 종지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선학』 35
  • 2013, 「19세기 초의 의순의 사상과 호남의 불교학 전통」, 『한국사연구』 160
  • 2012,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연구 100년」, 『불교학보』 63
  • 2012, 「한국불교사 기술에 나타난 주제와 쟁점」,『한국불교사연구』 1
  • 2012,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와 호국불교 인식」, 『대각사상』 17
  • 2012, 「동아시아의 징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불교학보』 61
  • 2012, 「임진왜란 의승군 활동과 그 불교사적 의미」, 『보조사상』 37
  • 2011, 「만해의 불교인식과 조선적 전통의 단절과 연속」,『만해학연구』7
  • 2011, 「고려전기 유불의 대비를 통한 시대성의 탐색- 의천과 김부식을 중심으로」,『상월원각대조사탄신100주년기념 불학논총 1: 사상과 역사』, 원각불교사상연구원
  • 2011, 「조선전기 억불정책의 전개와 사원경제의 변화상」,『조선시대사학보』 58
  • 2011, 「근대 한일 불교의 정교분리 문제와 종교성 인식」,『불교학연구』29
  • 2011,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 모색과 정치적 세속화-대처식육 문제를 중심으로」,『불교연구』35
  • 2011, 「동아시아 근대 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역사학보』210
  • 2011, 「추사와 백파 논쟁에 대한 청송의 이해」,『청송의 선과 철학- 선사상과 서양철학의 회롱』 , 운주사
  • 2010, 「조선시대 천태교학의 이해와 그 불교사적 의미」,『천태학 연구』13
  • 2010, 「근대불교학의 수용과 불교 전통의 재인식」,『한국사상과 문화』 54
  • 2010, 「식민지 불교의 혁신론과 문명개화의 여정」,『동국사학』 48
  • 2010, 「조선후기·근대의 宗名과 宗祖 인식의 역사적 고찰 -曹溪宗과 太古法統의 결연」,『선문화연구』 8
  • 2010,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 강원의 역사」,『불교학연구』25
  • 2009, 「조선시대 불교의 유불공존 모색과 시대성의 추구」,『조선시대사학보』49
  • 2009, 「조선후기 불교의 心性 인식과 그 사상사적 의미」,『한국사상사학』32
  • 2009, 「근대불교학과 일본적 특수성」,『불교평론』 11-2
  • 2009, 「조선후기 화엄사의 역사와 부휴계 전통」,『지방사와 지방문화』 12-1
  • 2007, 「조선후기 大芚寺의 表忠祠 건립과 宗院 표명」,『보조사상』 27
  • 2006, 「錦溟 寶鼎의 浮休系 정통론과 曹溪宗 제창」,『한국문화』 37
  • 2006, 「浮休系의 계파인식과 普照遺風」,『보조사상』 25
  • 2003, 「笑菴觀復の華嚴思想硏究:『會解記』を中心として」,『韓國佛敎學SEMINAR』9
  • 2003, 「笑菴觀復の華嚴思想と祖統說」,『印度學佛敎學硏究』51-2
  • 2000, 「朝鮮中期 佛敎界의 변화와 西山系의 대두」,『한국사론』44
저/역서
  • 2020, 『토픽 한국불교사』, 여문책
  • 2020, 『조선 불교사상사 : 유교의 시대를 가로지른 불교적 사유의 지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20, 『테마 한국불교 10』,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20, 『테마 한국불교 9』,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20, 『조계고승전,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역)
  • 2020, 『테마 한국불교 8』,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9, 『해인사』,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공저)
  • 2019, 『테마 한국불교 7』,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9, 『쉽게 읽는 서울사 : 조선편 1-2』, 서울역사편찬원 (공저)
  • 2019, 『고려에서 조선으로 :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와 비평사 (공저)
  • 2018, 『테마 한국불교 6』,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7,『韓國佛敎史』, 東京: 春秋社
  • 2017, 『테마 한국불교 5』,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7, 『범어사』,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공저)
  • 2016, East Asian Buddhism and Modern Buddhist Studies, Dongguk University Press (공저)
  • 2016,『토픽 한국사 12』, 여문책
  • 2016,『회암사와 불교사』, 양주회암사박물관 (공저)
  • 2016, Exploration of Korean Buddhist Thoughts, Dongguk University Press (공편)
  • 2016,『테마 한국불교4』,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5,『테마 한국불교3』,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4,『서울 2천년사18: 조선시대 서울의 종교와 신앙』,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공저)
  • 2014,『테마 한국불교2』,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4,『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 Dongguk University Press
  • 2014, The State, Religion, and Thinkers in Korean Buddhism, Dongguk University Press (공저)
  • 2013,『한국불교사 연구 입문 상·하』, 지식산업사 (공저)
  • 2013,『테마 한국불교 1』,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3,『한국 근대 100년의 사회변동과 종교적 대응』, 한국학술정보 (공저)
  • 2012,『한국 호국불교의 재조명』,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공저)
  • 2010,『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 2011,『언더그라운드 슈퍼스타』, 동녘 (공저)
  • 2007,『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전통의 흐름』(국사편찬위원회 한국문화사 11), 두산동아 (공저)
  • 2004,『조계종사-고중세편』 , 조계종 교육원 (공저)
김천학

상세보기

성명 김천학
소속 및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 한문불전번역학과 부교수
전공 한국불교사상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신관 127호 / 02-6713-5194
이메일 godam@dongguk.edu
성 명 김천학
소속 /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 한문불전번역학과 부교수
전 공 한국불교사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신관 127호 / 02-6713-5194
이메일 주소 du_hyong11@dongguk.edu
학력
  • 2005 東京大 인도철학불교학과 문학박사
  • 199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과 박사
  • 199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과 석사
  • 1989 한국외국어대 태국어학과 학사
경력
  • 2014. 3 ~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한국불교융합학과 부교수
  • 2008. 3 ~ 2013. 8, 금강대학교 조교수
  • 2006. 4 ~ 2008. 2, 히메지 도쿄대학 조교수
학위논문
  • 2008,「일본화엄사상연구 : 헤이안시대 사기류를 중심으로」, 東京大 박사학위논문
  • 2002,「균여의 화엄일승의 연구 : 근기론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1999,「사명당의 인간상과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1, 「법장 『기신론소』의 간경도감본과 대정장본의 사상적 상위」 『불교학보』94
  • 2020, 「보살계본종요초」의 문헌적 의의와 신라 태현에 대한 인식 『신라문화』
  • 2020, Kegonshurikyōgi, East Asian Buddhhist Litreature Vol.1
  • 2019, 원효 판비량론의 발굴과 연구사 고찰 『불교학보』
  • 2019, 「화엄경문답에 법장의 영향은 보이는가? 『보조사상』
  • 2019, 「무아보심(無我報心)의 사상적 연원과 전개」 『남도문화연구』 제36집.
  • 2018, 「順高の『起信論本疏聴集記』における元暁引用の意義」『불교학연구』제57집.
  • 2018, 「『대승기신론의기』의 무애설 -『탐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제52집
  • 2018, 「원효와 종밀의 사상적 동이」『불교철학』제3호.
  • 2018, 「法藏과 宗密 『起信論疏』의 流傳과 思想的 相違」『보조사상』제51집
  • 2018, 「元曉『起信論別記·疏』의 전승 조사와 定本化 시도」『書誌學硏究』73.
  • 2018, 「원효 『기신론별기·소』의 전승조사와 정본화 시도」,『서지학연구』73
  • 2017, 「한국찬술불교문헌의 확장성에 대한 일고찰-태현의『보살계본종요』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70
  • 2017, 「쇼묘지 소장·가나자와문고 관리 『기신론별기』의 기초연구」, 『한국사상사학』 56
  • 2017, 「『華厳十玄義私記』引の 『三宝章』の意義-称名寺所蔵 『十玄章』の発見を契機に-」, 『불교학연구』53
  • 2017, 「『大乘起信論別記』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리뷰』22
  • 2016, 「설파상언의 징관 『화엄소초』 이해의 일고찰」, 『호남문화연구』 59
  • 2016, 「T85, No.2799 『十地論義疏』의 텍스트 문제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6
  • 2015, 「『법화경론자주』 사본의 유통과 사상」, 『동아시아불교문화』 24
  • 2015, 「원효 『광명각품소』의 해석상의 특징」, 『이화사학연구』 51
  • 2015, 「법융(法融) 화엄사상의 일고찰」,『동방학』33
  • 2015, 「일본의 근대화엄학 연구와 현대의 접점」,『일본불교문화연구』12
  • 2015, 「종밀에 미친 원효의 사상적 영향-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불교학보』70
  • 2015, 「의상의 『법계도』에 수용된 중국사상의 영향과 전개」,『한국사상사학』49
  • 2015, 「The Cult of the Hwaŏm Pure Land of the Koryŏ Periodas seen through Self-Power and Other-Power」,『Journal of Korean Religions』6-1
  • 2015, 「華厳学から見た通摂の実践」,『大正大学研究紀要』100
  • 2015, 「現代韓國佛敎硏究的方向性」,『佛光學報』 新一卷 第一期』
  • 2014, 「종밀의 『대승기신론소』와 원효」,『불교학보』69
  • 2014, 「신라불교에서의 혜원 수용 양상― 『대승의장』을 중심으로」,『불교학연구』40
  • 2014, 「원홍은 신라인승려인가?- 《법화경론자주》의 인용문헌을 중심으로」,『동아시아불교문화』17
  • 2013, 「화엄종소립오교십종대의약초」,『동양문화연구소소보』17
  • 2013, 「법상찬 십지론의소에 대해서」,『인도학불교학연구』61-2
  • 2013, 「일본고대화엄종에서의 기신론 및 기신론주석서 수용」,『대동철학』64
  • 2012, 「의상 후기사상의 실천론」,『한국선학』35
  • 2012, 「용녀성불에 대해서-천태종과 화엄종의 해석비교 」,『법화문화연구』38
  • 2012, 「의상학파의 화엄경사상과 실천」,『화엄연구』1
  • 2012, 「가나자와문고소장 원홍의 묘법연화경론자주에 대해서」,『인도학불교학연구』60-2
  • 2012, 「헤이안시대 화엄종에 보이는 신라불교의 역학」,『범한철학』70
  • 2012, 「고대한국불교와 남도육종의 전개」,『동방학』23
  • 2012, 「일본화엄에서의 화엄경문답 인용경향」,『한국선학』12
  • 2012,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불교학보』61
저/역서
  • 2021, 『간경도감본 법장『대승기신론소』교감본 연구』, 경북대 출판부(공저)
  • 2021, 『원효『판비량론』의 신역주』,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 2021, 『테마한국불교9』,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 2020, 『원효, 문헌과 사상의 신지평』, 동국대학교출판부(공저)
  • 2020, 『화엄사상의 연구』(민족사)
  • 2020, 『테마한국불교8』(동국대출판부)
  • 2020, 『身延山資料叢書』8, 身延山大學 國際日蓮學硏究所(공저)
  • 2018, 『불교의 역사』2(山川出版社)
  • 2017, 『일본불교사』(번역)(동국대출판부)
  • 2017, 『잊혀진 한국의 불교사상가』, 동국대출판부 (공저)
  • 2018, 『테마한국불교 6』 동국대학교 출판부 (공저)
  • 2017, 『돈황본 大乘起信論 연구』씨아이알 (공저)
  • 2017, 『테마한국불교 5』, 동국대출판부 (공저)
  • 2017, 일본불교사, 동국대출판부 (역서)
  • 2017, 잊혀진 한국의 불교사상가, 동국대출판부 (공저))
  • 2017, 지혜/세계/언어, 씨아이알 (공역)
  • 2016, 『테마한국불교4』,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6, 『화엄일승성불묘의』(역주)
  • 2015,『平安期華厳思想の研究ー東アジア華厳思想の視座よりー』 , 山喜房佛書林
  • 2013,『시리즈대승불교 4 지혜/세계/언어』 , 춘추사 (공저)
이자랑

상세보기

성명 이자랑
소속 및 직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한문불전번역학과 조교수
전공 계율 및 초기불교교단사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신관 109호 / 02-2278-0882
이메일 jaranglee@hanmail.net
성 명 이자랑
소속 / 직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전 공 계율 및 초기불교교단사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2278-0882
이메일 주소 jaranglee@hanmail.net
학력
  • 2001 일본 도쿄(東京)대학 인도문학·인도철학·불교학 박사
  • 1996 일본 도쿄(東京)대학 인도문학·인도철학·불교학 석사
  • 1993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석사
  • 1990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학사
경력
  • 2015 제30회 불이상 <연구분야>
  • 2012 선리연구원 학술상 (선학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2011-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2010-2011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2010 불교소장학자 불교학연구지원사업 (불교학연구지원사업회)
  • 2010 진각논문대상 (대한불교진각종)
  • 2007 불교학술진흥상 (한국불교학회)
  • 2005-2007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 2003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전임연구원
학위논문
  • 2001,「初期仏教教団の研究 -サンがの分裂と部派の成立-」, 일본 도쿄(東京)대학 박사학위 논문
  • 1996,「Samantapāsādikā Bāhiranidānaとパ-リ年代記の比較硏究」, 일본 도쿄(東京)대학 석사학위 논문
  • 1993, 「초기불교교단성립의 사회적 기반에 대한 고찰」, 동국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1, “The Formation of the Bhikṣu Ordination in 19th Century Chosŏn Korea: Focusing on the Ten Wholesome Precepts of the Monk Paekp’a, religions 12.
  • 2020, 「백파 긍선의 십선계 주장과 계율적 경향」, 『남도불교』 41.
  • 2020, 「원시불교와 초기불교의 명칭에 관한 논쟁 고찰 -일본불교학계의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96.
  • 2020, 「『마하승기율』의 오정법(五淨法)과 사대교(四大敎) 」, 『동아시아불교문화』 43.
  • 2020, 「불살생계의 실천 의의-대행의 계행과 관련하여-」, 『한마음연구』 4.
  • 2019, 「의상의 계율관」, 『한국사상사학』 61.
  • 2019,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의 제정 의도에 관한 고찰」, 『한국불교학』89.
  • 2018, 「단사인(斷事人) 제도와 승가 분쟁 해결의 원칙: 제2결집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0-1.
  • 2018, 「偸蘭遮(thullaccaya)について」, 『印度學佛敎學硏究』 66-2..
  • 2018, 「포살의 실행 목적에 관한 고찰」, 『한국불교학』 87.
  • 2017,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32
  • 2017, 「화합승의 의미와 실현 방법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52
  • 2017, 「결집과 불교의 정전(正典)화」, 『한국사상사학』 55
  • 2017, 「近現代の韓国仏教における戒律の役割 -慈雲盛祐の行跡を中心に」, 『佛光學報』 新三卷·第一期
  • 2017, 「朝鮮後期の戒律について」, 『印度學佛敎學硏究』 65-2
  • 2016,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에 보이는 4종 공양의 의미 분석」, 『불교학보』 75
  • 2016, 「중국불교에서 수계갈마의 변천 –육조시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49
  • 2016, 「초기불교승가의 운영원리와 지도자의 역할」, 『동아시아불교문화』 28.
  • 2016, 「불교명상에서 계율의 역할과 중요성」, 『동아시아불교문화』 25
  • 2016,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불교학보』 74
  • 2015, 「『사분율』에 나타난 美食 개념과 수행자의 음식 규정」, 『남아시아연구』 21-2
  • 2015, 「율장의 불탑 기술에 관한 일고찰」, 『불교연구』 43
  • 2015, 「『점찰선악업보경』의 好相과 自誓受戒」, 󰡔원효학연구』 20.
  • 2015,「백용성 율맥(律脈)의 성격 및 전개」, 『대각사상』 23.
  • 2015,「조계종단 戒壇의 역사 및 성격」, 『불교연구』 42.
  • 2014, “The Significance of the Four-Part Vinaya for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with Reference to the Chogye Order.” The Eastern Buddhist vol. 45 no. 1&2
  • 2014,「빨리율(Vinayapiṭaka) 「비구경분별(Bhikkhu-suttavibhaṅga)」 바라이품(4)」」, 『불교원전연구』 17.
  • 2014,「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효율적인 수행법 고찰-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68.
  • 2014,「빨리율에 보이는 3종의 승단관리자」, 『선문화연구』 16.
  • 2014,「테라와다 불교의 재가불자 신행도 –Upāsakajanālaṅkāra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39.
  • 2014,「세속오계의 '살생유택계'와 원광의 계율관」, 『한국사상사』 56.
  • 2013,「빨리율(Vinayapiṭaka)「비구경분별(Bhikkhu-suttavibhaṅga)」 바라이품(3)」, 『불교원전연구』 15.
  • 2013,「출가자의 식생활과 현대의 웰빙 –사찰음식의 보급과 관련하여-」, 『인도철학』 38.
  • 2013,「신라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 『동국사학』 54.
  • 2013,「율장의 근본이념에 입각한 조계종 청규제정의 방향 –제계십리(制戒十利)를 중심으로-」, 『대각사상』 19.
  • 2013,「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 『불교학보』 64.
  • 2012,「초기불교승가의 소유와 분배 –빨리율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33.
  • 2012,「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인도 아쇼까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32.
  • 2012,「「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ā)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선문화연구』 12.
  • 2011,「빨리율(Vinayapiṭaka) 「비구경분별(Bhikkhu-suttavibhaṅga)」 바라이품(1)」, 『불교원전연구』 14.
  • 2011,「淨法(kappa)의 발달을 통해 본 律의 역할」,『회당학보』16.
  • 2011,「율장「건도부」분석에 의한 승가의 지도자상 정립」,『印度哲學』32.
  • 2011,「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慈愛(mettā)를 통한 치유」, 『韓國禪學』28.
  • 2010,「율장에 근거한 조계종단 징계 제도의 개선 방향 –승려법·호계원법을 중심으로 -」,『불교학보』54.
  • 2009,「빨리율 Mahāvagga 제2장 포살건도 (1)」,『불교원전연구』12.
  • 2009,「빨리율에 나타난 수행자의 생활상」,『한국불교학』55.
  • 2008,「サンガの和合をめぐって-samānasaṃvāsakaとnānāsaṃvāsakaの檢討-」,『佛敎硏究』36.
  • 2008,「승가화합의 판단기준에 관하여」,『불교학 연구』20.
  • 2007,「nāsanaについて」,『印度學佛敎學硏究』55-2.
  • 2006,「율장을 통해 본 승단과 현대사회의 조화」,『한국불교학』45.
  • 2004,「승가 갈마의 유효성 결정 조건에 관한 고찰 -빨리율 부수 제19장을 중심으로-」,『가산학보』12.
  • 2004,「승단 화합과 화합 포살」,『불교학연구』8.
  • 2004,「惡見 주장자에 대한 불교승단의 입장(2) -別住行法을 중심으로-」,『大覺思想』7.
  • 2004,「사만따빠사디까의 서문과 빨리 연대기에서의 제3결집(3)」,『佛敎原典硏究』7.
  • 2003,「譯註 빨리율[건도부'쭐라왁가 Cullavagg'(1)」,『가산학보』11.
  • 2003,「사만따빠사디까의 서문과 빨리 연대기에서의 제3결집(2)」,『佛敎原典硏究』6.
  • 2003,「사만따빠사디까의 서문과 빨리 연대기에서의 제3결집(1)」,『佛敎原典硏究』5.
  • 2003,「초기 승가 공동체의 실상과 인류공동체적 의미」, 『가산학보』11.
  • 2003,「승단 추방에 관하여 -멸빈(nāsana)을 중심으로-」, 『印度哲學』13-1.
  • 2003,「악견주장자에 대한 불교승단의 입장(1) -惡見違諫戒와 不捨惡見거죄갈마를 중심으로-」,『大覺思想』6.
  • 2002,「인도불교교단사에 관한 일본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 –대승불교의 기원을 중심으로-」, 『佛敎學報』39.
  • 2002,「僧伽羯磨의 성립 조건에 관한 고찰-첨파건도를 중심으로-」,『불교학연구』 4.
  • 2002,「사만따빠사디까의 서문과 빨리 연대기에서의 제2결집」,『佛敎原典硏究』4.
  • 2002,「율장에 나타난'不同住(nānāsaṃvāsaka'에 관하여」,『印度哲學』11-2.
  • 2001,「사만따빠사디까의 서문과 빨리 연대기에서의 제1결집」,『佛敎原典硏究』2.
  • 2000,「コ-サンビ-犍度における二種の不同住地」,『韓國佛敎學SEMINAR』8.
  • 2000,「大天の『五事』主張の背景について」,『宗敎硏究』324.
  • 1998,「根本分裂에 관한 一考察」,『インド哲學佛敎學硏究』5.
  • 1997,「Samantapāsādikā Bāhiranidānaとパ-リ年代記の比較硏究 -Bnの源泉資料に關する一考察」,『印度學佛敎學硏究』45-2.
  • 1996,「Samantapāsādikā Bāhiranidānaとパ-リ年代記の比較硏究」, 『インド哲學佛敎學 硏究』4.
저/역서
  • 2021, 『불교교단사론』, 씨아이알(공역).
  • 2021, 『테마 한국불교 9』, 동국대학교출판부(공저).
  • 2020, 『테마 한국불교 8』, 동국대학교출판부(공저).
  • 2019, 『테마 한국불교 7』, 동국대학교출판부(공저).
  • 2018, 『테마한국불교 6』, 동국대출판부(공저).
  • 2018, 『열반경 연구 –대승경전의 연구 방법 시론』, 씨아이알(역서).
  • 2017,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定向)』, 동국대출판부.
  • 2017, 『테마한국불교 5』, 동국대출판부(공저).
  • 2017, 『계율에 방울달기』, 올리브그린(역서).
  • 2016, 『테마 한국불교4』,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6, 『上座佛敎事典』, 東京: めこん(공저).
  • 2016, 『대승불교의 탄생』, 씨아이알(역서).
  • 2016, 『도표로 읽는 불교입문』, 서울: 민족사 (공저)
  • 2015, 『테마 한국불교3』,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5, 『붓다와 39인의 제자』, 서울: 한걸음더 (저서)
  • 2014, 『테마 한국불교2』,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3, 『테마 한국불교1』,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1, 『シリ-ズ大乗仏教 3 大乗仏教の実践』, 東京: 春秋社 (공저)
  • 2011, 『계율과 불교윤리』, 조계종출판사 (공저)
  • 2010, 『新アジア仏教史 03 インドⅢ 仏典からみた仏教世界』東京: 佼成出版社 (공저)
  • 2009, 『나를 일깨우는 계율 이야기』, 불교시대사 (저서)
  • 2008, 『우리의 가장 위대한 유산 대승불교의 보살』, 씨아이알 (공저)
  • 2007, 『인도불교의 변천』, 동국대출판부 (역서)
  • 2005, 『승가화합과 한국불교의 미래』, 혜민기획 (공저)
수상경력
  • 2018 반야학술상 수상
  • 2015 불이상 수상
  • 2012 선리연구원 학술상 우수상 수상
  • 2010 불교소장학자 불교학연구지원사업 수상
  • 2010 진각논문대상 수상
  • 2007 한국불교학회 불교학술진흥상 수상
김호귀

상세보기

성명 김호귀
소속 및 직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전공 선학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1
이메일 kimhogui@hanmail.net
성 명 김호귀
소속 / 직위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 연구교수
전 공 선학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1
이메일 주소 kimhogui@hanmail.net
학력
  • 1998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사상 철학박사
  • 1992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사상 석사
  • 1988 동국대학교 선학과 학사
경력
  • 2007.9-2010.8 불교문화연구원 연구초빙교수
  • 2000.5-2005.2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1999.7-2000.4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학위논문
  • 1998, 「묵조선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 1992, 「대혜선사의 묵조선 비판에 관한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1. 6, 「운하영승의 『지장보살본원경윤관』의 구조와 특징 고찰」, 『정토학연구』 35
  • 2021. 6, 「『금강경』의 분과와 명칭 해석 고찰 –백용성 주석서와 비교하여-」, 󰡔대각사상』 35
  • 2021. 2, 「조선후기 선리논쟁의 양상과 성격의 고찰」, 『불교연구』 54
  • 2020. 12, 「우담홍기의 『선문증정록󰡕에 보이는 선리비판 고찰」, 󰡔선문화연구』 29
  • 2020. 9, 「『선원소류』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43
  • 2020. 9, 「『선문재정록』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성격 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85
  • 2020, 6 「石顚 朴漢永의 禪理 및 禪語에 대한 고찰」 『대각사상』 33
  • 2020, 3 「전등사서의 역사와 『직지』 편찬의 의의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41
  • 2019, 12 「용성진종의 「總論禪病章」에 나타난 십종병 고찰」『대각사상』 32
  • 2019, 9 「『寶鏡三昧本義』에 나타난 截流行策의 五位觀 고찰」 『범한철학』 94
  • 2019, 6 「스트레스 치유 기능성으로서 선수행의 성격 고찰」 『정토학연구』 31
  • 2019, 2 「조동오위의 전승에 대한 일연과 정눌의 대응 고찰」 『불교연구』 50
  • 2018, 9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불교학연구』 32
  • 2018, 「청화의 실상염불선과 묵조선 수행방식의 비교 고찰」, 대각사상 29
  • 2018, 3 「성준화상목우록에 나타난 성준성각의 선사상 고찰」 보조사상 50
  • 2017, 12 「무경자수의 선교관 및 그 주제에 대한 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
  • 2017, 12 「『단하자순송고』 및 『허당집』의 구조와 그 특징 고찰」, 선학 47
  • 2017, 6 「조선중기 선교관의 변천과 특징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30
  • 2017, 6 「백용성 『금강경』 이해와 공관」, 대각사상 27
  • 2017, 6 「선종에서 조사신앙의 유형과 그 특징」 정토학연구 27
  • 2016, 12.「『용성선사어록』「선문강화」의 선문답과 착어(著語)의 특징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8
  • 2016, 12.「용성과 봉암의 『금강경』 번역에 대한 비교 고찰」, 대각사상 26
  • 2016, 3.「『金剛經宗通』의 선사상과 그 수행법 고찰」, 『불교학보』 74
  • 2016, 3.「『담연원징선사어록』의 선관인식 및 종문인식 고찰」, 『불교학연구』 46
  • 2015, 12.「청허휴정의 선교관 및 수증관」, 『범한철학회』 79
  • 2015, 12. 「『금강경』과 선종에 나타난 부처의 개념 및 불신관」, 『한국불교학』 76
  • 2015, 12. 「백파긍선 『선문오종강요사기』의 위앙종 및 법안종의 교의 고찰」, 대각사상 24
  • 2015, 5. 「『정토혹문』의 정토왕생관 및 수행법 고찰」, 『한국불교학』 74.
  • 2015, 6.「『용성선사어록』의 구성 및 선사상사적 의의」, 『대각사상』 23.
  • 2014, 12.「무생법인(無生法忍)의 구조와 무생선(無生禪)의 실천」, 『한국선학』 39.
  • 2014, 8.「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불교학보』 68.
  • 2014, 6.「금강삼매경』과 무언 및 침묵의 선리 고찰」, 『대각사상』 21.
  • 2013, 「『삼국유사』의 설화를 통해 본 信義의 유형과 그 불교적 기능」, 『선문화연구』 제14집.
  • 2013, 「한국선에서 선교차별의 전개와 그 변용」, 『한국선학』 제36집.
  • 2013, 「백파긍선의 조동오위해석과 그 특징 고찰」, 『한국선학』 제35집.
  • 2013, 「묵조선의 수행과 기사구명의 실천방식」, 『종교교육연구』 제40집.
  • 2013, 「선종에서 불성의 원리와 그 평상심의 실천」, 『불교와 심리』 제6집.
  • 2013, 「한국선법의 수용과 그 변용」, 『대학원연구논집(중앙승가대학교)』 제6집.
  • 2012, 「『禪門五宗綱要私記』에 나타난 백파의 임제삼구에 대한 해석 고찰」, 『정토학연구』 제18집.
  • 2012, 「禪問答의 중도원리와 그 현성」, 『선문화연구』 제13집.
  • 2012, 「雲門三句의 전승에 대한 白坡亘璇의 해석 고찰」, 『한국선학』 제33호.
  • 2012,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불교학연구』 제32호.
  • 2012, 「『禪門五宗綱要私記』의 구성과 大機大用의 특징」, 『한국선학』 제32호.
  • 2012, 「신라 忠義 관념의 형성과 불교의 世俗五戒」, 『대각사상』 제17집.
  • 2012, 「『禪門五宗綱要私記』의 구성과 大機大用의 특징」, 『한국선학』 제32호.
  • 2012, 「『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에 나타난 백파긍선의 선사상의 특징」, 『한국선학』 제31호.
  • 2011, 12. 「禪錄을 통한 本來成佛 사상의 전승」『韓國禪學』 제30호.
  • 2011, 12. 「선어록에 나타난 깨침의 속성과 그 전승 고찰」『불교사상과 문화』 제3호.
  • 2011, 8. 「『修禪結社文』의 修禪作法과 修禪結社의 이념」『韓國禪學』 제29호.
  • 2011, 6. 「묵조선의 본질과 그 수행의 원리」『大覺思想』 제15집.
  • 2011, 4. 「『虛堂集』 古則의 구조 및 내용의 특징 고찰」『韓國禪學』 제28호.
  • 2011, 4. 「『금강삼매경론』의 선수행론 고찰」『佛敎學報』 제 58집.
  • 2011, 3. 「道元의 面授嗣法의 특징과 그 전개」『일본불교사연구』 제4호.
  • 2010, 8. 「선문답의 현대적 해석 방식」『韓國禪學』 제26호.
  • 2010, 6. 「『照銘』에 나타난 黙과 照의 개념」『禪文化硏究』 제8집.
  • 2010, 4. 「『修禪結社文』의 구성과 修禪作法」『韓國禪學』 제25호.
  • 2009, 12. 「『照禪의 깨침에 대한 구조와 그 내용」『淨土學硏究』 제12집.
  • 2009, 11. 「永平道元의『正法眼藏』의 이해를 위한 시론」『일본불교사연구』 창간호.
  • 2009, 8. 「『二種入』과『金剛三昧經』의 理入과 四行의 관계」『韓國禪學』 제23호.
  • 2009, 7. 「묵조선의 수행원리와 그 실천」『東洋哲學』 제31집.
  • 2009, 4. 「청허휴정의 오가법맥인식의 배경에 대한 고찰」『韓國禪學』 제22호.
  • 2009, 2. 「지엄의『금강반야바라밀경약소』의 분과 및 그 사상적 내용」『佛敎學報』 제51집.
  • 2008, 12. 「조사선의 수행과 신심의 관계」『淨土學硏究』 제11집.
  • 2008, 12. 「규기『금강경찬술』의 분과의 내용과 특징」『韓國禪學』 제21호.
저/역서
  • 2021, 『한국선리논쟁의 전개』, 중도 (번역)
  • 2020, 『공부하다 죽어라』, 시화음 (집주)
  • 2020, 『역주 유마힐소설경』, 중도 (번역)
  • 2020, 『조계고승전』, 동국대출판부 (번역)
  • 2020, 『테마불교 8』, 동국대출판부 (공저)
  • 2019, 『백용성의 금강경 강의』, 어의운하 (번역)
  • 2019, 『테마 한국불교7』,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9, 『금강삼매경론』, 동국대출판부 (번역)
  • 2018, 『유마경의소』, 중도 (번역)
  • 2018, 『반야심경주해』, 중도 (번역)
  • 2018, 『송대선종사연구』. 민족사 (번역)
  • 2018, 『테마 한국불교6』,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7, 『테마 한국불교5』,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7,『금강삼매경주해』. 중도 (번역)
  • 2017,『선어록으로 읽는 금강경』. 중도(번역)
  • 2016, 『백용성대종사총서』. 동국대출판부(공역)
  • 2016,『한암과 용성』. 쿠담북스 (공저)
  • 2016,『분노,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운주사 (공저)
  • 2015,『정토흑문』. 하얀연꽃 (공저)
  • 2015,『선리연구』. 하얀연꽃 (공저)
  • 2016,『테마 한국불교4』.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5,『테마 한국불교3』.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4,『깨달음 궁극인가 과정인가』. 운주사 (공저)
  • 2014,『선의 어록』. 민족사 (저서)
  • 2014,『통록촬요』. 하얀연꽃 (역서)
  • 2014,『테마 한국불교2』.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4,『한국불교사료-중국편』.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역)
  • 2013,『선과 선리』. 하얀연꽃
  • 2013,『테마 한국불교1』.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 2012,『선문답의 비밀』. 한국학술정보. (저서)
  • 2012,『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정우서적. (역서)
  • 2012,『묵조선』. 도피안사. (저서)
  • 2012,『달마어록』, 정우서적 (역서)
  • 2012,『修禪結社文』, 백파사상연구소 (역서)
  • 2012.『수선결사문』백파사상연구소 (역서)
  • 2011.『금강경을 만나디』 한국학술정보(주) (저서)
  • 2011.『금강경과해』한국학술정보(주) (저서)
  • 2010.『인물한국선종사』 한국학술정보(주) (저서)
  • 2010.『선과 교의 통로』(都序) 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10.『금강경약소』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10.『선수행의 길』(禪要) 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10.『육조대사법보단경』 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10.『금강삼매경론』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10.『금강선론』한국학술정보(주) (역서)
  • 2009.『선가귀감·선문오종강요』석란출판사 (역서)
  • 2008.『선문답 강화』석란출판사 (저서)
  • 2008.『화두와 좌선』살림(주) (저서)
  • 2008.『선과 수행』석란출판사 (저서)
  • 2007.『조동선요』석란출판사 (저서)
  • 2007.『금강경주해』석란출판사 (역서)
  • 2007.『금강경찬술』석란출판사 (역서)
  • 2006.『묵조선의 이론과 실제』동국대출판부 (저서)
  • 2006.『묵조선 입문』석란출판사 (저서)
  • 2005.『선문답의 세계』석란출판사 (저서)
  • 2005.『금강반야경소』석란출판사 (역서)
  • 2005.『열반경종요』석란출판사 (역서)
  • 2004.『게송으로 풀이한 금강경』 석란출판사 (역서)
  • 2004.『선과 좌선』석란출판사 (저서)
  • 2002.『묵조선연구』민족사 (저서)
  • 1994.『현대와 선』불교시대사 (역서)
김지연

상세보기

성명 김지연
소속 및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전공 동아시아불교(기신론)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1
이메일 dodododo8209@gmail.com
성 명 김지연
소속 / 직위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전 공 동아시아불교(기신론)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1
이메일 주소 dodododo8209@gmail.com
학력
  • 2014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
  • 2008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석사
  • 2005 동국대힉교 불교학과 학사
경력
  • 2019-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2017-2019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2015-2017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2010-2011 동국대학교 금강대 불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학위논문
  • 2014, 「『釋摩訶衍論』의 註釋的 硏究-『海東疏』와 『賢首義記』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 12008, 「‘일심(一心)’과 ‘자기(Selbst)’의 비교 연구-『大乘起信論󰡕과 分析心理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1, 「중국에서 법장『기신론소』의 유통에 대해서」, 『불교학보』 94
  • 2020,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riminating Consciousness and the True Consciousness in the Silla Commentaries on the Dasheng qixin lun”, Journal of Korea Religion11
  • 2020, 「『釈摩訶衍論』に見える第九識と第十識の解釈:『釈論』註釈書の理解を中心に」, 『印度學佛教學研究』68(2)
  • 2020, 「『釋摩訶衍論』における摩訶衍論と大乘-何故「釋摩訶衍論」なのか-」, 『智山学報』69
  • 2019, 「그들은 동일한 텍스트를 보았는가?-『석마하연론』 텍스트 교감과 계통」, 『불교학보』 88
  • 2019, 「『석마하연론』의 식에 대한 독창적인 관점」, 『불교학연구』 58
  • 2017, 「북미불교에서 보조 지눌에 대한 인식과 이해」, 『보조사상』 49
  • 2017, 「『석마하연론』의 독창적 무명이해와 그 모순성」, 『불교학보』 80
  • 2017, 「『석마하연론』에서 명과 무명을 밝히는 다섯 가지 문답」, 『불교학연구』 51
  • 2016,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불교학연구』 49
  • 2016, 「An Interpretation of 'the Initial Mark'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the Shimoheyan lun」, 『불교학연구』 46
  • 2015, 「인용경전에 근거한 『석마하연론』의 저술시기 고찰」, 『불교학연구』 45
  • 2013, 「大乘起信論의 智淨相에 대한 釋摩訶衍論의 해석 고찰」, 『한국불교학』 66
저/역서
  • 2021, 『간경도감본 법장『대승기신론소』교감본 연구』, 경북대 출판부(공저)
  • 2021,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사상적 지평』,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 2021, 『테마 한국불교9』,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 2020, 『테마 한국불교 8』, 동국대학교출판부 (공저)
옥나영

상세보기

성명 옥나영
소속 및 직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전공 한국불교사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2
이메일 282ny@hanmail.net
성 명 옥나영
소속 / 직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전 공 한국불교사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2
이메일 주소 282ny@hanmail.net
학력
  • 2017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문학박사
  • 2005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사학과 문학석사
  • 2003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부 한국사 전공 문학사
경력
  •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2019-2020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학위논문
  • 2017, 「新羅時代 密敎經典의 流通과 그 影響」,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灌頂經』과 7세기 신라 밀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12, 「불가사의(不可思議)의 『대비로차나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供養次第法疏)』 찬술 배경과 의의」, 『한국사상사학』 40
  • 2013, 「『不空羂索陀羅尼經』의 신라 전래와 그 의미」, 『사학연구』 111
  • 2016, 「紫雲寺 木造阿彌陀佛坐像의 腹藏 「如意寶印大隨求陀羅尼梵字軍陀羅相」의 제작 배경」, 『이화사학연구』 53
  • 2018, 「고려시대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신앙과 석당(石幢) 조성의 의미」, 『한국사상사학』 60
  • 2019, 「신라 시대 ‘香’과 그 문화-香의 용례 검토를 통하여」, 『숭실사학』 42
  • 2020,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의 일본 전래와 계승의 의미-『大日經供養次第法疏私記』를 중심으로」, 『불교연구』 52
  • 2020, 「五大眞言 千手陀羅尼 신앙의 배경과 42手 圖像」, 『규장각』 56
  • 2020, 「고대~고려시대 佛頂尊勝陀羅尼 신앙 경향과 성격」, 『신라문화』 57
  • 2021, 「밀교 승려 혜초의 사상과 신라 밀교 -『천발경』 서문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67
김제란

상세보기

성명 김제란
소속 및 직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전공 동아시아불교
연구실/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2
이메일 redhairran@hanmail.net
성 명 김제란
소속 / 직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전 공 동아시아불교
연구실 / 전화 동국대학교 충무로 영상센터 본관 316호 / 02-6713-5172
이메일 주소 redhairran@hanmail.net
학력
  • 2000 고려대학교 철학과 문학박사
  • 1991 고려대학교 철학과 문학석사
  • 1989 고려대학교 철학과 문학사
경력
  •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2018-2020 대한불교조계종 불학연구소 전문연구원
  • 2018-201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
  • 2012-2014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 2005-2011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 2002-2005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 2001-2002 동국대학교 BK21 불교문화사상연구단 Post-Doc 연구원
학위논문
  • 2000, 「熊十力 哲學思想 硏究- 동서문화의 충돌과 중국 전통철학의 대응-」,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1, 「墨家學派의 內的 전환에 관한 연구- 전기 묵가에서 후기 묵가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학술논문
  • 2021, 「웅십력(熊十力)의 부파불교 극미론에 대한 인식과 비판」, 『문화와 융합』
  • 2021,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2021,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베르그송 철학의 영향」, 『한국불교학』
  • 2020, 「근대 중국불교의 신(新)유식사상의 등장과 논쟁 재고」, 『한국불교학』 제97집
  • 2018, 「당군의 철학에 나타난 동서융합의 논리- 유학, 헤겔철학과 화엄불교의 융합」, 『한국사상과 문화』 92집
  • 2015, 「모종삼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 『동양철학연구』 83집
  • 2011, 「중국 혁명시기 모택동 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모택동의 불교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9집
  • 2011, 「대만 근대불교의 형성과 정체성 모색- 仁順의 ‘인간 불교’ 개념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61집
  • 2010, 「서양 자본주의의 침투에 대한 중국 근대불교의 대응- 梁啓超 사상을 중심으로-」, 2010, 『한국사상과 문화』 54집
  • 2010,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시대와 철학』 21집
  • 2010, 「일본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두 시각-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 『한국선학』 25집
  • 2009, 「중국 근현대 불교와 유학의 논쟁- 仁順과 熊十力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선학』 23집
  • 2009, 「양계초 사상에 나타난 서학 수용의 일단면- 유식 불교를 통한 칸트의 재해석-」, 『한국사상과 문화』 46집
  • 2009, 「중국 현대신유학 형성에 『대승기신론』 논쟁이 미친 영향- ‘一心開二門’과 ‘體用不二’의 관계-」, 『불교학보』 51집
  • 2008, 「중국 근대불교의 서학(西學)의 흡수와 비판- Timoth Richard 의 『대승기신론󰡕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51집
  • 2008, 「중국 근대 사회진화론 수용에 대한 불교적 비판- 장태염의 ‘구분진화론’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49집
  • 2007, 「동·서학의 매개로서의 유식학의 유행- 유식학과 베르그송 철학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47집
  • 2007, 「중국 근대 혁명 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시대와 철학』 18집
  • 2007, 「현대신유학 형성에 불교가 미친 영향(2)- 장태염 <제물론석>을 중심으로-」, 2『동양철학연구』 18집
  • 2006, 「중국 철학에서의 ‘체용’ 개념의 변천 과정- 체용의 불교적 이해와 유학적 이해」, 『시대와 철학』 17집
  • 2006, 「중국 근대 신불교 운동과 『대승기신론』 논쟁」, 『불교학보』 45집
  • 2005, 「현대신유학 형성에 불교가 미친 영향(1)- 담사동 <인학>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44집
  • 2005, 「唯識 佛敎의 세 유형- 無相唯識과 有相唯識, 그리고 新唯識論」
  • 2005, 「명대 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2)」, 『한국불교학』 41집
  • 2005, 「웅십력 범주론의 한국유학에 대한 적용 가능성 모색」, 『시대와 철학』 16집
  • 2005, 「웅십력 신심학: 불교에서 심학으로의 전환」, 『양명학』 14집
  • 2005, 「중국의 근대화와 불교」, 『불교평론』 7권
  • 2005, 「명대 心學에 미친 불교의 영향(1)」, 『한국불교학』 39집
  • 2004, 「성리학 형성 과정에 나타난 禪 불교의 영향: 도남학과 호상학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37집
  • 2003, 「웅십력의 불교 비판과 수용의 논리」, 『불교학보』 40집
  • 2003, 「송대 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동양철학』 19집
  • 2001, 「태허와 구양경무의 논쟁을 통해본 중국 불교의 성격」, 『한국불교학』 30집
  • 2001, 「유식 불교에 근거한 웅십력의 신유학 사상」, 『한국불교학』 29집
  • 2000, 「웅십력의 서양 철학에 대한 비판과 수용」, 『동양철학』 13집
  • 2000, 「동양적 가부장제의 이론적 근거로서의 음양 사상」, 2000, 『중국철학』 7집
저/역서
  • 「쉽게 읽히는 동양철학 이야기」, 한국학술정보, 2021
  • 「신유식론」(상·하),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089, 090, 소명출판, 2007
  • 「심체와 성체」(1-7권),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소명출판, 2012.(공역)
  • 「중국의 과학과 문명-사상편」, 까치출판사, 1998
  • 「현대신유학」, 동녘 출판사, 1994 (공역)
  • 「강좌 중국철학」, 예문지, 1993 (공역)
  • 「내가 읽은 옛 편지」, 한국고간찰연구회 편저, 도서출판다운샘, 2019. (공저)
  • 「근대 동아시아의 불교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 (공저)
  • 「아시아 불교, 서구의 수용과 대응」,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공저)
  • 「동아시아 불교, 근대와의 만남」,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공저)
  • 「한 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삼성출판사, 2007.
  • 「함께 읽는 동양철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6.
  • 「역사 속의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9. (공저)
  • 「논쟁으로 보는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7. (공저)
  • 「현대신유학연구」, 동녘출판사, 1994.(공저)


참여교수

참여구분 성명 소속 전공
연구책임자 김종욱 불교학과 동서비교철학
일반연구원 고영섭 불교학과 한국불교사
박인성 불교학과 대승불교
우제선 불교학과 초기불교, 아비달마
김호성 인도철학과 인도불교, 한국불교
황순일 인도철학과 인도초기부파불교
최연식 사학과 한국불교사
박영환 중어중문학과 중국어문학
김기종 전북대 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