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글대장경 소개 Buddhist Sutras introduction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제작된 한글 대장경에 대하여

한글대장경 소개

  • 한글대장경이란?
  • 한글대장경 역경사
  • 전산화불사

home 한글대장경 소개 한글대장경 역경사

한글대장경 역경사

조선시대 세종(25년, 1443년)이 한글을 창제한 뒤 많은 불경이 한글로 번역되기 시작.
《석보상절》 반포 1447년(세종 29년)
1461년(세조 7) 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 불경언해사업 진행.
한문 원문에 구결(口訣)을 달고 언해문을 배열하는《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반포
.1471년(성종 2) 간경도감이 해체될 때까지 《법화경언해(法華經諺解)》 등 많은 불경언해서가 간행.
일제강점기 때 불경의 한글 번역 사업은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불교계 대표로 한용운과 함께 참여하였던 백용성 선생에 의해 시작. 뜻을 같이하는 지인들과 삼장역회라는 번역 단체를 만들어 역경사업을 시작하여『금강경』『화엄경』 등 많은 경전을 번역
1961년 5월, ‘법보원’ 설립
대한불교 조계종단에서 종단 3대 사업(포교, 도제 양성, 역경)의 하나로
역경 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의하고 ‘역경위원회법’을 제정함.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장과 동국대학교 총장의 합의로 동국 대학교 내에 ‘동국역경원’을 부설키로 함.
동국역경원 개원
  - 3월 1일 동국역경원 발족, 초대 원장에 이운허 큰스님 취임
  - 7월 21일 동국대학교 내 대학선원에서 정식으로 개원식 거행

한글대장경 장아함경 출간
  - 6월 30일 첫 번째 한글대장경 제1집 장아함경 2천 부 출간
  - 1966년~1973년 국고보조로 한글대장경 총 67책 발행

역경위원회 구성
  - 초기 역경위원으로는 운허 스님을 비롯해 탄허 스님, 법정 스님, 김달진, 조지훈, 서정주,
     우정상, 홍정식, 이종익 등 당대의 학승과 기라성 같은 학자와 문인들이 대거 참여

봉은사에 역장(譯場) 설치
  - 1972년 강남 봉은사에 역장을 두어 역경사를 양성
  - 1966년~1973년 국고보조로 한글대장경 총 67책 발행
한글대장경 제100집 간행
  - 장정을 바꾸어 신판 한글대장경을 발간하기 시작
한글대장경 완간
  - 9월 5일 한글대장경 완간 회향법회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거행
  - 제방의 고덕 스님들과 신도 1만여 명 그리고 각계 고위층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한글대장경 총 318권 완간 회향법회를 봉행

한글대장경 개역 전산화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