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_IT_K0893_T_001
-
022_0596_a_01L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제1권 - 022_0596_a_01L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卷第一
-
의정(義淨) 한역 - 022_0596_a_02L三藏法師義淨奉 制譯
-
이 잡사(雜事) 40권 중에는 모두 8문이 있는데, 대문(大門) 1송(頌)으로 그 큰 강령의 뜻을 거두었고 낱낱의 문(門)에는 각각 별문(別門)인 총섭송(總攝頌)이 있으니 이에 여덟 게송이 있으며, 별문 중에 나아가서 각각 10송씩 있으니 도합 89송이다. 그리고 또 내섭송(內攝頌)까지 합하면 약 천 줄이 있는 셈이니 만약 독송하여 지닌다면 그 뜻을 모두 알게 될 것이다. - 022_0596_a_03L此雜事四十卷中,摠有八門,以大門一頌,攝盡宏綱。一一門中各有別門,摠攝乃有八頌。就別門中各有十頌,合八十九頌,幷內攝頌向有千行。若能讀誦憶持者,卽可摠閑其義。
-
대문총섭송(大門總攝頌) - 022_0596_a_08L大門摠攝,頌曰:
-
벽돌과 및 소털처럼 깎음[牛毛]과
3의(衣)와 상좌(上座)와
사리자(舍利子)와 맹수(猛獸)의 힘줄과
급다비구니와 탑을 제거한 것이다 -
022_0596_a_09L甎石及牛毛,
三衣幷上座,
舍利猛獸筋,
笈多尼除塔。
-
별문총섭송(別門總攝頌) - 022_0596_a_11L別門第一摠攝,頌曰:
-
벽돌로 문지름과 손톱을 깎음과 발우와
거울과 남근[生支]과 옷을 밟음과
물걸이[水羅]와 날 것[生]과 팥알[豆珠]과
발을 씻음과 하의[下裙]를 묶으라는 것이다. -
022_0596_a_12L甎揩翦爪鉢,
鏡生支蹈衣,
水羅生豆珠,
洗足裙應結。
-
제1문 자섭송(第一門 子攝頌)① - 022_0596_a_14L第一門第一子攝,頌曰:
-
벽돌과 돌로 문지름과 백토와
우황과 향이 눈을 밝게 함과
기둥을 치는 것과 모든 선(線)과
영락과 도장에 대한 것이다. -
022_0596_a_15L甎揩石白土,
牛黃香益眼,
打柱等諸線,
瓔珞印應知。
-
그때 부처님께서 광엄성(廣嚴城)1) 미후지(獼猴池) 곁에 있는 높은 전각 안에 계셨다. - 022_0596_a_17L爾時,薄伽梵在廣嚴城獼猴池側高閣堂中。
-
022_0596_b_01L마침 여섯 사람의 비구들이 아침에 의발(衣鉢)을 지니고 광엄성에 들어가서 차례로 걸식하고자 하였다.
이 성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율고비자(栗姑毘子)라는 동산이 있는데, 그곳은 맑고 조용하며 꽃과 과일이 무성하고 흐르는 샘이 여기저기 있으며 좋은 새들이 평화롭게 노래하니, 마치 제석천의 환희원(歡喜園)과 같았다. 그 안에는 온갖 피로를 풀어 주는 도구가 있고 또 기이하고 절묘한 악기 등이 있으며 아울러 훈향(薰香)과 목욕하는 것과 여러 가지 물건들이 있었다. - 022_0596_a_19L時,六衆苾芻於日初分,執持衣鉢,欲入廣嚴城次第乞食。去城不遠,有栗㚲毘子園,其處淸閑花果茂盛,流泉交帶好鳥和鳴,如天帝釋歡喜園內。中有種種解勞之具,復有奇絕音樂器等,幷有薰香澡浴雜物。
-
이때 여섯 비구가 서로 말하였다.
“난타여, 우파난타여. 요즈음 듣건대 이 동산이 참 좋아서 세존께서도 항상 삼십삼천과 같다고 칭찬하신다 하니, 우리도 얼마나 좋은가 시험 삼아서 보기로 하자.”
여섯 비구는 의논하고서 함께 동산 안으로 들어갔다. 다시 보니, 갖가지 길고 짧은 나무공이와 굵고 가는 방망이와 크고 작은 돌멩이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모두 가지고 노는 기구여서 몸을 운동시키고 결린 것을 풀고 아픈 것을 낫게 하며 능히 음식을 소화시키는 것이었다. - 022_0596_b_02L是時,六衆共相謂曰:“難陁、鄔波難陁!比聞此園可愛,世尊常讚如三十三天,我等試觀有何形勝?”六衆議已共入園中,便見種種長短木杵,麤細諸椎及大小石,此等皆擬擎持戲弄,令身運動散滯蠲痾能銷飮食。
- 또 보니 기이하고 절묘한 공후(箜篌)와 거문고와 슬(瑟)과 여러 가지 북 따위 악기가 있었다. 또 훈향과 목욕하는 데 쓰이는 물건인 뜨는 벽돌[浮甎]과 조두(澡豆)와 향기로운 여감(餘甘)여감은 광주(廣州)에서 나는 것으로 머리를 씻는 데 쓰이며 서방의 이름은 암마락가(菴摩洛迦) 과일이다.이 있었다. 이것으로 몸에 문지르고 머리를 감으면 능히 흰머리를 다시 검게 할 수 있는 것이었다.
- 022_0596_b_08L又見奇絕箜篌琴瑟諸鼓音樂之具。復有薰香洗浴之物,浮甎澡豆芬馥餘甘餘甘子出廣州,堪沐髮。西方名菴摩洛迦果也持用揩身幷將塗髮,能令髮白更黑。
-
여섯 비구들이 보고는 서로 말하였다.
“이 모든 오락 기구들은 족히 근심을 풀 만한 것들이다. 우리가 이제 실컷 놀아야 할 터인데 노래하고, 춤추고, 미역 감고 하는 것을 무엇부터 먼저 할 것인가.”
한 사람이 말하였다.
“우리가 오래 목욕을 못하였으니 먼저 씻는 것이 좋겠다.”
이렇게 상의하고는 함께 못에 들어가서 곧 뜨는 벽돌을 가지고 몸을 문질렀다.
이 여섯 비구들은 모두 기묘한 재주가 많아서 모든 기예에 모르는 것이 없었다. 만약 목욕을 할 때 돌로 문지르면 갖가지 오악(五樂)의 음성이 나오는데, 마치 저 연기(演技)하는 사람이 악기를 불고 타고 치고 하는 것 같았다. - 022_0596_b_12L六衆見已共相謂曰:“此諸樂具足暢憂情,我等今於用力勞宣,歌舞洗浴先作何事?”一人告曰:“我等多時不爲澡浴,宜可先洗。”作是議已俱共入池,卽取浮甎用揩身體。此六苾芻竝多奇巧,所有技藝無不善知,若洗浴時以甎揩體,便出種種五樂音聲,如彼技人吹彈擊拊。
-
022_0596_c_01L그때 여러 사람들이 이곳을 지나가다가 그것을 주악(奏樂)하는 것으로 의심하고 귀를 기울여 듣다가 각기 서로 말하였다.
“율고비원에 성대한 가무가 벌어졌으니 우리들도 잠깐 가 보자.”
여럿이 모두 그렇게 하자 하고, 다투어 동산 안으로 갔다. 여러 사람들이 들어갈 때, 마침 여섯 비구는 그곳에서 나오고 있었다. 그 사람들이 물었다.
“성자여,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너희 어리석은 사람은 귀는 있어서 소리는 들어도 마음은 어두워 좋고 나쁜 것을 모르는구나. 어찌 음악하는 사람이 그렇게 기묘한 음성을 낼 수 있겠느냐.”
“성자여, 그러면 아까 그 소리는 누가 낸 것입니까?”
“현자[賢首]여, 그대가 들은 것은 우리들이 목욕할 때 벽돌로 몸을 문지르자 그 음악이 난 것이다.”
“성자여, 당신들은 사문인데도 오욕으로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것이 있는가?”
“어리석은 자여, 우리는 다른 사람을 괴롭히지 않고 스스로 욕락(欲樂)을 받으면서, 도 닦는 것을 폐함이 없는데 무엇이 잘못인가. 너희가 어찌 우리 스승이라고 그런 부끄럼을 주겠는가. 잠자코 있어라. 재앙을 스스로 부르지 말라.”
저들이 듣고 겁이 나서 입을 다물고 갔으나, 광엄성 네거리에 들어가서는 각기 떠들면서 서로 비난하였다. - 022_0596_b_19L時,有衆人從此而過,疑其奏樂側耳俱聽,各相謂曰:“栗㚲毘園盛陳歌舞,我等宜可蹔往觀瞻。”衆皆言:“爾。”卽便相與競入園中。衆人入時六衆便出,問言:“聖者!作音樂人今在何處?”答曰:“汝等愚人,有耳聽聲心迷好惡,豈有樂人能作如是奇妙音聲?”問言:“聖者!向所聞聲,是誰所作?”答言:“賢首!汝所聞者,卽是我等洗浴之時,以甎揩身出斯音曲。”答言:“聖者!仁等沙門,亦有五欲惱身心耶?”報言:“癡人!我等不惱餘人自受欲樂,無廢修道斯有何過?汝豈我師作斯譏恥,宜應默爾勿招禍患。”彼聞生怖緘口而行,入廣嚴城於四衢道,各生諠議互共譏嫌。
-
그때 비구들이 듣고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비구가 목욕할 때 벽돌을 사용하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고 생각하시고는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벽돌로 몸을 문지르면서 목욕하지 말라. 만약 그것으로 몸을 문지르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越法罪]를 얻는다.”
부처님께서 이미 뜨는 벽돌로써 몸을 문지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니, 그때의 비구들은 발에 먼지와 때가 끼어서 가죽이 트고 갈라졌다. 성에 들어가 걸식할 때, 사람들이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성자여, 발이 저렇게 트고, 또 때가 많은데 왜 문질러 닦지 않고 더러운 모양을 하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현자여,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시기 때문이오.”
“당신들이 몸에 때가 있어 더러운데 어찌 청정하다 하겠습니까.”
비구들이 말을 못하였다. - 022_0596_c_11L時,諸苾芻聞已白佛,佛作是念:‘苾芻洗浴,以甎揩身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以甎揩身爲洗浴事。若揩身者得越法罪。’佛旣不許以甎揩身,時諸苾芻腳有塵垢竝生皴裂,入乞食時諸人見已,作如是語:“聖者!腳生皴裂復多塵垢,何不揩淨作醜形儀?”答言:“賢首!世尊不許。”彼言:“仁等身有垢穢,豈淸淨耶?”苾芻默然。
-
밥을 얻어 가지고 처소로 돌아가서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먼저는 법을 처음 정한 것이지만 이제 형편을 따라서 여노라. 내가 이제 비구들에게 벽돌로 발을 닦는 것을 허락하노라. 그러나 몸뚱이의 다른 부분은 안 되느니라. 만약 다른 데를 문지르면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이때 여섯 비구들이 돌로 문지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심을 보고, 곧 뜨는 돌[浮石]을 사용하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도 역시 법을 어기는 죄가 된다.” - 022_0596_c_20L旣得食已,還歸住處,以緣白佛。佛告諸苾芻:“前是創制今乃隨開,我今聽諸苾芻以甎揩足,非餘身分。若揩餘處者得越法罪。”是時,六衆見不許甎便用浮石,佛言:“此亦得越法罪。”
-
022_0597_a_01L같은 처소에서였다.
때에 비구들이 아침에 의발을 갖추고 성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바라문들이 백토(白土)나 혹은 백회(白灰)를 세 손가락에 묻혀 이마에 세 개의 줄을 긋고 구걸을 함으로 해서 좋은 음식을 많이 얻은 것을 보았다.
여섯 비구들이 이것을 보고는 서로 의논하였다.
“이것은 좋은 방편이니 우리도 그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 - 022_0597_a_01L緣處同前,時諸苾芻日初分時,執持衣鉢入城乞食,見諸婆羅門以自三指點取白土或以白灰,抹其額上以爲三畫,所有乞求多獲美好。六衆見已共相謂曰:“是善方便,我等宜作。”
-
드디어 다른 날 이마에 세 획을 긋고 성안에 들어가서 밥을 비니, 불법(佛法)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보고 비웃어 말하였다.
“우리가 이제 무릎을 꿇고 절해야겠군.”
여섯 비구가 말하였다.
“그대들 어리석은 사람은 예식을 모르는구나. 누구에게는 무릎을 꿇고 누구에게는 경례를 하는가.”
그 사람들이 말하였다.
“우리는 다만 알기를, 늙은 바라문을 보면 무릎을 꿇고, 만약 비구들을 보면 경례하는 것인 줄로 안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 비구를 보고 어찌하여 경례하지 않고 무릎을 꿇고 절하는가.”
“성자여, 우리가 당신들을 보니 얼굴에 세 획이 있기에 바라문으로 보고 비구가 아닌 줄로 안 것입니다. 우리가 몰라서 그런 것이니 용서하기 바랍니다.”
여섯 무리는 말을 못하였다. - 022_0597_a_06L遂於他日額爲三畫,入城乞食,不信之人見而笑曰:“我今跪拜。”六衆報曰:“汝等愚人不閑禮式,誰合跪拜?誰當敬禮?”彼人答曰:“我等但知見老婆羅門卽云:‘跪拜。’若見苾芻便云:‘敬禮。’”“若如是者,見我苾芻,何不敬禮而云跪拜?”答言:“聖者!我見仁等面有三畫,謂婆羅門非苾芻也,我等無知幸當容恕。”六衆默然。
-
그때 모든 비구들이 듣고는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비구가 만약 얼굴에 세 획을 그으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 이러므로 비구가 세 획을 만들면 법을 어기는 죄를 얻는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백토로 세 획을 만들지 말라.”
그 후로 비구가 병환이 있을 때, 의사 처방이 백토를 몸에 바르라는 것인데도 비구들이 감히 그렇게 못하였다.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는 처음 법을 정한 것이로되 형편에 따라서 열 수 있으니, 의사의 처방이 백토를 몸에 바르라고 하면 의사가 가르치는 대로 하여도 범함이 없느니라.” - 022_0597_a_15L爾時,諸苾芻聞已白佛,佛作是念:‘若有苾芻面作三畫,有如斯失。是故苾芻作三畫者得越法罪。’佛言:“苾芻不應以白土作三畫。”者,苾芻有患,醫師處方白土塗身,苾芻不敢,以緣白佛,佛言:“前是創制,此是隨開。醫人處方遣塗身者,可隨醫教,作之無犯。”
- 부처님께서 실라벌성(實羅伐城)2)에 계셨다.
- 022_0597_a_22L佛在室羅伐城。
-
022_0597_b_01L여섯 비구들이 아침에 의발(衣鉢)을 갖추고 성으로 들어가서 걸식하는데, 바라문들을 보니 우황(牛黃)으로 이마에 점을 찍고 구걸하여서 맛이 좋은 것을 많이 얻었다. 이것을 보고 서로 말하였다.
“이것은 좋은 방편이니 우리도 저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
드디어 다른 날 우황으로 이마에 점을 찍고 성에 들어가 밥을 비니, 믿지 않는 사람이 그 점찍은 이마를 보고 비웃으며 말하였다.
“우리가 이제 무릎 꿇어 절하지요. 우리가 이제 무릎 꿇어 절하지요.”
모든 문답이 위에 말한 것과 같았다.
“우리는 당신들이 얼굴에 우황으로 치장한 것을 보고 바라문이지 비구가 아니라고 한 것입니다. 몰라서 그런 것이니 용서하기 바랍니다.”
이 말에 여섯 비구는 대답을 못하였다. - 022_0597_a_23L六衆苾芻於日初分,執持衣鉢入城乞食,見諸婆羅門以牛黃點額,所有乞求多獲美味。見是事已共相謂曰:“是好方便,我等宜作。”遂於他日以牛黃點額入城乞食,不信之人見其點額,輕笑而言:“我今跪拜!我今跪拜!”諸有問答竝如上說:“我見仁等面有牛黃以自莊飾,謂婆羅門非苾芻也。我等無知幸當容恕。”六衆默然。
-
때에 비구들이 이 말을 듣고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만약 비구가 우황으로 이마에 점을 찍어 치장하는 일이 있으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
그러시고는 말씀하셨다.
“이제부터 비구는 우황으로 이마에 점을 찍지 말라. 만약 그렇게 하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7_b_09L時苾芻聞以緣白佛,佛作是念:“若有苾芻牛黃點額以自莊嚴,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牛黃點額,若有作者得越法罪。”
-
부처님께서 우황으로 이마에 점 찍는 것을 막으시니, 그때 비구가 이마에 나쁜 종기가 나서 의사에게 가서 물었다.
“현자여, 내게 처방을 하여 주오.”
그러자 의사가 대답하였다.
“성자여, 그 종기의 둘레에 우황을 바르시오. 곧 나을 것입니다.”
“세존께서 계율로 제정하시어 우황을 이마에 바르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성자여, 당신의 스승님은 크게 자비하시니, 병이 있으면 반드시 허락하실 것입니다.”
이 연유를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먼저는 처음으로 법을 정한 것이로되 이제 다시 형편에 따라서 허락하노라. 병이나 의사의 지시로 우황을 쓰는 것을 제외하고는, 만약 그런 짓을 하면 법을 어기는 죄가 되리라.” - 022_0597_b_12L佛遮牛黃點額,時有苾芻額有惡瘡往問醫言:“賢首!爲我處方。”醫人答曰:“聖者!於瘡四邊以牛黃塗之,卽當得差。”苾芻報言:“世尊制戒不許牛黃塗額。”醫人答曰:“聖者!汝師大慈,有病必許。”以緣白佛,佛告諸苾芻:“前是創制今更隨開,除爲病緣及以醫教,得用牛黃。若輒作者得越法罪。”
-
022_0597_c_01L같은 장소에서였다.
여섯 비구들이 몸에 향수를 바르고 소년들 틈에 들어가서 소년들에게 물었다.
“너희들, 우리 몸에서 나는 향내가 어떤지 맡을 수 있느냐.”
그들이 말하였다.
“어찌 상좌의 몸에 향을 바를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바른다.”
“상좌여, 향수를 바르는 것은 속인들이나 하는 것인데 어찌 마땅한 일이겠습니까.”
“마땅하거나 마땅하지 않거나 우리는 이미 바른 것이다.”
그렇게 답하니, 저들이 모두 경멸하면서 비난하고 미워하였다. - 022_0597_b_20L緣處同前,六衆苾芻身著塗香入年少衆中,告言:“年少!汝等可嗅我香何如?”諸人答言:“豈可上座身著塗香!”報言:“我著。”彼云:“上座!塗香俗飾,豈合著耶?”答曰:“從合不合我今已作。”彼咸輕賤皆共譏嫌。
-
때에 모든 비구들이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비구가 몸에 향수를 바르면 이런 과실이 있으니, 비구는 마땅히 몸에 향수를 바르지 않아야 한다. 만약 바른다면 법을 어기는 죄가 된다.’
부처님 말씀과 같이 향을 바르지 않아야 한다.
때에 어느 비구가 몸에 병이 들어서 의사에게 가서 물었다.
“현자여, 내 병에 맞는 약을 지어 주시오.”
의사가 대답하였다.
“성자여, 향을 바르면 평상시와 같이 회복될 것입니다.”
“어찌 나를 애욕의 즐거움 속으로 빠지게 하려고 합니까.”
“성자여, 이것은 병의 약입니다. 다른 것으로는 능히 낫게 할 수 없습니다.” - 022_0597_c_03L時,諸苾芻以緣白佛,佛作是念:‘苾芻身著塗香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身著塗香。若有著者得越法罪。”如佛所說不著塗香,時有苾芻身嬰患苦,往醫人處問言:“賢首!爲我准病而作方藥。”報言:“聖者!可著塗香當得平復。”答言:“賢首!豈令我今受欲樂耶?”報言:“聖者!此是病藥,非餘能差。”
-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허락하노라. 의사의 처방으로 향을 바르는 것은 계를 범하는 것이 아니니라.”
그때 그 병든 비구가 몸에 향을 바르고 무리 속에 들어가 바라문과 거사 등과 더불어 앉아서 설법하고 혹 속인의 집에도 가니 사람들이 보고 싫어하며 비방하였다. - 022_0597_c_11L苾芻白佛,佛言:“我今開許,醫人處方塗香非犯。”時,病苾芻身著塗香入衆中坐,與婆羅門居士等說法,或往俗舍,人見譏嫌。
-
모든 비구들이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향을 바른 비구가 지켜야 할 행법(行法)을 내가 이제 마땅히 정하노라.
만약 비구가 몸에 향을 발랐거든 마땅히 무리들 속에 들어가서 앉지 말며, 또한 바라문ㆍ거사 등을 위하여 설법도 말며, 또한 속인의 집에도 가지 말라. 만약 비구가 병이 나으면 몸을 씻고 나서 뜻대로 무리 속에 들어가고 다른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설법도 하라. 이 행법대로 하지 않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7_c_14L時,諸苾芻以緣白佛,佛言:“塗香苾芻所有行法,我今當制。若諸苾芻身著塗香不應入衆坐,亦不爲婆羅門居士等說法,亦不往俗家。若苾芻病差,方可洗身隨意入衆,亦得爲他諸人說法。此之行法不依行者,得越法罪。”
-
022_0598_a_01L때에 신심 있는 바라문 거사가 있었다. 그들이 바르는 향을 가지고 와서 비구들에게 보시하니, 비구들이 받지 않으므로 거사들이 말하였다.
“성자여, 부처님이 나오시기 전에는 우리들이 모두 외도(外道)를 복을 닦는 곳으로 삼았으나, 이제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시니 우리가 당신들을 큰 복밭으로 삼거늘, 가지고 온 공양을 어찌하여 받지 않습니까. 어찌 우리들로 하여금 선한 자량(資糧)을 버리고 후세(後世)에 이르게 하십니까. 원컨대 자비로 우리의 작은 보시를 받아 주십시오.”
비구가 말하였다.
“기다리시오. 내가 부처님께 여쭈어 보겠습니다.” - 022_0597_c_20L時,有信心婆羅門居士等,將塗香來施諸苾芻,苾芻不受。諸居士等言:“聖者!佛未出時,我等諸人悉以外道爲修福處。今佛出世,我以仁等爲大福田,所持供養如何不受?豈令我等棄善資糧趣於後世?願降慈悲受我微施。”苾芻報曰:“待我問佛。”
-
그때 비구들이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마땅히 받으라고 말씀하셨다.
비구가 받고 나서 이 사람의 앞에서 땅에 버리니 시주(施主)가 말하였다.
“성자여, 우리들이 비싼 값으로 사 온 것인데 왜 버리십니까.”
비구들이 부처님께 이 말씀을 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받은 것을 시주 앞에서 가볍게 버리지 말고 여래의 탑사[如來制底] 앞의 땅에 바르며 공양하여라.” - 022_0598_a_04L時,諸苾芻以緣白佛,佛言:“當受。”苾芻受已,對此人前棄之於地。施主報言:“聖者!我等貴價買來,如何棄擲?”時,諸苾芻以緣白佛,佛言:“不應受得對主輕棄,可於如來制底之前塗地供養。”
-
부처님 말씀대로 마땅히 탑사 앞 땅에 바르며 공양하여야 하므로, 그때 비구들이 이 향을 받고 나서 발조탑(髮爪塔) 앞에 손수 발라서 공양하니 시주가 보고 이렇게 말하였다.
“성자여, 우리가 어찌 탑에 공양하는 것을 모르겠습니까. 우리의 뜻은 당신들께 드리자는 것입니다. 그 불탑(佛塔) 앞에는 우리가 먼저 올렸습니다.”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향을 받았거든 거처하는 방 안에 바르라.”
그가 곧 거처하는 방문에 발랐더니, 그때 저 모든 사람들이 부처님의 집이라고 하면서 곧 예배를 하는 것이었다.
부처님께서 마땅치 않다고 하시니, 다음은 문 옆에 발랐으나 허물이 다시 전과 같았다. - 022_0598_a_09L如佛所說,當於制底前塗地供養者,時諸苾芻受斯香已,於髮爪塔前手塗供養,施主見已作如是語:“聖者!我豈不知有塔供養?意施仁等。其佛塔前我先奉訖。”苾芻白佛,佛言:“受得香已塗在房中。”彼便用塗住房門扇。時,彼諸人謂是佛殿卽便禮拜,佛言:“不應爾遂塗門傍,還同前過。”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머리 언저리 벽 판자 위에 바르고 때때로 맡아라. 이 향기를 맡을 때 사람의 눈을 밝게 하여 의혹함이 없게 하라.” - 022_0598_a_17L佛言:“當塗頭邊壁版之上,時時鼻嗅,但是香物,嗅時令人眼明,勿致疑惑。”
- 세존께서 실수마라(室收摩羅)산 공외림녹원(恐畏林鹿園)에 계실 때였다.
- 022_0598_a_19L爾時,世尊在室收摩羅山住恐畏林鹿園之所。
-
그때 보리 왕자(菩提王子)가 조명루(鳥鳴樓)를 지어 준공되니, 축하하기 위하여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집으로 모셔다가 음식을 대접하였다.
세존께서 그 집에 이르러 그 누각 아래에서 모든 대중들을 데리고 자리에 나아가 식사를 하실 때였다. - 022_0598_a_21L時,菩提王子造鳥鳴樓,初成就已爲申慶讚,請佛及僧就舍設食。世尊至宅,於其樓下與諸大衆就座而食。
-
022_0598_b_01L 그때 우파난타가 식사를 하다가 문득 제 손으로 그 누각의 기둥을 쳐서 누각이 울리도록 하였다. 그때 공양하는 사람이 말하였다.
“성자여, 보리 왕자께서 새로 이 누각을 짓는데 백한 가지 그림을 새겨서 색을 칠하여 꾸몄거늘 무슨 뜻으로 당신은 부수고자 합니까.”
우파난타가 대답하였다.
“빈한한 사람인 보리가 여기에 애착심을 일으키면 목숨을 마친 뒤에는 마땅히 어디로 떨어질 것인가. 그대가 또 여기에 애착심을 내니 목숨을 마친 뒤에는 대영귀(大癭鬼) 가운데 떨어지리라.”
그 사람이 듣고서 몹시 비난하고 싫어하였다. - 022_0598_b_01L時,鄔波難陁正於食時,便以自手打其樓柱,令樓震動。時,供養人報言:“聖者!菩提王子新造此樓,用百一種彩畫雕飾,何意仁者欲爲損破?”鄔波難陁答曰:“貧寒人菩提,於此起愛著心,命終之後當墮何處?汝復於此更生愛著,命終之後落大癭鬼中。”彼人聞已極致譏嫌。
-
또는 비구들이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이렇게 생각하셨다.
‘비구가 기둥을 치면 이러한 과실이 있으니 이러므로 비구는 마땅히 손으로 기둥을 치지 않아야 한다. 어기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를 얻는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손으로 기둥을 치지 말지니라.”
여섯 비구가 곧 주먹과 어깨와 등과 다리와 아울러 벽돌과 돌로 쳐서 흔들리게 하여 다시 말썽을 일으키니 허물이 전과 같았다. - 022_0598_b_08L時,諸苾芻以緣白佛,佛作是念:‘苾芻打柱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以手打柱,違者得越法罪。’佛言:“不應以手打柱。”六衆卽便以拳、肩、背、腳幷諸甎石打令搖動,復生譏議招過同前。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떠한 것으로도 치지 말지니라.”
이때 여섯 무리가 또 담벽을 치고 땅을 쳤으므로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설혹 나머지 어떠한 것이라도 다쳐서는 안 된다. 어기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8_b_13L佛言:“隨是何物皆不應打。”是時六衆復打牆打地,佛言:“設是餘物皆不應打,違者得越法罪。”
-
022_0598_c_01L같은 처소에서였다.
여섯 비구들이 아침나절에 의발을 가지고 성으로 들어가 걸식하는데, 바라문들을 보니 그들이 몸에 범선(梵線)을 붙이고 걸식하니 맛난 것을 많이 얻었다. 드디어는 서로 의논하였다.
“난타여, 우파난타여, 우리도 이제 좋은 방편을 얻었다. 몸에 범선을 붙이자.”
다른 날 드디어 범선을 붙이고 성에 들어가서 걸식하였다.
믿지 않는 사람이 그 범선을 보고 업신여겨 이렇게 말하였다.
“내가 이제 무릎을 꿇고 절합니다.”
그리하며, 묻고 대답한 것이 전과 같았다. 역시 비구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비구가 범선을 붙이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범선을 붙이지 말라. 만약 어기는 자가 있으면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8_b_15L緣處同前,六衆苾芻日初分時,執持衣鉢入城乞食,見諸婆羅門身著梵線,乞食之時多得美味,共相謂曰:“難陁、鄔波難陁!我今得好方便身安梵線。”乃於他日便著梵線入城乞食,有不信人見其梵線,遂生輕賤作如是語:“我今跪拜。”問答同前,乃至時諸苾芻白佛,佛作是念:‘苾芻著梵線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著線,若有著者得越法罪。’
-
같은 처소에서였다.
여섯 비구가 걸식하다가 보니 바라문들이 묘한 향과 꽃으로써 몸을 장엄하고 오색 선을 팔뚝에 매고 떡과 밥을 얻어서 배부르게 먹고는 원기 왕성한 모습으로 집에서 나오는 것이었다.
여섯 비구가 상의하였다.
“난타여, 우파난타여, 이것은 좋은 방편이니 우리들도 그렇게 하자.” - 022_0598_c_02L緣處同前,六衆乞食見諸婆羅門,以妙香花莊嚴形體,將五色線繫之於臂,得諸餠食旣飽食已,形貌充溢從舍而出。六衆相謂:“難陁、鄔波難陁!是好方便,我等可爲。”
-
그리고는, 다른 날 오색의 선을 팔뚝에 매고 성으로 들어가 걸식하였다. 바라문들이 보고 경멸하면서 말하였다.
“우리가 이제 무릎 꿇고 절합니다.”
그러면서 여섯 비구들을 비난하고 희롱하였다.
자세한 말은 먼저와 같은 것이었다.
모든 비구들이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만약 비구가 오색의 선을 팔뚝에 매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
그리고는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오색 선을 팔뚝에 매지 않아야 한다. 만약 매는 자가 있으면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이리하여 부처님께서는 팔뚝에 선을 매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다. - 022_0598_c_07L便於他日以五色線繫於臂上,入城乞食。諸婆羅門等見,生輕賤云:“我今跪拜。”六衆譏弄,廣說同前,乃至諸苾芻白佛。佛作是念:‘若諸苾芻以五色線繫臂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以五色線繫臂。若有繫者得越法罪。’佛旣不許繫臂線者。
-
그때 어느 비구가 몸에 병이 나서 의사에게 처방을 구하였다.
“현자여, 나의 몸에 병이 있으니 처방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자여, 오색 선을 취하여 주문을 외고 팔뚝에 매면 반드시 나을 겁니다.”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당신의 거룩하신 스승님께선 자비로 근본을 삼으시니 병 때문이라면 허락하실 것이 틀림없습니다.” - 022_0598_c_13L時有苾芻身嬰患苦,詣醫人處問言:“賢首!我身有疾幸爲處。”答言:“聖者!取五色線呪之繫臂,必得除愈。”報曰:“世尊不聽。”彼言:“仁之大師慈悲爲本,病緣開許理所不疑。”
-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허락하노라. 비구들이 병 때문에 의사의 지시로 하는 것이라면 선을 매어도 범함이 없느니라.”
부처님께서 선을 팔에 매는 것을 허락하시니, 비구가 오른편 팔뚝 앞에 매었더니 역시 비난하는 자가 있었다.
부처님께서 불응하시므로 팔뚝 뒤에 매니, 부처님께서 또 불응하셨다.
다시 왼쪽 팔뚝 앞에 매니, 부처님께서 또 불응하시고 왼편 팔뚝 뒤에 매라고 하셨다. - 022_0598_c_18L時諸苾芻白佛,佛言:“我今聽諸苾芻爲病因緣醫人教者,繫線無犯。”佛許以線繫臂,苾芻安在右臂肘前,還有譏過,佛言:“不應爾。”遂安肘後,佛言:“不應。”復繫左手肘前,佛言:“不應。當安左手肘後。”
-
022_0599_a_01L비구는 이리하여 병이 나았고, 매었던 선을 아무 데나 버리니 옳지 않은 사람들이 경멸하면서 말하였다.
“성자여, 그 선으로 내 이름을 걸어 놓고 저주하여서 병을 낫게 하는 것이므로 이제 경멸하는 것이오.”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무것에나 버려서는 안 된다. 만약 신병이 아직도 낫지 않았거든 옷귀[衣角]에 매고, 만약 나았거든 담장이나 기둥 틈 속에 적당하게 두어라.” - 022_0598_c_23L苾芻由此遂便病愈,以所繫線隨處棄擲。非人見之皆起嫌賤,報言:“聖者!由其線結繫我名字,緣此呪故令得病除,今生輕慢。”苾芻白佛,佛言:“不應隨處棄擲,若其身病未得可者,繫之衣角。如善平復,可於牆柱隙中隨意安置。”
-
같은 처소에서였다.
여섯 비구가 걸식하다가 모든 속인들이 장엄구인 영락 따위를 가진 것을 보고는 저 비구들도 모든 영락과 손ㆍ발의 가락지 따위를 구하여서 몸을 꾸미었다. 그리고는 서로 “장엄이 좋은가” 하고 말하였다.
그때 속인들이 충고하여 말했다.
“성자여, 머리는 깎고 겨드랑이 털은 길었는데 장엄이 좋을 것이 어디에 있습니까. 그러고서야 어찌 당신들이 욕정에 물들어 얽힌 것이 아니라 하겠습니까.”
여섯 비구들은 대답을 못하였다. - 022_0599_a_06L緣處同前,六衆乞食,見諸俗人有莊嚴具瓔珞之屬。時,彼苾芻取諸瓔珞手足之釧,莊飾其身,共相謂曰:“莊嚴好不?”時,諸俗旅調言:“聖者!頭上剃髮腋下毛長,何處得有莊嚴妙好。豈非仁等爲欲染所纏。”六衆默爾。
-
비구들이 이 소문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비구가 몸에 영락을 붙이면 이러한 과실이 있다.’
그러시고는 말씀하셨다.
“이제부터 비구는 영락을 걸거나 수족을 장엄하지 말라. 만약 어기는 자는 법을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9_a_12L苾芻白佛,佛作是念:‘苾芻身著瓔珞有斯過失,由是苾芻不應著諸瓔珞莊嚴手足。若故著者得越法罪。’
-
같은 처소에서였다.
가끔 도둑이 와서 승방 곳집의 물건과 승려의 사물(私物)을 훔쳐 가는데, 표시가 될 만한 것이 없으니 비구들이 언제 물건을 잃게 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
부처님께서 비구도 도장을 지니는 것이 좋겠다고 하시니, 이때 여섯 비구들이 금ㆍ은ㆍ유리ㆍ수정ㆍ옥돌로 그 도장을 만들어서 가락지에다 보배로 장식하고는 속인들을 보면 곧 손을 뻗쳐 가락지를 보이면서 말하였다.
“원컨대 당신들은 무병장수하시라.”
속인들이 보고 물었다.
“손가락에 있는 것이 무엇이냐?”
“이것은 손가락 도장인데 부처님께서 허락하신 것이오.”
그러자, 속인들이 비웃으면서 말하였다.
“사문석자(沙門釋子)로서 교만한 짓을 하는군. 보배로 꾸민 가락지 도장을 하다니 참된 사문도 아니요, 바라문도 아니네.” - 022_0599_a_15L緣處同前,時有賊來,盜僧庫藏幷及私物,爲無記驗,苾芻不知何時失物?佛言:“苾芻可畜其印。”是時六衆便以金銀、瑠璃、水精、玉石而作其印,於指環上以寶莊飾。見諸俗人,卽便舒手呈示指環,願言:“仁等無病長壽。”諸俗問言:“指上何物?”答言:“賢首!此是指印,佛所開許。”俗人譏笑作如是語:“沙門釋子爲憍慢事,衆寶嚴飾爲指環印,非眞沙門、非婆羅門。”
-
022_0599_b_01L모든 비구들이 듣고 부처님께서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가락지와 보배 장식품을 지니지 말고 다섯 가지 물건, 즉 유석(鍮石)ㆍ적동(赤銅)ㆍ백동(白銅)ㆍ이[牙]ㆍ뿔[角]로만 도장을 만들라.”
여섯 비구는 또 도장에다 남녀가 옳지 않은 짓을 하는 모양을 새기니, 속인들이 보고 비난하였다.
“당신들은 사문이면서 아직도 더러운 욕심이 있는가.”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체로 도장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대중의 것이며 하나는 개인의 것이다. 대중의 도장에는 법바퀴 굴리는 모양을 새기고 양 가에는 사슴이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으로 만들며 그 밑에는 본래의 절을 지은 시주명단을 새기며, 개인의 도장에는 골쇄상(骨鎖像)을 새기거나 혹은 해골 모양을 만들지니 볼 때마다 싫어하고 떠나는 생각을 내고자 하는 때문이니라.” - 022_0599_b_01L諸苾芻聞已白佛,佛言:“苾芻不應著指環及寶莊飾,應用五種物爲印。所謂鍮石、赤銅、白銅、牙、角。”六衆印上刻作男女行非法像,諸俗見譏:“仁等沙門尚有染欲心耶?”苾芻白佛,佛言:“凡印有二種:一是大衆,二是私物。若大衆印可刻轉法輪像,兩邊安鹿伏跪而住,其下應書元本造寺施主名字。若私印者刻作骨鎖像,或作髑髏形,欲令見時,生厭離故。”
-
제1문 자섭송② - 022_0599_b_11L第一門第二子攝頌曰:
-
손톱과 머리를 깎음과 닦아서 광을 냄과
봄에 어린 과일을 먹음과
갈증에 다섯 가지 약을 허락함과
화생(火生)의 인연을 자세히 말한 것이다. -
022_0599_b_12L翦瓜髮揩光,
春時飡小果,
渴聽五種藥,
廣說火生緣。
-
같은 처소에서였다.
때에 급고독장자(給孤獨長者)가 부처님과 스님들을 위하여 서다림(逝多林)에 주처(住處)를 지어서 대중에 보시하고는, 이발사[削髮人]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지금 서다림 동산에 가서 모든 성중(聖衆)들을 위하여 머리와 수염을 깎아 드려라.” - 022_0599_b_14L緣處同前,時給孤獨長者爲佛及僧造逝多林住處,施大衆已,告剃髮人曰:“汝今可往逝多林園,爲諸聖衆剃除鬚髮。”
-
그가 지시를 받고 곧 동산으로 가니, 이때 여섯 비구가 번갈아 절문에서 끊임없이 바라보았다. 그때 우파난타가 절문 앞에서 왔다 갔다 하다가 멀리 이발사가 오는 것을 보고 말하였다.
“잘 왔네, 잘 왔네. 마치 초생달과 같군. 어째서 이렇게 오랜만에 나타나는가.”
그가 말하였다.
“성자여, 장자께서 보내셔서 대중을 위하여 머리를 깎아 드리려고 온 것입니다.”
“그런가. 그대는 손톱을 깎을 줄 아는가?”
“성자여, 그것은 내 직업인 걸요.”
“그러면 와서 잘 좀 깎아 보게.” - 022_0599_b_18L彼人受教卽往園中。是時六衆,遞在寺門看望不絕。時,鄔波難陁在寺門前經行來去,遙見剃髮人來,告言:“善來,善來!賢首!猶如初月一何希現?”彼言:“聖者!長者遣來爲衆剃髮。”問言:“汝解翦瓜甲不?”答言:“聖者!此是我業。”報曰:“汝來試看工巧。”
-
022_0599_c_01L그가 곧 나아가니 존자는 손을 뻗쳤다.
“성자여, 어떻게 깎아 드릴까요?”
“벼의 곡식[稻穀] 모양으로 하게.”
그가 곧 그대로 하였더니, 또 사람의 머리 모양으로 하라, 혹은 칼 모양같이 하라, 혹은 도끼날처럼 하라, 혹은 반달처럼 하라 하므로 그는 존자의 지시를 받고 모두 그대로 하였다. 그랬더니 마지막에 말하였다.
“그대는 미련한 사람이다. 거짓말만 교묘하게 했지 하나도 제대로 할 줄을 모르는구나. 모두 보통으로 깎아 놓고 빨리 가라.”
이렇게 해서 날이 저문 뒤에야 비로소 돌아가라 하여 땅거미 뒤에 장자의 처소에 이르니, 장자가 몇 사람이나 깎았느냐고 물었다.
이발사가 대답하였다.
“언제 여러 사람의 머리를 깎을 틈이 있겠습니까. 관장 비구[官長苾芻]인 우파난타가 나더러 손톱을 깎아 달라고 하는데 갖가지 모양으로 하라고 하여서 날이 저물어서야 겨우 나오게 되었으니, 다시 무엇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리고는 자세한 이야기를 하였다.
장자가 듣고 나서 혐오심을 일으켰다.
‘비록 잘 말씀하신 법률에 출가하였으나 마음이 가라앉지 않았구나.’ - 022_0599_c_01L其人卽前,尊者舒手,工人曰:“聖者!欲如何翦?”“賢首!如稻穀形。”彼卽如言,又云:“應作人頭形或如剃刀勢,或如斧刃,或如半月。”隨尊者教彼悉爲作,後便告曰:“汝愚癡人!詐言巧妙一無所知,宜可平截放爾急去。”乃至日暮方始言歸。曛黃之後至長者處,長者問曰:“汝與幾人,剃除鬚髮?”答曰:“何暇得與大衆除髮?官長苾芻鄔波難陁,令我除甲作種種形勢,廣說如前,乃至日暮纔蒙放出,更欲何爲?”長者聞已遂起嫌心:“雖於善說法律出家而心不寂靜。”
-
비구들이 듣고는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비구가 손톱을 깎으면 이러한 허물이 있다’고 생각하시고는 말씀하셨다.
“비구는 마땅히 손톱을 깎지 말라. 만약 어기는 자가 있으면 법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 022_0599_c_13L苾芻聞已白佛,佛作是念:‘苾芻翦甲有如是過,由是苾芻不應翦爪,若有違者得越法罪。”
-
부처님께서 손톱 깎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니, 그때 비구들의 손톱이 모두 길었는데 속인이 보고 물었다.
“왜 손톱을 이렇게 길게 합니까?”
“세존께서 손톱 깎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기 때문이오.”
“손톱을 그렇게 길게 하니 어찌 깨끗하겠습니까.”
이 말씀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는 처음으로 정한 법이었으나, 이제는 다시 형편을 따라서 허락한다. 손톱 깎는 법에 두 가지만 두나니, 하나는 칼 모양으로 하는 것이요, 하나는 도끼 모양으로 하는 것이다.” - 022_0599_c_16L佛旣不許翦爪,時諸苾芻指甲皆長,俗人見之問言:“何故爪長如是?”答曰:“世尊不許。”報曰:“長留爪甲豈爲淨耶?”以緣白佛,佛言:“前是創制,今更隨開。翦爪之法有其二種:一如剃刀形,二如斧刃勢。”
-
022_0600_a_01L같은 처소에서였다.
급고독장자가 이발사로 하여금 절에 들어가서 대중의 머리를 깎게 한 것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먼저와 같다. 또한 물었다.
“그대는 손톱을 닦을 줄 아는가?”
그러자, 이발사가 대답하였다.
“성자여, 그것은 나의 직업입니다.”
“그러면 와서 하여 보라.”
이렇게 하여, 먼저는 황색으로, 다음은 적색으로, 또는 백색으로, 다시 금색으로 하라는 대로 다 하였다. 문득 말하였다.
“이 어리석은 자야, 거짓말만 교묘하게 하고 하나도 제대로 할 줄 모르는구나. 도로 보통으로 닦아 놓고 빨리 가라.”
먼저와 같이 장자에게 가서 자세한 이야기를 하고, “더 하고자 하였으나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니, 장자가 듣고는 다시 혐오심을 일으켰다. 자세한 말은 위와 같다. - 022_0599_c_21L緣處同前,給孤長者令剃髮人入寺爲衆剃髮,廣說如前,乃至問言:“汝解揩爪甲不?”答言:“聖者!此是我業。”報曰:“汝來試看,先作黃色、次作赤色、又作白色、更作金色。”隨所教者悉皆爲作。彼便告曰:“汝愚癡人!詐言巧妙一無所解,宜可平磨放爾急去。”至長者處乃至更欲何爲?長者聞已更起嫌心,廣說如上。
-
비구들이 듣고는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비구가 손톱을 닦으면 이러한 허물이 있구나.’
이로 말미암아 비구는 손톱을 닦지 않게 하시고, 만약 어기는 자가 있으면 법 어기는 죄를 얻는다고 하셨다. - 022_0600_a_07L苾芻聞已白佛,佛作是念:‘苾芻磨爪有如是過,由是苾芻不應磨爪,若有違者得越法罪。’
-
부처님께서 이미 비구에게 손톱 닦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니, 비구들이 옷을 물들이거나 발우를 칠하거나 할 제 손톱에 때가 끼어서 더러웠다. 발우를 가지고 밥을 빌 때 속인이 보고 말하였다.
“성자여, 왜 그렇게 손톱이 깨끗하지 않습니까?”
그가 사실로써 대답하였다.
“왜 긁어 내지 않습니까?”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손톱에 때가 있고서 어찌 청정하다고 하겠습니까.”
이 일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때를 씻을 때에는 마땅히 손톱도 닦아라. 그러나 곱게 문질러서 광을 내서는 안 된다.” - 022_0600_a_09L佛旣不許苾芻磨爪,苾芻染衣或復熏鉢,爪有垢生形色醜惡,持鉢乞食俗人見時作如是語:“聖者!何故指爪不淨?”彼以事答,報言:“聖者!何不除刮?”答言:“世尊不許。”報曰:“爪上持垢,豈是淸淨?”以緣白佛,佛言:“若除垢時應可磨甲,不應爲好揩使光生。”
-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 022_0600_a_16L佛在王舍城。
-
그곳 영승왕(影勝王)3)이 이렇게 생각하였다.
‘매양 봄ㆍ가을로 철이 바뀌면 신곡(新穀)과 첫 과일을 반드시 먼저 부처님과 및 모든 성중께 바친 뒤에 스스로 먹으리라.’
그때 저 대신이 새로 익은 암몰라과(菴沒羅果)이 과실은 대개 복숭아와 같다. 익지 않은 것과 익은 것을 알기가 어렵다. 네 가지 차별이 있는데 같지 않다. 암마락가(菴摩洛迦)는 대개 신 멧대추[酸棗]와 같다. 다만 약으로 쓰인다.를 대왕에게 올리니, 왕이 말하였다.
“이 과일은 먼저 부처님과 스님들께 올리는 것이 옳다.”
대신이 빙긋이 웃으니, 왕이 말하였다.
“그대는 왜 웃느냐?”
“대왕께서는 신이 아직 부처님과 성중들께 바치지 않은 줄로 말씀하시오나 이미 먼저 바쳤나이다.” - 022_0600_a_17L其影勝王發如是念:‘每至春秋節變,新穀初果必先奉佛及諸聖衆,後方自食。’時,彼大臣以新熟菴沒羅果此果大如桃,而生熟難知。有四種差別不同:菴摩洛迦大如酸棗,唯堪爲藥奉上大王。王曰:“可持此果先奉佛、僧。”臣便微笑,王曰:“卿何故笑?”對曰:“大王謂臣未奉佛、衆?已先奉訖。”
-
022_0600_b_01L그러자 왕이 말하였다.
“그대가 모를까 염려하였노라. 이를 인연으로 하여 내가 이제 성중들께 천주의 과일 숲을 바치리라.”
“그것은 참으로 좋은 일이옵니다. 신도 따라서 기뻐하오리라.”
이리하여 곧 천주의 과일숲을 사방의 모든 성중들께 바치고, 아울러 복전을 기뻐하고 찬탄하는 큰 대회를 열었다. 이 숲은 옛적에 열매를 맺으면 매우 번성하였다. 가령 마가다국의 모든 대중들이 모였을 때, 함께 그 과일을 먹어도 또한 모두 충족되었다. 국왕이 이 숲을 승가에 보시하고 나서, 때에 모든 비구들이 과실이 아직 크지도 않았는데 향기롭고 맛난 것을 보고 모두 와서 다 따먹어버렸다. - 022_0600_a_23L王曰:“恐卿不知,由是因緣,我今奉施聖衆千樹果林。”對曰:“此誠妙事臣實隨喜。”卽便以千樹果林,奉施四方一切聖衆,幷設大會慶讚福田。此林昔時結果極繁,假使摩揭陁國所有人衆大聚會時,共食斯果亦皆充足。王以此林,施僧伽已,時諸苾芻見果小時氣味香美,悉來噉食遂令都盡。
-
다른 나라의 왕이 이 과실이 필요하여서 문득 사신을 영승왕에게 보내어 암몰라를 구하였다.
영승왕이 사신에게 말하였다.
“내가 과일숲을 이미 스님들께 바쳤으니, 그대는 스님들한테 가서 구하는 것이 좋으리라.”
사신이 죽림원(竹林園)에 이르니, 이때 여섯 비구가 번갈아서 항상 절 문앞에서 내다봤는데 마침 우파난타가 문밖에서 거니는 중이었다. 사신이 이르러 존자에게 절하고 말하였다.
“성자여, 나는 아무 국왕의 사신입니다. 왕이 보내셔서 암몰라과를 구하러 왔사오니, 만약 있거든 스님께서 좀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 - 022_0600_b_08L有餘國王要須此果,便令使者詣影勝王處求菴沒羅。彼告使曰:“我有果林已施僧衆,汝今可往隨衆乞求。”使者往竹林園,是時六衆常在寺門,遞看無闕。時,鄔波難陁門所經行,使者旣至禮尊者足,白言:“聖者!我是某國王使,王遣我來求菴沒羅果。仁若有者幸見分張。”
-
우파난타가 말하였다.
“그대는 과수원에 가서 필요한 만큼 마음대로 따가시오.”
사신이 과일 숲에 가서 두루 살펴보았으나 오직 빈 가지 뿐이어서 마침내 한 과일도 없는지라, 곧 돌아와서 빈 숲 뿐이고 과일이 없더라고 하였다. 우파난타가 곧 사신을 데리고 함께 숲에 이르러 두루 살펴보고는 말하였다.
“그대는 이 높은 나무에 올라가 보오.”
사신이 곧 올라갔으나 과실을 볼 수 없었다. - 022_0600_b_16L鄔波難陁報使者曰:“汝今可往詣果園所,隨欲多少任意將去。”使至林所周遍觀察,唯睹空條竟無一果,遂便還白:“空林無果。”鄔波難陁卽將使者共詣林中,遍觀察已,報曰:“汝可昇此高樹。”使者卽上,旣不見果。
-
022_0600_c_01L또 말하였다.
“그대는 동쪽 가지로 올라가 보시오.”
이렇게 하여 남쪽ㆍ서쪽ㆍ북쪽 가지를 모두 올라가게 하였다.
사신이 두루 올라가서 보았으나, 마침내 얻는 바가 없이 내려와서 물었다.
“성자여, 어찌 이 과수원에 금년에는 과실이 없습니까?”
“왕년과 같이 금년에도 열렸던 것이오.”
“그렇다면 금년에는 풍우에 떨어진 것입니까?”
“아니오.”
“그러면 왜 없습니까?”
“실은 이 과일이 크지도 않은 것을 우리들이 다 먹은 것이오.”
그때 저 사신이 왕에게 돌아가서 사실대로 아뢰니, 왕이 말하였다.
“잘 되었도다. 내가 본디 성중들로 하여금 먹게 하려던 것이 아니냐.”
저 사신이 언짢은 기색으로 인사하고 본국에 돌아갔다. - 022_0600_b_21L又告曰:“汝向東枝。”南西北枝悉皆令上,彼遍昇上竟無所得,遂便下樹問言:“聖者!豈此樹林今歲無果?”報言:“賢首!猶如往年結子,今歲亦然。”“若如是者,今年風雨令子落耶?”答言:“不爾。”問曰:“何無?”答曰:“此果小時我等食盡。”時,彼使人還至王所,以事具白。王曰:“善哉!我本期心令聖衆食。”彼使悒然辭歸本國。
-
그때 마갈타국에 큰 모임이 있어 많은 사람이 모였다.
비구에게 물었다.
“성자여, 왜 금년에는 천수과림(千樹果林)에 과일이 하나도 열지 않았습니까?”
“열지 않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다 따 먹은 것입니다.”
“성자여, 요즈음이면 이 과일이 익을 때여서 마갈타 사람들이 모두 먹어도 넉넉한 것인데, 당신들이 크지도 않은 것을 다 먹어서 하나도 없이 하였으니, 이런 것은 좋은 일이 아닙니다.”
“이 과수원은 임금님이 그대들 국민에게 준 것이 아니라 우리 승단의 대중에게 바친 것이기 때문에 모두 먹은 것인데 무엇이 잘못이란 말인가.” - 022_0600_c_06L時,摩揭陁國因有大會衆人聚集,問苾芻曰:“聖者!何故今年千樹果林咸不結子?”答言:“賢首!非不結實,乃至我等食盡。”報言:“聖者!比來此果成熟之時,摩揭陁境所有人衆食皆充足,只由仁等從小食盡,遂令無果。斯非善事。”答曰:“此之果林,王不與汝國內諸人,但奉僧衆,由是共食斯何過焉?”
-
이때 모든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는 모두 싫어하고 비난하였다.
“부처님의 제자인 사문들도 오히려 족한 줄을 모르니, 하물며 우리 속인들이야 오죽하랴.”
비구가 부처님께 이것을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생각하셨다.
‘과일을 먹기 때문에 이런 실수가 있다.’
“모든 비구들은 마땅히 과일을 먹지 말라. 만약 먹는다면 법 어기는 죄를 얻으리라.”
부처님 말씀대로 마땅히 과일을 먹지 않아야 한다. - 022_0600_c_14L時,諸人衆聞是語已,共生嫌恥:“沙門釋子尚不知足,況我俗流?”苾芻白佛,佛作是念:‘由其食果有斯過失,故諸苾芻不應食果,若食者得越法罪。’如佛所言:“不應食果。”
-
그때 어느 신심있는 장자가 작은 암몰라향과를 가지고 와서 비구들에게 보시하니, 비구가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먹는 것을 허락하시지 않으셨습니다.”
장자들이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나오시기 전엔 우리들이 모두 외도로써 복밭을 삼았던 것입니다.” 자세한 말은 위에서 설한 것과 같다.
“자비로써 우리들의 이 작은 보시를 받으소서.”
비구들이 부처님께 여쭈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씨가 여물었을 때 먹는 것은 범계(犯戒)됨이 없다.” - 022_0600_c_19L時有信心長者,將小菴沒羅香果來施苾芻。苾芻報曰:“佛不聽食。”諸長者言:“佛未出時,我等諸人悉以外道而爲福田,廣說如上,乃至慈悲受我微施。”諸苾芻白佛,佛言:“至核鞕時食之無犯。”
-
022_0601_a_01L또 어느 신심있는 장자가 익은 암몰라과를 가지고 와서 비구에게 보시하면서, 앞과 같은 말로, “나의 이 작은 보시를 받으소서” 하였다.
비구들이 감히 받지 못하고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씨가 여물고 익은 것이면 모두 마땅히 먹을지니 망설이지 말라.” - 022_0601_a_01L復有信心長者,以熟菴沒羅果來施苾芻,廣說如前,乃至受我微施。時,諸苾芻不敢受食,以緣白佛,佛言:“核鞕已後,乃至於熟悉皆應食,勿起疑心。”
-
실라벌성에서의 일이다.
그때 어느 비구가 몸에 병고가 있었다. 의사에게 가서 말하였다.
“내게 이러한 병고가 있으니, 원컨대 처방을 하여 주시오.”
의사가 말하였다.
“마땅히 타락죽[酥]을 먹어서 몸을 보하시오. 내가 설사약을 드리겠습니다.”
그가 곧 타락을 먹었는데 다시 갈증이 생겼다. 의사가 와서 물었다.
“성자여, 좀 어떠하십니까?”
“내가 다시 갈증이 생겼습니다.”
“암마락가[餘甘子]를 잡으십시오.” - 022_0601_a_05L緣在室羅伐城。時,有苾芻身嬰患苦到醫人所,報言:“我有如是病苦,幸爲處方。”醫人報曰:“宜可服酥令身潤膩,我當施與瀉利之藥。”彼便服酥。復患於渴,醫來問曰:“聖者!好不?”答言:“賢首!我更患渴。”醫曰:“持餘甘子。”
-
비구가 손으로 쥐니, 의사가 보고 물었다.
“갈증이 제거되었습니까?”
“아직도 제거되지 않았습니다.”
“성자여, 어찌 암마락가를 지니지 않습니까?”
“지금도 손에 쥐었는데요.”
“입 안에 넣어야 합니다.”
이리하여 곧 입에 넣었다.
다른 날 의사가 다시 와서 물었다.
“갈증이 좀 어떠하십니까?”
“아직도 좋지 않습니다.”
“왜 암마락가를 입안에 넣지 않습니까?”
“벌써부터 입 안에 넣고 있는데요.”
“씹어야 하는 것입니다.”
“세존께서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세존께서 크게 자비하시니, 반드시 허락하여 주실 것입니다.” - 022_0601_a_11L苾芻手把,醫見問曰:“渴得除未?”答言:“未除。”醫曰:“聖者!豈可不持餘甘子耶?”答曰:“現在手中。”報言:“可著口中。”卽便置口,他日醫復來問:“渴得可未?”答曰:“今猶未可。”醫曰:“豈不口中持餘甘子?”答:“已在口中。”“應可嚼之”。報曰:“世尊不許。”醫曰:“世尊大悲必應垂許。”
-
비구가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씹어도 좋다.”
씹고는 뱉아버리고 감히 삼키진 않으니, 갈증은 여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의사가 보고 물었다.
“왜 그 물을 삼키지 않습니까?”
“세존께서 때가 아닌데 먹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이것을 부처님께 아뢰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이제 허락한다. 특히 다섯 가지 과일은 병이 있거나, 병이 없거나, 때가 되었거나, 때가 되지 않았거나, 먹어도 범계됨이 없다.” - 022_0601_a_18L苾芻白佛,佛言:“應嚼。”嚼已外棄,不敢咽下,渴猶不除。醫曰:“何不咽汁?”報言:“非時食者,世尊不許。”以緣白佛,佛言:“我今聽許,有五種果,若病無病、時與非時,食之無犯。”
-
022_0601_b_01L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다섯 가지 과일은 병이 있거나 병이 없거나 때가 되었거나 때가 되지 않았거나 먹어도 범함이 없는 것이다. 비구들은 그 다섯 가지가 어떠한 것인지 몰랐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른바 암마락가[餘甘子]범어로는 암마락가라고 하며 여기 말로는 여감자라 한다. 광주(廣州)에 대개 있으며 위의 암몰라(菴沒羅)와는 전혀 다르다. 소리의 모습이 넘쳐서 사람들이 모두 미혹하기 때문에 주석을 해서 손바닥 안에 놓고 관찰하는 것이다.ㆍ하리륵(訶梨勒)ㆍ비혜륵(毘醯勒)ㆍ필발리(畢鉢梨)ㆍ호초(胡椒)이니, 이 다섯 가지 약은 병이 있거나 병이 없거나 때거나 때가 아니거나 마음대로 모두 먹고 의심하지 말라.” -
022_0601_a_22L如佛所言:“有五種果若病無病、時與非時,食無犯者。”苾芻不知云何爲五?佛言:“所謂餘甘子梵云菴摩洛迦,此云餘甘子,廣州大有,與上菴沒羅全別,爲聲相濫人皆惑之,故爲注出是掌中觀者、訶梨勒、毘醯勒、畢鉢梨、胡椒。此之五藥,有病無病、時與非時,隨意皆食,勿致疑惑。
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卷第一
甲辰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 1)Vaiśālī를 말하며 비사리(毘舍離)로 음역한다. 중인도에 있는 지명이다.
- 2)사위(舍衛)의 범어 Śrāvastī의 음역이다.
- 3)마갈타국의 빈비사라왕(Bimbisāra)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