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
대장경은 불교 경전의 총서를 말하는 것으로 일체경(一切經)ㆍ삼장경(三藏經) 또는 장경(藏經) 등으로 약칭한다.
경(經)은 본래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부처님이 터득한 경지, 또는 부처가 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설명한다.
경전은 본래 ‘수트라(sūtra)’를 번역한 말이다. 가장 좁은 의미로는 부처님의 설법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는 모든 불교의 가르침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대장경이란 경(經)ㆍ율(律)ㆍ논(論) 삼장뿐 아니라 고승들의 저술 등 불교연구에 관한 기록을 모아 만든 일종의 총서를 말한다.
부처님 입멸 후 결집된 최초의 경전은 고대 인도 언어인 범어(산스크리트어)로 편찬되었다. 그러나 4차에 걸쳐 결집된 범어 경전은
논장의 주석만 남았을 뿐 원전을 알 수 없다. 현존하는 대장경은 크게 팔리어 경전, 티베트대장경, 한역대장경으로 나눈다.
경(經)은 본래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부처님이 터득한 경지, 또는 부처가 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설명한다.
경전은 본래 ‘수트라(sūtra)’를 번역한 말이다. 가장 좁은 의미로는 부처님의 설법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는 모든 불교의 가르침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대장경이란 경(經)ㆍ율(律)ㆍ논(論) 삼장뿐 아니라 고승들의 저술 등 불교연구에 관한 기록을 모아 만든 일종의 총서를 말한다.
부처님 입멸 후 결집된 최초의 경전은 고대 인도 언어인 범어(산스크리트어)로 편찬되었다. 그러나 4차에 걸쳐 결집된 범어 경전은
논장의 주석만 남았을 뿐 원전을 알 수 없다. 현존하는 대장경은 크게 팔리어 경전, 티베트대장경, 한역대장경으로 나눈다.
- 패엽경
팔리어 삼장은 스리랑카 및 동남아시아 각국에서 근본성전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팔리어 삼장은 한역이나 티베트어역의 10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분량이지만 삼장을 가장 오래된 형태로 보존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법구경』이나 『숫타니파타』, 『자타카』 등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티베트대장경은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면서 많은 경전이 티베트로 옮겨졌고, 특히 인도 후기불교의 문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7세기 무렵 티베트 왕이 인도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기 위해 파견했던 학자들이 귀국하여
티베트 고유의 문자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인도문자를 모방하여 티베트 문자를 만들고, 또 문법을 제정한 뒤에 역경을 시작했다.
그러므로 인도 범어로 된 원전을 매우 충실하게 따르고 있으며, 경전의 규모도 한역대장경과 거의 비슷하다.
한역대장경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것으로서 고려대장경도 여기에 포함된다.
고려대장경과 거의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중국의 대장경은 10세기 후반 송나라 때 모든 경전을 망라하여 만들어낸 것이
그 시초이다.
본래 중국의 역경사업은 1세기부터 시작되어 천여 년 동안 꾸준히 이루어졌는데
이후로도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대장경이 만들어졌다.
팔리어 삼장은 한역이나 티베트어역의 10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분량이지만 삼장을 가장 오래된 형태로 보존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법구경』이나 『숫타니파타』, 『자타카』 등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티베트대장경은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면서 많은 경전이 티베트로 옮겨졌고, 특히 인도 후기불교의 문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7세기 무렵 티베트 왕이 인도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기 위해 파견했던 학자들이 귀국하여
티베트 고유의 문자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인도문자를 모방하여 티베트 문자를 만들고, 또 문법을 제정한 뒤에 역경을 시작했다.
그러므로 인도 범어로 된 원전을 매우 충실하게 따르고 있으며, 경전의 규모도 한역대장경과 거의 비슷하다.
한역대장경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것으로서 고려대장경도 여기에 포함된다.
고려대장경과 거의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중국의 대장경은 10세기 후반 송나라 때 모든 경전을 망라하여 만들어낸 것이
그 시초이다.
본래 중국의 역경사업은 1세기부터 시작되어 천여 년 동안 꾸준히 이루어졌는데
이후로도 중국, 우리나라, 일본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대장경이 만들어졌다.
한역대장경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은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경전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인도와 서역의 여러 지방에서 전래된 삼장(三藏)을 비롯하여 대승과 소승의 삼장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분량이 가장 많다.
중국ㆍ한국 등에서 만들어진 경전 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B.C 65년 이며, 중국에서의 역경(譯經)은 2세기 후한(後漢)시대부터 시작하여 송(宋)나라 때까지
약 1000여 년 동안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중국 불교 특유의 분류법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새롭게 집성한 불전 전체를
‘대장경(大藏經)’ 혹은 ‘일체경(一切經)’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역(漢譯) 경전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최초의 대장경은 송나라 태조(太祖)의 칙명으로 971년에 판각을 시작하여
983년에 13만 매의 판목으로 완성된 북송판대장경(北宋版大藏經)이다.
이 대장경은 송본(宋本), 또는 성도의 옛 이름을 따서 촉판대장경(蜀版大藏經),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
관판대장경(官版大藏經) 이라고도 하며, 『개원석교록』의 목록에 따라 간행한 것이다.
그 후에 금장(金藏), 원장(元藏), 명장(明藏), 청장(淸藏) 등 중국에서 활발한 대장경의 편찬이 이루어 졌다.
중국 밖에서는 거란대장경[契丹大藏經]과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등도 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대장경 간행은 한국보다 훨씬 늦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의 것으로 유명한 황벽판(黃檗板)은
중국 명나라의 대장경에 기초한 것이었다.
현존하는 한역대장경 중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고려대장경이다.
고려대장경은 당시까지의 한역 대장경을 총괄하여 집성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근대에 활자본으로 출판한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은 이 고려대장경을 저본으로 삼아 편찬된 것이다.
인도와 서역의 여러 지방에서 전래된 삼장(三藏)을 비롯하여 대승과 소승의 삼장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분량이 가장 많다.
중국ㆍ한국 등에서 만들어진 경전 까지도 모두 포함된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B.C 65년 이며, 중국에서의 역경(譯經)은 2세기 후한(後漢)시대부터 시작하여 송(宋)나라 때까지
약 1000여 년 동안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중국 불교 특유의 분류법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새롭게 집성한 불전 전체를
‘대장경(大藏經)’ 혹은 ‘일체경(一切經)’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역(漢譯) 경전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최초의 대장경은 송나라 태조(太祖)의 칙명으로 971년에 판각을 시작하여
983년에 13만 매의 판목으로 완성된 북송판대장경(北宋版大藏經)이다.
이 대장경은 송본(宋本), 또는 성도의 옛 이름을 따서 촉판대장경(蜀版大藏經), 개보칙판대장경(開寶勅版大藏經),
관판대장경(官版大藏經) 이라고도 하며, 『개원석교록』의 목록에 따라 간행한 것이다.
그 후에 금장(金藏), 원장(元藏), 명장(明藏), 청장(淸藏) 등 중국에서 활발한 대장경의 편찬이 이루어 졌다.
중국 밖에서는 거란대장경[契丹大藏經]과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등도 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대장경 간행은 한국보다 훨씬 늦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의 것으로 유명한 황벽판(黃檗板)은
중국 명나라의 대장경에 기초한 것이었다.
현존하는 한역대장경 중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고려대장경이다.
고려대장경은 당시까지의 한역 대장경을 총괄하여 집성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근대에 활자본으로 출판한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은 이 고려대장경을 저본으로 삼아 편찬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