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起世經卷第一

ABC_IT_K0660_T_001
019_0263_a_01L기세경(起世經) 제1권
019_0263_a_01L起世經卷第一

수(隋) 천축삼장(天竺三藏) 사나굴다(闍那崛多) 등 한역
019_0263_a_02L隋天竺三藏闍那崛多等 譯

1. 염부주품(閻浮洲品)
019_0263_a_03L閻浮洲品第一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019_0263_a_04L如是我聞
어느 때 바가바(婆伽婆)께서 사바제성(舍婆提城) 가리라(迦利羅) 석실(石室)에 계셨다.
그때 비구들은 밥 먹은 뒤에 모두 항상 법을 말하는 강당에 모였는데, 한꺼번에 앉아서 각기 생각하다가 곧 의논하였다.
“장로들이여, 이상한 일입니다. 지금 이 세간의 중생들이 살고 있는 국토와 천지는 어떻게 성립되었고 어떻게 무너지며, 어떻게 무너지고 나서 다시 성립되며, 어떻게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게 되는 것일까요?”
019_0263_a_05L一時婆伽婆在舍婆提城迦利羅石室諸比丘食後皆集常說法堂一時坐已各各生念便共議是諸長老未曾有也今此世閒生所居國土天地云何成立云何散云何壞已而復成立云何立已得安住
그때 세존께서는 혼자 고요한 방에 계셨는데 하늘 귀[天耳]가 환히 들리고 깨끗하며 남보다 뛰어났다. 저 비구들이 밥먹은 뒤에 모두 항상 법을 말하는 강당에 모여 함께 이러한 드문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셨다.
세존께서는 들으시고, 저녁 때에 선정에서 나오시고 석실에서부터 일어나 법당에 가서 그 비구 대중들 앞에 나아가 언제나처럼 자리를 깔고 엄연하게 단정히 앉으셨다.
이에 세존께서는 아시면서도 짐짓 물으셨다.
“너희들 비구는 이곳에 모여 앉아 아까부터 무슨 의논을 하였는가?”
019_0263_a_11L爾時世尊獨在靜室天耳徹聽淸淨過人聞諸比丘食後皆集常說法堂共作如是希有言論世尊聞已晡時出禪從石室起往法堂上在諸比丘大衆之前依常敷座儼然端坐於是世尊知而故問汝等比丘於此集坐向來議論有何所說
019_0263_b_01L그때 비구들이 함께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대덕 세존이시여, 저희들 비구는 밥을 먹은 뒤에 이 법당에 같이 모여 ‘장로들이여, 이상한 일입니다. 어떻게 세간이 이와 같이 성립되었고, 어떻게 세간이 그와 같이 무너지며, 어떻게 세간이 무너지고 나서 다시 성립되며, 어떻게 세간이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는 것일까요?’라고 하며 의논하였습니다. 대덕 세존이시여, 저희들이 아까 모여 앉아서 한 이야기는 바로 이 일을 의논한 것입니다.”
019_0263_a_18L諸比丘同白佛言大德世尊我等比丘於此法堂食後共集大衆詳議作如是言是諸長老未曾有也云何世閒如是成立云何世閒如是散壞云何世閒壞已復立云何世閒立已安住大德世尊我等向來集坐言論正議斯事
그때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착하고 착하도다. 너희 비구들아, 이렇게 법답게 믿고 행할 수 있었구나. 선남자들아, 너희들은 믿음 때문에 집을 버리고 출가하였다. 너희들이 만약 함께 한 군데 모여서 이런 법다운 말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불가사의한 일이다.
너희 비구들아, 모여 앉을 때에는 두 가지 법행(法行)을 닦아야 하며, 각기 자기의 일을 위하여 게으름을 피워서는 안 되니, 법의 이치를 논설함과 거룩한 침묵이 그것이다.
만약 그럴 수 있으면 너희들은 여래가 말한 세간의 성립과 세간의 무너짐과 세간이 무너지고 나서 다시 성립하는 일과 세간이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게 되는 이와 같은 이치를 들어야 한다.”
019_0263_b_02L爾時佛告諸比丘言善哉善哉汝諸比丘乃能如是如法信行諸善男子汝以信故捨家出家汝等若能共集一處作如是等如法語者不可思議汝等比丘若集坐時應當修此二種法行各爲己業不生怠慢所謂論說法義及聖默然若能爾者汝等當聽如來所說如是之義世閒成立世閒散壞世閒壞已而復成立世閒立已而得安住
그때 비구들은 같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대덕 세존이시여, 지금이 바로 그 때입니다. 수가다(修迦多:부처님의 별호)시여, 지금이 바로 그 때입니다. 만약 부처님 세존께서 비구들을 위하여 그 이치를 말씀하시면, 저희 비구들은 세존의 말씀을 듣고 그렇게 지니겠습니다.”
019_0263_b_12L諸比丘同白佛言大德世尊今正是時修伽多今正是時若佛世尊諸比丘說此義者我諸比丘聞世尊當如是持
그때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 비구는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어서 잘 생각하여라. 나는 너희들을 위하여 차례로 연설하리라.”
그때 비구들은 똑같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그러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원컨대 기꺼이 듣고자 합니다.”
019_0263_b_16L爾時佛告諸比丘言汝等比丘諦聽諦聽善思念之我當爲汝次第演說諸比丘同白佛言唯然世尊願樂欲聞
019_0263_c_01L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비구들아, 하나의 해와 달이 다니면서 사천하를 비추는 것처럼 이와 같은 4천하에 천 개의 해와 달이 있어 비추어지는 곳을 곧 1천 세계라고 한다.
비구들아, 천 세계 중에는 천 개의 달과 천 개의 해와 천 개의 수미산왕과 4천 소주(小洲)와 4천 대주(大洲)와 4천 소해(小海)와 4천 대해(大海)가 있으며, 4천의 용 종족과 4천의 큰 용 종족과 4천의 금시조(金翅鳥) 종족과 4천의 큰 금시조 종족과 4천의 나쁜 길 처소[惡道處]의 종족과 4천의 크게 나쁜 길 처소의 종족과 4천의 소왕(小王), 4천의 대왕, 7천의 갖가지 큰 나무, 8천의 갖가지 큰 산들과 10천의 갖가지 큰 니리(泥犁 : 지옥)들, 그리고 천의 염마왕(閻摩王), 천의 염부주, 천의 구타니(瞿陀尼), 천의 불파제(弗婆提), 천의 울단월(鬱單越)과 천의 사천왕천, 천의 삼십삼천, 천의 야마천, 천의 도솔타천, 천의 화락천, 천의 타화자재천, 천의 마라천과 천의 범세천(梵世天)이 있다.
019_0263_b_20L佛言比丘如一日月所行之處照四天下如是等類四天世界有千日月所照之處此則名爲一千世界諸比丘千世界中千月千日千須彌山王四千小洲四千大洲四千小海四千大海四千龍種姓四千大龍種姓四千金翅鳥種四千大金翅鳥種姓四千惡道處種姓四千大惡道處種姓四千小王四千大王七千種種大樹八千種種大山十千種種大泥犂千閻摩王閻浮洲千瞿陁尼千弗婆提千鬱單千四天王天千三十三天千夜摩千兜率陁天千化樂天千他化自在天千摩羅天千梵世天
019_0264_a_01L비구들아, 범세(梵世) 안에 범왕(梵王)이 한 명 있는데 위력이 가장 강하여 항복시킬 이 없으며, 천의 범자재왕(梵自在王)의 영역을 모두 거느리면서 ‘나는 능히 짓고 능히 변화하고 능히 홀릴 수도 있다’고 말하고, ‘나는 아버지와 같은 이다’라고 말하며, ‘모든 일에서 가운데서 스스로 이렇게 교만하여 큰소리를 치며 아만(我慢)을 내지만 여래는 그렇지 않다. 왜냐 하면 일체 세간은 저마다 업의 힘을 따라 나타나 일어나고 성립되기 때문이다.
비구들아, 이 천 세계는 마치 주라(周羅)[주라(周羅)는 수(隋)나라 말로 계(髻)이다.]와 같은데, 소천(小千)세계라 한다.
비구들아, 그렇게 많은 주라의 1천 세계를 바로 제2의 중천(中千)세계라 한다.
비구들아, 이러한 제2의 중천세계를 하나의 수[一數]로 하여 다시 천(千)의 세계가 차면 이것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 한다.
비구들아, 이 삼천대천세계는 동시에 성립되며, 동시에 성립된 뒤에 다시 무너지며, 동시에 무너지고 난 뒤에 다시 도로 성립되며, 동시에 성립되고 나서 편안히 머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세계가 두루 다 타 버리면 무너졌다[散壞]고 하고, 두루 다 일어나면 성립되었다[成立] 하며, 두루 머무르면 편안히 머무른다[安住]라고 하니, 이것이 두려움 없는 한 부처님 세계[一佛刹土]의 중생들이 사는 곳이 된다.
019_0263_c_11L諸比丘梵世中有一梵王威力最强無能降統攝千梵自在王領我能作能化能幻我如父於諸事中自作如是憍大語已卽生我慢如來不爾以者何一切世閒各隨業力現起成立諸比丘此千世界猶如周羅周羅者隋言髻名小千世界諸比丘爾所周羅一千世界是名第二中千世界諸比丘此第二中千世界以爲一數復滿千是名三千大千世界諸比丘此三千大千世界同時成立同時成已而復散壞同時壞已而復還立同時立已而得安住如是世界周遍燒已爲散壞周遍起已名爲成立周遍住名爲安住是爲無畏一佛剎土生所居
비구들아, 지금 이 대지(大地)는 두께가 48만 유순이고, 둘레는 넓이가 한이 없다. 이와 같은 대지는 물 위에 머무르고, 물은 바람 위에 머무르고, 바람은 허공에 의지해 있다.
비구들아, 이 대지 아래 있는 물 더미는 두께가 60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그 물 더미 아래 있는 바람 더미는 두께가 36만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비구들아, 이 큰 바닷물은 가장 깊은 곳의 깊이가 8만 4천 유순이고, 넓이는 한이 없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은 아래로 바닷물에 잠긴 것이 8만 4천 유순이고, 바닷물 위로 드러난 것이 또한 8만 4천 유순이다. 수미산왕은 그 바닥이 평평하고 반듯하며 아래 뿌리는 큰 금륜(金輪) 위에 연달아 머물러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은 대해 속에 있는데 아래는 좁고 위는 넓어서 점점 커지고, 끝이 곧아서 굽지 않았으며, 큰 몸은 매우 단단하고, 아름답고 미묘하며 참으로 특이하여 가장 훌륭하며 볼 만한데, 금ㆍ은ㆍ유리ㆍ파리(頗梨)의 네 가지 보석이 합해서 이루어졌다. 수미산 위에는 갖가지 나무가 자라나 있는데, 그 나무는 울창하여 온갖 향기를 내는데 그 향기는 멀리 풍겨서 모든 산에 두루 찬다. 또 성현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고, 최대의 위덕을 지닌 훌륭하고 묘한 천신들이 그곳에 살고 있다.
019_0264_a_04L諸比丘今此大地厚四十八萬由旬周闊無量如是大地住於水上水住風上風依虛空諸比丘此大地下有水聚厚六十萬由旬周闊無量水聚下所有風聚厚三十六萬由旬周闊無量諸比丘此大海水最極深深八萬四千由旬周闊無量諸比須彌山王下入海水八萬四千由旬上出海水亦八萬四千由旬須彌山其底平正下根連住大金輪上比丘須彌山王在大海中下狹上闊漸漸寬大端直不曲大身牢固佳妙殊特最勝可觀四寶合成所謂金琉璃頗梨須彌山上生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其香遠熏遍滿諸山多衆聖賢最大威德勝妙天神之所止住
019_0264_b_01L비구들아, 수미산왕의 윗부분에 봉우리가 있는데 사면이 쑥 솟아났고 굽어져서 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으며, 각각의 높이는 7백 유순이다. 참으로 미묘하고 사랑스러우며, 일곱 가지의 보석이 합해서 이루어졌으니, 즉,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진주ㆍ차거(車𤦲)ㆍ마노(瑪瑙)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비구들아, 수미산 아래에는 각각 세 등급이 있어 모든 신들이 그곳에서 살고 있다.
그 중 제일 낮은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60유순이다. 일곱 겹의 담장과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있으며, 다시 일곱 겹으로 줄지어선 다라(多羅) 나무들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단정하게 꾸며져 있어 사랑스럽다. 그 나무들은 모두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赤珠)ㆍ차거ㆍ마노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하나의 담장에는 각각 네 개의 문이 있고, 하나하나의 문에는 여러 성가퀴[壘堞:성벽 위에 쌓은 나지막한 담]ㆍ누각(壘閣)ㆍ가마[輦]ㆍ수레[軒]ㆍ망루ㆍ돈대[臺殿 : 높이 흙을 돋은 일종의 둑]ㆍ곁채ㆍ초목과 동물을 기르는 동산[苑囿]과 못들이 있어서 빠짐없이 갖추어졌고 화려하게 꾸며졌다.
019_0264_a_21L諸比丘須彌山王上分有峯四面挺曲臨海上各高七百由旬殊妙可七寶合成所謂金琉璃頗梨車璖瑪瑙之所莊挍諸比丘須彌山下別有三級諸神住處其最下級縱廣正等六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復有七重多羅行樹周帀圍遶端嚴可愛其樹皆以金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七寶所成一一牆院各有四門於一一門有諸壘堞重閣輦軒卻敵樓櫓臺殿房廊園池沼具足莊嚴
하나하나의 못에서는 미묘한 꽃들이 시샘하듯 피어나서 온갖 향기를 퍼뜨리며, 여러 나무숲에는 갖가지 줄기와 잎과 갖가지의 꽃과 과일이 빠짐없이 두루 갖추어져 있고, 또한 온갖 미묘하고 아름다운 향기를 풍기며, 다시 여러 새들이 있어서 각각 묘한 음성을 내며 우짖는 소리가 엇섞이고 있으니, 그 소리는 온화하며 맑고 유창하다.
그 둘째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40유순이고, 일곱 겹의 담장과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있고, 줄지어 선 다라 나무들도 일곱 겹으로 둘레가 가지런하고 평평하며 단정하게 꾸며져서 사랑스러우며, 또한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으니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와 마노로 장식되어 온통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문루와 누각과 돈대와 동산ㆍ못ㆍ과일 나무와 뭇 새들도 모두 고루 다 갖추어져 있다.
그 맨 위의 등급은 가로 세로가 똑같이 20유순인데, 일곱 겹의 담장과 …… 뭇 새들이 각각 미묘한 음성을 내는 등 어느 것 하나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비구들아, 맨 아래급에는 발수(鉢手)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제2급에는 지만(持鬘)이라는 야차가 살고 있으며, 상급에는 상취(常醉)라는 야차가 살고 있다.
019_0264_b_10L一一池中竝出妙華散衆香氣有諸樹林種種莖葉種種花果悉皆具足亦出種種殊妙香氣復有諸鳥各出妙音鳴聲閒雜和雅淸暢其第二級縱廣正等四十由旬七重牆院七重欄楯七重鈴網多羅行樹亦有七重周帀齊平端嚴可愛亦爲七寶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之所挍飾所有莊嚴門觀樓閣臺殿園池果樹衆鳥皆悉具足其最上級縱廣正等二十由旬七重牆院乃至諸鳥各出妙音莫不具足諸比於下級中有夜叉住名曰鉢手二級中有夜叉住名曰持鬘於上級有夜叉住名曰常醉
019_0264_c_01L비구들아, 수미산 중턱 높이 4만 2천 유순되는 곳에 사대천왕(四大天王)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으며, 수미산 위에는 삼십삼천의 궁전이 있는데 제석(帝釋)이 살고 있다. 삼십삼천에서 한 갑절 올라가면 야마천(夜摩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야마천에서 위로 또 한 갑절 올라가면 도솔타천(兜率陀天)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도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화락천(化樂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화락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고, 타화천 위로 또 한 갑절 다시 올라가면 범신천(梵身天)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타화천 위와 범신천 아래의 그 중간에는 마라파순천(魔羅波旬天)들의 궁전이 있고, 범신천을 갑절 오르면 광음천(光音天)이 있고, 광음천을 갑절 오르면 변정천(遍淨天)이 있고, 변정천을 갑절 오르면 광과천((廣果天)이 있고 광과천을 갑절 오르면 불추천(不麤天)이 있다.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의 그 중간에 따로 무상중생(無想衆生)이라 이름하는 하늘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불추천을 갑절 오르면 불뇌천(不惱天)이 있고, 불뇌천을 갑절 오르면 선견천(善見天)이 있고, 선견천을 갑절 오르면 선현천(善現天)이 있고, 선현천을 갑절 오르면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들의 궁전이 있다.
019_0264_c_01L諸比丘須彌山半高四萬二千由旬有四大天王所居宮殿須彌山上三十三天宮殿帝釋所居三十三天已上一倍有夜摩諸天所居宮殿摩天上又更一倍有兜率陁天所居宮殿兜率天上又更一倍有化樂諸天所居宮殿化樂天上又更一倍他化自在諸天宮殿他化天上又更一倍有梵身諸天所居宮殿他化天梵身天下於其中閒有摩羅波旬諸天宮殿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閒別有諸天宮殿所居之處名無想衆生倍不麤上有不惱天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倍善現上有阿迦尼咤諸天宮殿
019_0265_a_01L비구들아, 아가니타천 위에 다시 여러 하늘이 있는데, 무변공처(無邊空處)ㆍ무변식처(無邊識處)ㆍ무소유처(無所有處)ㆍ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라 하나니, 이들은 모두 하늘들이 살고 있는 곳의 이름이다.
비구들아, 이와 같은 처소와 이와 같은 지경에 중생들이 살고 있는데, 이 모든 중생들은 오고 가기도 하며 났다가 없어지기도 하여 끝끝내 다하느니라. 이 세계 안의 모든 중생들은 나고ㆍ늙고ㆍ죽음이 있으며, 이와 같이 나는 길[生道] 가운데 떨어져 머무르며 여기에서 더 지나가지 못하니, 이것이 사바 세계요, 두려움 없는 국토[無畏刹土]이다.
나머지 모든 시방의 일체 세계들도 그와 같다.
019_0264_c_18L諸比丘阿迦尼咤已上更有諸天無邊空處無邊識處無所有處非想非非想處此等皆名諸天住處諸比如是處所如是界分衆生居住諸衆生若來若去若生若滅邊際所此世界中所有衆生有生老死在如是生道中住至此不過是名娑婆世界無畏剎土諸餘十方一切世亦復如是
비구들아, 수미산왕 북쪽에 뭍[洲]이 있는데 울단월(鬱單越)이라고 부르며, 그 땅의 세로와 너비는 10천 유순이고, 사방이 똑같으며 그 뭍에 사는 사람의 얼굴은 바로 땅의 형상과 비슷하다.
비구들아, 수미산왕 북쪽에 뭍이 있는데 불파제(弗婆提)라고 부르며, 그 땅의 세로와 너비는 9천 유순이고, 보름달처럼 둥그렇다. 그 뭍에 사는 사람의 얼굴은 바로 땅 형상과 비슷하다.
비구들아, 수미산왕 서쪽에 뭍이 있는데 구타니(瞿陀尼)라고 부르며, 그 땅의 세로와 너비는 8천 유순이고, 모양은 마치 반달과 같다. 그 뭍에 사는 사람의 얼굴은 바로 땅의 형상과 비슷하다.
비구들아, 수미산왕 남쪽에 뭍이 있는데 염부제(閻浮提)라고 부르며, 그 땅의 세로와 너비는 7천 유순이고, 북쪽은 넓고 남쪽이 좁으니 마치 바라문의 수레와 같다. 그곳에 사는 사람의 얼굴은 바로 땅 형상과 비슷하다.
비구들아, 수미산왕의 북쪽은 하늘 금으로 이루어져서 울단월주를 비추고, 동쪽은 하늘 은으로 이루어져서 불파제주를 비추고, 서쪽은 하늘 파리로 이루어져서 구타니주를 비추고, 남쪽은 하늘 청유리로 만들어져서 염부제주를 비춘다.
019_0265_a_04L諸比丘須彌山王北面有洲名鬱單越其地縱廣十千由旬四方正等彼洲人面還似地形諸比須彌山王東面有洲名弗婆提地縱廣九千由旬圓如滿月彼洲人還似地形諸比丘須彌山王西面有洲名瞿陁尼其地縱廣八千由旬形如半月彼洲人面還似地形諸比須彌山王南面有洲名閻浮提地縱廣七千由旬北闊南狹如婆羅門車其中人面還似地形諸比丘彌山王北面天金所成照鬱單越洲東面天銀所成照弗婆提洲西面天頗梨所成照瞿陁尼洲南面天靑琉璃所成照閻浮提洲
019_0265_b_01L비구들아, 울단월주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암파라(菴婆羅)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는 7유순이고 땅 아래로 들어간 것이 21유순이며, 높이는 백 유순인데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에 달한다.
비구들아, 불파제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가담파(迦曇婆)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고, 땅 아래로 들어간 것이 21유순이며, 높이는 백 유순인데,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에 달한다.
비구들아, 구타니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진두가(鎭頭迦)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고, 나아가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이다. 그런데 그 나무 아래에 돌 소[石牛]가 하나 있는데 높이가 1유순이니, 이 인연 때문에 구타니라 하는 것이다.
비구들아, 이 염부제도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염부(閻浮)라고 한다.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고, 나아가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이다. 이 나무 아래에 염부나단(閻浮那檀)이라는 금 더미가 있는데 높이가 20유순이다. 이 훌륭한 금이 염부 나무 아래서 나기 때문에 염부나단이라 하고, 염부나단 금은 이로 말미암아 이름이 되었다.
비구들아, 여러 용과 금시조들이 살고 있는 곳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구타사마리(拘吒賖摩利)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다. 아수라가 사는 곳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선주화(善晝華)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며, 나아가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이다. 비구들아, 삼십삼천에 큰 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천유(天遊)라 하며, 그 밑둥의 세로와 너비도 7유순이고, 땅 아래로 들어간 것이 21유순이며 높이는 백 유순인데, 가지와 잎이 드리워서 덮은 것은 50유순이다.
019_0265_a_18L諸比丘鬱單越有一大樹名菴婆羅其本縱廣有七由旬下入於地二十一由旬高百由枝葉垂覆五十由旬諸比丘弗婆提洲有一大樹名迦曇婆其本縱廣亦七由旬下入於地二十一由旬百由旬枝葉垂覆五十由旬諸比丘瞿陁尼洲有一大樹名鎭頭迦其本縱廣亦七由旬乃至枝葉垂覆五十由旬於彼樹下有一石牛高一由旬以此因緣名瞿陁尼隋言牛施諸比丘閻浮洲有一大樹名曰閻浮其本縱廣亦七由旬乃至枝葉垂覆五十由於此樹下有閻浮那檀金聚高二十由旬以此勝金出閻浮樹下是故名爲閻浮那檀閻浮那檀金者因此得名諸比丘諸龍金翅所居之處有一大樹名曰拘咤賖摩利其本縱廣亦七由乃至枝葉垂覆五十由旬諸比丘阿修羅處有一大樹名善晝華其本縱廣亦七由旬乃至枝葉垂覆五十由旬諸比丘三十三天有一大樹曰天遊其本縱廣亦七由旬下入於二十一由旬高百由旬枝葉垂覆五十由旬
019_0265_c_01L비구들아, 수미산 아래에 다시 산이 있는데, 거제라(佉提羅)라고 한다. 높이는 4만 2천 유순인데,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고 단정하고 엄숙하며 사랑스러우니,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ㆍ마노의 칠보가 합하여 이루어졌다.
비구들아, 그 수미산과 거제라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8만 4천 유순으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優鉢羅華]과 발두마꽃[鉢頭摩華]과 구모타꽃[拘牟陀華]과 분다리가꽃[奔茶利迦華] 등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두루 물 위를 덮고 있다.
비구들아, 거제라산 밖에 산이 있으니, 이사타라(伊沙陀羅)라고 한다. 높이 2만 1천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고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러우며, 나아가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거제라산과 이사타라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4만 2천 유순으로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 구모타꽃, 분다리카꽃 등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두루 물 위를 덮고 있다.
이사타라산 밖에 산이 있는데, 유건타라(遊乾陀羅)라고 한다. 높이는 1만 2천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럽고, 나아가 마노 등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이사타라산과 유건타라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2만 1천 유순으로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두루 모든 물 위를 덮고 있다.
019_0265_b_20L諸比丘須彌山下次復有山名佉提高四萬二千由旬上闊亦爾端嚴可愛七寶合成所謂金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諸比丘其須彌山提羅山二山之閒闊八萬四千由旬周帀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諸妙香物遍覆水上諸比丘佉提羅外有山名曰伊沙陁羅高二萬一千由旬上闊亦爾端嚴可愛乃至瑪瑙等七寶所成提羅山伊沙陁羅二山之閒闊四萬二千由旬周帀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諸妙香物遍覆水上伊沙陁羅山外有山名曰遊乾陁羅高一萬二千由旬闊亦爾端嚴可愛乃至瑪瑙等七寶所成伊沙陁羅遊乾陁羅二山之閒闊二萬一千由旬周帀無量優鉢羅鉢頭摩花拘牟陁花奔茶利迦花諸妙香物遍覆諸水
019_0266_a_01L유건타라산 밖에 산이 있는데 선견(善見)이라 한다. 높이는 6천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럽고, 나아가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유건타라산과 선견산 중간의 간격은 1만 2천 유순으로서 둘레가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두루 모든 물을 덮고 있다.
선견산 밖에 산이 있는데 마반두(馬半頭)라 한다. 높이는 3천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럽고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선견산과 마반두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6천 유순으로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여러 물 위에 두루 차 있다.
마반두산 밖에 산이 있는데 니민타라(尼民陀羅)라고 한다. 높이는 1천 2백 유순이요,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할 만하며 마노 등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마반두산과 니민타라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2천 4백 유순으로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들이 두루 물을 덮고 있다.
니민타라산 밖에 산이 있는데 비나야가(毘那耶迦)라 한다. 높이는 6백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럽고 ……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019_0265_c_17L遊乾陁羅山外有山名曰善見高六千由旬上闊亦端嚴可愛乃至瑪瑙等七寶所成遊乾陁羅與善見山中閒相去一萬二千由旬周帀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諸妙香物遍覆諸水善見山外有山名曰馬半頭高三千由旬上闊亦爾端嚴可愛乃至瑪瑙等七寶所成其善見與馬半頭二山之閒闊六千由旬周帀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諸妙香物遍諸水上馬半頭外有山名曰尼民陁羅高一千二百由旬上闊亦爾端嚴可乃至瑪瑙等七寶所成其馬半頭尼民陁羅二山之閒闊二千四百由周帀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牟陁華奔茶利迦華等諸妙香物覆於水尼民陁羅山外有山名毘那耶迦高六百由旬上闊亦爾端嚴可乃至瑪瑙等七寶所成
019_0266_b_01L니민타라산과 비나야가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1천2백 유순으로서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네 가지의 꽃들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이 두루 물들을 덮고 있다.
비나야가산 밖에 산이 있는데 작가라(斫迦羅)[수(隋)나라 말로는 윤원(輪圓)이라 하니, 즉 철위산이다.]라 한다. 높이는 3백 유순이고 위가 넓은 것도 역시 그만하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사랑스럽고, 나아가 마노 등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비나야가산과 작가라산의 두 산 사이는 너비가 6백 유순이며 둘레도 한량이 없는데, 네 가지 꽃들과 여러 가지 미묘하고 향기로운 식물이 두루 물을 덮고 있다. 작가라산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또한 빈 땅이 있는데, 푸른 풀이 널리 펼쳐져 있으며 바다에 연접해 있다. 큰 바다 북쪽에 큰 나무가 있는데 염부 나무라고 한다. 둘레는 7유순이고, 땅 아래로 들어간 뿌리가 21유순이며, 높이는 백 유순이다. 나아가 가지와 잎이 사면에 드리워서 덮은 것이 50유순에 달한다.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는데 푸른 풀이 널리 펼쳐져 있다.
다음에 암파라 나무숲과 염부 나무숲과 타다라 나무숲과 나다(那多) 나무숲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고, 사이에 빈 땅이 있으며, 푸른 풀들이 자라나 있다.
다음에 남자라는 이름의 나무숲, 여자라는 이름의 나무숲이 있고, 산타나(刪陀那)숲과 진타나(眞陀那)숲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고,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019_0266_a_14L尼民陁羅毘那耶迦二山之閒闊一千二百由周帀無量四種雜華乃至諸妙香遍覆諸水毘那耶迦山外有山斫迦羅隋言輪圓卽是鐵圍山也高三百由旬上闊亦爾端嚴可愛乃至瑪瑙等七寶所毘那耶迦及斫迦羅二山之閒六百由旬周帀無量四種雜花及諸妙香物遍覆於水去斫迦羅山其閒不遠亦有空地靑草遍布卽是大海於大海北有大樹王名曰閻浮樹周圍有七由旬根下入地二十一由旬高百由旬乃至枝葉四面垂覆五十由旬邊有空地靑草遍布次有菴婆羅樹林閻浮樹林多羅樹林那多樹亦各縱廣五十由旬閒有空地諸靑草次有男名樹林女名樹林陁那林眞陁那林亦各縱廣五十由邊有空地靑草彌覆
다음에 하리륵과(呵梨勒果)숲ㆍ비혜륵과(鞞醯勒果)숲ㆍ아마륵과(阿摩勒果)숲ㆍ암파라다가과(菴婆羅多迦果)숲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고,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고,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다음에 가수라(可殊羅) 나무숲ㆍ비라과(毘羅果)숲ㆍ파나파과(婆那婆果)숲ㆍ석류과(石榴果)숲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고,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다음에 오발(烏勃) 나무숲과 내(㮈) 나무숲과 감자(甘蔗)숲과 가는 대숲[細竹]과 큰 대숲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고,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다음에 있는 적림(荻林)ㆍ위림(葦林)ㆍ할라림(割羅林)ㆍ대할라림(大割羅林)과 가사문타림(迦奢文陀林)이 있는데,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고,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다음에 있는 아제목다가화림(阿提目多迦華林)과 첨파화림(瞻波華林)과 파타라화림(波吒羅華林)과 장미화림(薔薇華林)도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가장자리에 빈 땅이 있는데, 푸른 풀이 가득 덮여 있다.
019_0266_b_09L次有呵梨勒果林鞞醯勒果林阿摩勒果林菴婆羅多迦果林亦各縱廣五十由旬有空地靑草彌覆次有可殊羅樹林毘羅果林婆那婆果林石榴果林各縱廣五十由旬邊有空地靑草彌次有烏勃樹林柰樹林甘蔗林竹林大竹林亦各縱廣五十由旬有空地靑草彌覆次有荻林葦林羅林大割羅林迦奢文陁林亦各縱廣五十由旬邊有空地靑草彌覆有阿提目多迦華林瞻波華林波咤羅華林薔薇華林亦各縱廣五十由邊有空地靑草遍覆
019_0266_c_01L다시 못이 있는데,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이 못 위를 가득 덮고 있다.
다시 못이 있는데 독사가 가득 차 있고, 또한 각각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사이에 빈 땅이 있는데, 푸른 풀이 두루 덮고 있다.
다시 다음에 바다가 있는데, 이름이 오선나가(烏禪那迦)이다. 너비가 12유순이며, 그 물은 맑고 시원하며 맛은 아주 달며 맛나고, 가볍고 부드러우며 깨끗하다. 일곱 겹의 섬돌에는 일곱 가지 보석이 뒤섞여 있고,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있으며, 밖에는 일곱 겹으로 줄지어 선 다라 나무들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참으로 묘하고 단정하면서도 화려하며,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다. 사방에 두루 여러 계단길이 있는데, 모두 다 단정하고 엄숙하며, 역시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ㆍ마노 등이 합해져서 이루어졌다.
다시 한량없는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이 두루 물 위를 덮고 있는데, 그 꽃이 불[火]색이면 곧 불빛을 나타내며, 금색이 있는 것은 곧 금빛을 나타내며, 푸른색이 있는 것은 곧 푸른 빛을 나타내며, 붉은색이 있는 것은 곧 붉은 빛을 나타내며, 흰색이 있는 것은 흰 빛을 나타내며, 파무타색(婆無陀色)은 파무타 빛을 나타내고 있다. 꽃은 수레바퀴와 같고 뿌리는 수레축과 같으며, 뿌리에서는 즙이 나오는데, 그 색은 희기가 마치 우유와 같고 맛은 달기가 꿀과 같다.
019_0266_b_22L復有諸池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彌覆池上復有諸池毒蛇充滿亦各縱廣五十由旬閒有空地草遍覆次復有海名烏禪那迦闊十二由旬其水淸冷味甚甘美輕軟澄七重砌壘七寶閒錯七重欄楯重鈴網外有七重多羅行樹周帀圍殊妙端嚴以瑪瑙等七寶莊飾遍四方有諸階道悉皆端嚴亦以金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等之所合成復有無量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遍覆水上其華火色卽現火光有金色者卽現金光有靑色者卽現靑光有赤色者卽現赤光有白色者卽現白光婆無陁色現婆無陁光華如車輪根如車其根出汁色白如乳味甘若蜜
019_0267_a_01L비구들아, 오선나가 바다에는 전륜성왕이 다니는 길이 있는데, 역시 너비가 12유순이다. 염부제 안에서 전륜성왕이 세상에 출현할 때에는 이 안의 바다 길이 저절로 솟아나오는데 물의 높이와 수평이 된다.
비구들아, 다음 오선나가 바다에 산이 있는데, 오승가라(烏承伽羅)라고 한다. 비구들아, 이 오승가라산은 장엄하고 단정하여 참으로 미묘하며 볼 만 하며, 온갖 나무와 온갖 잎과 온갖 꽃과 온갖 과일과 온갖 향이 있고, 갖가지 풀과 온갖 날짐승과 길짐승으로서 그저 이 세간에서 나는 물건이라면 이 산 속에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다. 비구들아, 오승가라산은 이렇게 단정하며 매우 미묘하여 볼 만하니, 너희들은 이것을 잘 지녀야 하리라.
019_0266_c_16L諸比丘烏禪那迦海中有轉輪聖王所行之道亦闊十二由旬閻浮提中轉輪聖王出現世時此中海道自然涌現與水齊平諸比丘次烏禪那迦海有山名曰烏承伽羅諸比丘此烏承伽羅山莊嚴端正殊妙可觀一切一切葉一切華一切果一切香種種種種鳥獸但是世閒所出之物彼山中無不悉備諸比丘烏承伽羅如是端正殊妙可觀汝等應當善持此也
비구들아, 다음에 다시 산이 있는데 금협(金脇)이라 이름한다. 이 산 중에는 8만의 굴이 있는데, 8만의 용과 코끼리가 그 속에 살고 있으며, 모두 흰 빛깔인 것이 마치 구모타꽃과 같으며 7지(支 : 다리가 넷, 코 하나, 어금니 둘을 합한 일곱 개의 신체를 말함)로 땅을 떠받치고 있다.
모두 다 신통이 있어서 공중을 날아다니며, 그 정수리의 붉은 빛깔은 마치 인다라구파가(因陀羅瞿波迦) 벌레와 같고, 여섯 어금니를 두루 갖추었는데 그 어금니는 가늘고 날카로우며, 여러 빛깔의 금(金)이 박아 넣어졌다.
비구들아, 금협산을 지나면 곧 설산(雪山)이 있는데, 높이가 5백 유순이요, 너비와 두께 또한 그와 같다. 그 산은 참으로 미묘하며, 금ㆍ은ㆍ유리ㆍ파리의 네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산의 사면에는 네 개의 금 봉우리가 있고, 산 밖으로 쑥 솟아나왔는데, 각각 높이는 20유순이다. 다시 높은 봉우리가 있으니, 여러 가지 보석이 뒤섞여 있고, 아득히 우뚝 솟아 높이가 백 유순이다.
019_0267_a_04L諸比丘次復有山名曰金脅於此山有八萬窟有八萬龍象在中居住竝皆白色如拘牟陁華七支拄地有神通乘空而行其頂赤色似因陁羅瞿波迦虫六牙具足其牙纖利色金塡諸比丘過金脅已卽有雪山高五百由旬闊厚亦爾其山殊妙寶所成謂金琉璃頗梨其山四面有四金峯挺出山外各高二十由旬復有高峯衆寶閒雜迥然秀出高百由旬
019_0267_b_01L산꼭대기에 못이 있는데 아뇩달다(阿耨達多)라고 한다. 아뇩달다용왕이 그 안에 살고 있는데, 그 못의 세로와 너비는 50유순이며, 그 물은 시원하고 차며, 맛은 달고 아름다우며, 깨끗하며 흐리지 않다. 일곱 겹의 벽돌성과 일곱 겹의 얄팍하게 늘여 만든 섬돌과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단정하고 엄숙하고 참으로 미묘하며, 나아가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다시 여러 가지 꽃이 있으니, 우발라꽃과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인데, 그 꽃들은 파랗고, 노랗고, 붉고, 흰 온갖 색이 섞여 있고, 크기는 수레바퀴만 하다. 아래는 연뿌리가 있는데 퉁퉁하기가 마치 수레 굴대 같고, 즙은 우유처럼 희며, 그 맛은 마치 꿀처럼 달다.
비구들아, 이 아뇩달다못에는 아뇩달다용왕의 궁전이 있다. 그 궁전의 다섯 기둥은 참으로 미묘하고 사랑스러우며, 아뇩달다용왕과 그 권속들은 그 가운데서 노닐며, 하늘의 다섯 가지 욕락(欲樂)을 누리며 마음껏 쾌락을 즐기고 있다.
019_0267_a_15L於山頂上有池名曰阿耨達多阿耨達多龍王在中居住其池縱廣五十由旬其水涼冷味甘輕美淸淨不濁七重塼壘七重板砌七重欄楯七重鈴網周帀圍遶端嚴殊妙乃至瑪瑙等七寶所成復有諸華優鉢羅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其華雜色大如車輪下有藕根麤如車軸汁白如乳味甘如蜜諸比丘此阿耨達多池中有阿耨達多龍王宮其殿五柱殊妙可愛阿耨達多龍王與其眷屬在中遊戲受天五欲快樂自在
비구들아, 아뇩달다못 동쪽에는 항가하(恒伽河)가 있는데, 코끼리의 입으로부터 나와서 5백 하천과 함께 동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아뇩달다못 남쪽에는 신두하(辛頭河)가 있는데, 소의 입으로부터 나와서 5백 하천과 함께 남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아뇩달다못 서쪽에는 박차하(薄叉河)가 있는데, 말의 입으로부터 나와서 5백 하천과 함께 서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아뇩달다못 북쪽에는 사타하(斯陀河)가 있는데, 사자의 입으로부터 나와서 5백 하천과 함께 북쪽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019_0267_b_04L諸比丘阿耨達多池東有恒伽河從象口出與五百河俱流入東海阿耨達多池南有辛頭河從牛口出與五百河俱流入南海耨達多池西有薄叉河從馬口出五百河俱流入西海阿耨達多池北有斯陁河從師子口出與五百河俱流入北海
019_0267_c_01L비구들아, 무슨 인연으로 이 용을 아뇩달다라고 하는가 하면, 비구들아, 세 가지의 인연이 있어서이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비구들아, 염부주 안에는 여러 용들이 살고 있지만, 오직 아뇩달다용왕만을 제외한 그 나머지 용들은 쾌락을 누릴 때에 곧 뜨거운 모래가 그 몸 위에 떨어진다. 용들은 이때 바로 하늘의 형상을 잃고 뱀 형상을 나타낸다. 모든 용들은 때때로 이러한 고통을 받지만 아뇩달다용왕만은 이런 일이 없으니, 이것이 첫 번째 인연이다.
비구들아, 염부주에서 아뇩달다용왕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모든 용들은 놀고 즐길 때에 뜨거운 바람이 일어나서 그 몸에 불어온다. 그리하여 바로 하늘의 형상을 잃고 뱀 형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고통이 있지만 아뇩달다용왕에게만은 이와 같은 일이 없으니, 이것이 두 번째 인연이다.
비구들아, 염부주의 모든 용들은 놀고 즐길 때에, 금시조왕이 그 궁중에 날아 들어온다. 용들은 금시조를 보자 곧 두려운 생각을 일으키며, 두려워하기 때문에 바로 하늘의 형상을 잃고 뱀 형상을 나타내며, 온갖 고통을 모조리 받지만 아뇩달다용왕만은 이와 같은 고통이 없다. 만약 금시조왕이 ‘나는 이제 아뇩달다용왕의 궁전 안으로 들어가고 싶다’고 생각하면, 그 금시조는 과보가 하천하기 때문에 스스로 고통을 받으며, 영원히 아뇩달다용왕의 궁전에는 들어가지 못한다. 비구들아, 이것이 바로 세 번째 인연이니, 그러므로 아뇩달다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019_0267_b_11L諸比丘以何因緣此龍名爲阿耨達多諸比丘有三因緣何等爲三諸比丘閻浮洲中有諸龍住處唯除阿耨達多龍王其餘諸龍受快樂時便有熱沙墮其身上諸龍爾時卽失天形現蛇形相諸龍時時受斯等苦阿耨達多龍王無如此事是名第一因緣諸比丘閻浮洲中除阿耨達多龍王其餘諸龍遊戲樂時有熱風來吹其身體卽失天形現蛇形相有如是苦阿耨達多龍王無如此事是名第二因緣諸比丘閻浮洲中有諸龍遊戲樂時金翅鳥王飛入其諸龍旣見金翅鳥王心生恐怖恐怖故卽失天形現蛇形相具受衆阿耨達多龍王無如此事若金翅鳥王生如是心我今欲入阿耨達多龍王宮內彼金翅鳥以報劣故卽自受苦永不能入阿耨達多龍王宮殿諸比丘此是第三因緣是故說名阿耨達多
비구들아, 설산의 남쪽 멀지 않은 곳에 성이 있는데, 비사리(毘舍離)라 한다. 비사리의 북쪽에는 7흑산(七黑山)이 있고, 7흑산 북쪽에는 향산(香山)이 있다. 향산에는 한량없고 가없는 긴나라(緊那羅)가 살고 있는데, 언제나 노래와 춤과 음악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그 산에는 여러 가지 나무들이 많이 있고, 그 나무들은 각기 온갖 향기를 풍기며 커다란 위력과 덕을 지닌 신이 살고 있는 곳이다.
비구들아, 그 향산 가운데는 두 개의 보석 굴이 있으니, 첫째 이름은 잡색(雜色)이요, 둘째 이름은 선잡색(善雜色)인데, 참으로 미묘하여 사랑스러우며, ……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각각 모두 세로와 너비가 50유순이며, 부드럽고 매끄럽고 윤이 나서 손을 대어 보면 마치 가전련제가(迦旃連提迦) 옷과 같다.
비구들아, 무비유(無比喩)라는 건달바왕이 한 사람 있는데 5백 긴나라 여인과 함께 잡색과 선잡색의 두 굴에서 살면서 다섯 가지 욕락을 고루 누리며, 가거나 서거나 앉거나 일어서는 모든 순간에도 즐기고 유희하며 지낸다.
019_0267_c_08L諸比丘雪山南面不遠有城名毘舍毘舍離北有七黑山七黑山北香山於香山中有無量無邊緊那羅常有歌舞音樂之聲其山多有種種諸樹其樹各出種種香熏大威德神之所居止諸比丘彼香山中二寶窟一名雜色二名善雜色殊妙可愛乃至瑪瑙七寶所成各皆縱廣五十由旬柔軟滑澤觸之猶若迦旃連提迦衣諸比丘有一乾闥婆王無比喩與五百緊那羅女在雜色雜色二窟中住具受五欲娛樂遊戲
019_0268_a_01L비구들아, 두 굴의 북쪽에 선주(善住)라는 큰 사라(娑羅) 나무 왕이 있으며 따로 8천의 사라 나무숲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다. 그 선주 사라숲 아래 큰 용 같은 코끼리[龍象]가 한 마리 있는데 역시 선주(善住)라고 이름하며, 그 가운데서 노닐거나 머물고 있다. 빛깔은 매우 곱고 희며 마치 구모타꽃과 같고, 7지(支)로 땅을 버티고 있으며, 허공을 타고 날아다닌다. 정수리의 뼈가 높이 솟았으니 마치 인다라구파가(因陀羅瞿波迦) 벌레와 같으며, 그 머리 빛깔은 붉고, 여섯 어금니를 갖추었는데, 그 어금니는 가늘고 날카로우며, 금 모래로 섞어 박아 넣었다.
다시 8천의 다른 큰 코끼리들이 있어 이들을 권속으로 삼고 있다. 그들의 빛깔은 모두 희며 마치 구모타꽃과 같고, 7지로 땅을 버티고 있으며 …… 모두 금으로 그 어금니를 박아 넣었다.
선주 사라숲 북쪽에 선주 큰 코끼리 왕을 위하여 못이 한 곳 생겨났는데, 만타길니(曼陀吉尼)라 하며, 세로와 너비는 똑같이 50유순이다. 그 물은 시원하고 차며 달고 맛나며 맑디 맑아 그 어떤 혼탁한 것도 없다. 그리고 연 뿌리의 크기는 마치 수레의 굴대와 같고, 뿌리를 가르면 즙이 나오는데, 빛깔은 희기가 우유와 같으며 그 맛은 달기가 마치 꿀과 같다.
비구들아, 만타길니못 곁 둘레에 다시 8천의 못들이 사면을 에워싸고 있는데, 하나하나가 모두 만타길니못과 같아서 차이가 없다.
019_0267_c_21L諸比丘二窟之北有大娑羅樹王名爲善住別有八千娑羅樹林周帀圍遶彼善住娑羅林下有一龍亦名善住遊止其中色甚鮮白拘牟陁華七支柱地騰空而行頂骨隆高如因陁羅瞿波迦虫其頭赤色具足六牙其牙纖利金沙廁塡復有八千諸餘龍象以爲眷屬其色悉白如拘牟陁華七支柱地乃至悉以金塡其牙於善住娑羅林北爲善住大龍象王出生一池名曼陁吉尼縱廣正等五十由旬其水涼冷甘美澄淸無諸濁穢乃至藕根大如車軸破之汁出色白如乳味甘若蜜諸比丘陁吉尼池側周帀更有八千諸池面圍遶一一皆如曼陁吉尼無有異
019_0268_b_01L비구들아, 그 선주 코끼리 왕이 혹시 만타길니못에 들어가서 놀고 싶은 마음이 들 때에는 곧 8천 코끼리 권속들을 생각하며, 이때 그 8천 코끼리들도 ‘선주 코끼리 왕께서 마음으로 생각하시니, 우리들은 지금 선주왕에게 가야겠구나’라는 마음을 일으키고서 선주 코끼리 왕 앞에 나타나 머리를 숙이고 선다.
그때 여러 코끼리들이 모인 것을 안 선주 큰 코끼리 왕은 그들을 이끌고 만타길니못으로 향하는데, 8천의 코끼리들이 앞뒤에서 에워싸고 따르는 가운데 선주 코끼리 왕은 조용히 편안한 걸음을 옮기며 못으로 향한다.
그 가운데 어떤 코끼리는 흰 일산을 가지고 왕의 위를 덮어 주기도 하고, 코로 흰 마니(摩尼) 총채를 가지고 그 등을 털어 주기도 하고, 여러 음악신들은 노래하고 춤추며 소리를 하면서 앞서서 인도한다.
그때 선주 큰 코끼리 왕은 도착하자마자 곧 만타길니못에 들어가 물 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하며, 목욕하면서 즐겁게 노니는데, 마음껏 흡족하게 온갖 쾌락을 누린다.
그 중에 어느 코끼리는 그의 코를 씻어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어금니를 닦아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귀를 씻어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머리에 물을 붓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등에 물을 뿌리기도 한다. 어느 코끼리는 그의 갈빗대를 문지르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넓적다리를 씻어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발을 씻어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그의 꼬리를 씻기도 한다. 어느 코끼리는 연의 뿌리를 뽑아 깨끗이 씻어서 코로 집어 그의 입에 넣어 주기도 하고, 어느 코끼리는 우발라꽃, 발두마꽃과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을 뽑아서 선주 코끼리 왕의 머리에 매어 주기도 한다.
019_0268_a_14L諸比丘其善住龍象王意若欲入曼陁吉尼池中遊戲之時卽念八千龍象眷屬彼八千諸龍象等亦起是心善住象王心念我等今者當往善住王處諸象到已皆在善住龍象王前低頭而立爾時善住大龍象王知諸象集卽便發引向曼陁吉尼池八千龍象前後圍遶隨從而行善住象王從容安步諸龍象中有持白蓋覆其上者有以鼻持白摩尼拂拂其背者有諸樂神歌舞作倡在前引導爾時善住大龍象王到已便入曼陁吉尼池出沒洗浴歡娛遊戲從心適受諸快樂中有龍象洗其鼻者有龍象磨其牙者或有龍象揩其耳或有龍象灌其頭者或有龍象淋其背者或有龍象摩其脅者或有龍象洗其髀者或有龍象洗其足者有龍象浴其尾者或有龍象拔取藕根淨洗鼻擎內其口者或有龍象優鉢羅華鉢頭摩華拘牟陁華奔茶利迦華等繫於善住象王頭者
019_0268_c_01L그때 선주 큰 코끼리 왕은 만다길니 못에서 뜻대로 목욕하고 유희하고 즐기면서 자재롭게 쾌락을 누리며 코끼리들이 바친 연의 뿌리를 먹고, 머리 에는 우발라꽃 등의 여러 가지 꽃으로 장식한다. 이런 일을 마치면 그 못에서 나와 언덕에 올라와 머문다.
그런 뒤에야 8천의 코끼리들은 흩어져서 8천의 못 속에 들어가 뜻대로 목욕한다. 즐겁게 노닐면서 마음껏 쾌락을 누린 뒤에 각기 연뿌리를 먹는데, 다 먹고 난 뒤에는 역시 우발라 등의 여러 가지 꽃을 그 머리 위에 매어 스스로를 꾸미고, 다시 함께 선주왕에게 모여 사면에서 왕을 에워싸고 공경하며 머문다.
그때 선주 큰 코끼리 왕은 그 8천의 코끼리들과 함께 앞뒤에서 인도하고 따르면서 선주 사라 나무숲으로 돌아간다. 코끼리 왕이 갈 때에 여러 코끼리들은 흰 일산을 잡기도 하고, 혹은 흰 총채를 들고서 왕을 따르는데, 앞에서와 같으며, 음악신들이 풍악을 잡고 인도하는 것도 그와 같다.
그때 선주 큰 코끼리왕은 선주 사라의 큰숲에 이르면, 나무 아래 있으면서 뜻대로 누웠다 일어났다 하며 모든 안락을 누린다. 8천의 코끼리들도 각각 그 8천의 나무 아래로 나아가 걸어다니거나 머무르거나 눕거나 일어서면서 자재롭게 편안히 즐긴다.
그숲 안에 사라 나무가 있는데, 어떤 것은 그 밑둥의 둘레가 6심(尋:여덟 자의 길이)이기도 하고, 어느 사라 나무는 그 밑둥의 둘레가 7심, 8심, 9심, 10심이 되기도 한다. 또 어느 사라 나무는 그 밑둥의 둘레가 12심에 달하기도 하지만 오직 이 선주 사라 나무 왕의 그 밑둥 둘레만은 16심에 달한다.
그 8천 사라 나무숲 속에 만약 시들어서 누렇게 되거나 떨어진 잎이 있으면, 곧 바람이 불어와서 바깥으로 내보내어 그 숲을 더럽히지 않는다. 8천 코끼리들의 온갖 똥오줌이나 오물들은 여러 야차들이 따르면서 쓸어서 던져 버린다.
019_0268_b_12L爾時善住大龍象王於曼陁吉尼池恣意洗浴遊戲歡娛自在受樂諸龍象所奉藕根頭上莊飾優鉢羅等種種雜華是事訖已從彼池出岸停住八千龍象然後散入八千池隨意洗浴遊戲自在受快樂已食藕根食竟亦以優鉢羅等種種雜繫其頭上用自莊嚴復共集會善住王所四面圍遶恭敬而住爾時住大龍象王與彼八千諸龍象等後導從還詣善住娑羅樹林所象王行時諸龍象等或擎白蓋或執白拂隨從如前諸神作樂導引亦爾爾時善住大龍象王到善住娑羅大林已在樹王下隨意臥起受諸安樂八千龍象亦各詣彼八千樹下臥起自在安樂於彼林中有娑羅樹其本或復周圍六尋有娑羅樹其本或復周圍七尋八尋九尋十尋有娑羅樹其本周圍十二尋者唯此善住娑羅樹王其本周圍十有六尋彼八千娑羅樹林之中若有萎黃及所落卽有風來吹令外出不穢其林千龍象所有便利穢污之物有諸夜隨掃擲棄
비구들아, 염부주에 전륜성왕이 세상에 출현할 때는 8천의 코끼리 중에서 가장 작은 한 놈이 날마다 새벽이면 윤왕 앞에 이르러서 이바지하고 섬긴다. 잘 길들인 상보[調善象寶]라는 것은 이로 인하여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그 선주 큰 코끼리 왕은 매달 15일 새벽마다 천제석에게 나아가 그 앞에 받들고 심부름 한다.
비구들아, 선주 코끼리 왕에게는 이런 신통이 있고 이런 위덕이 있으니 비록 코끼리라는 축생 가운데서 태어났다 하더라도, 이 코끼리들이야말로 이와 같은 큰 위엄과 신력이 있는 것이다. 너희 비구들은 생각하고 지녀야만 한다.”
019_0268_c_14L諸比丘閻浮提中有轉輪聖王出現世時八千象中一最小者日日晨旦至輪王前供給承事調善象寶因此得名彼善住大龍象王每十五日晨往詣天帝釋所在前住立承奉驅使諸比丘善住象王有此神通有此威德雖復生於象畜之中然是龍輩乃有如是大威神力汝等比丘應當念持

2. 울단월주품(鬱單越洲品) ①
019_0268_c_23L起世經鬱單越洲品第二之一
019_0269_a_01L
“비구들아, 울단월주에는 한량없는 산이 있는데, 그 여러 산에는 갖가지 나무들이 있다. 그 나무들은 울창하며 온갖 향기를 내뿜는데, 그 향기는 널리 풍겨서 그 월단월주에 가득 퍼진다.
여러 가지 풀들이 나는데 모두가 감청색이며, 오른편으로 돌아 구부러진 것은 마치 공작의 털과 같고, 향기는 마치 파사가(婆師迦)꽃과 같으며, 닿는 촉감은 부드럽기가 마치 가전연제가옷과 같다. 길이는 네 개의 손가락과 같고 발을 내리면 쓰러지고 발을 들면 도로 올라온다.
별도로 온갖 색깔의 과일 나무가 있는데, 나무에는 갖가지 줄기ㆍ잎ㆍ꽃과 과일이 있으며, 갖가지 향기를 풍기는데, 그 향기는 널리 퍼진다. 여러 새들이 각각 저절로 우짖는데, 그 소리는 온화하고 아름다우며, 그 음은 미묘하다.
그 여러 산에는 온갖 하천이 있는데, 백 개의 길로 흘러 흩어지되 평평하고 순조롭게 아래를 향하여 점점 편안히 가느니라. 그 흐름은 느리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으며 파도가 치지 않고, 그 언덕은 깊지 않고 편편하고 얕아 건너기 쉬우며, 그 물은 맑디 맑다. 그리고 온갖 꽃이 물 위를 덮었는데, 너비가 반 유순인데 물이 꽉 차서 두루 흐른다.
그 하천들의 양 둑에는 온갖 나무의 숲이 있어서 물을 따라서 자라 있는데, 가지와 잎이 그 물을 덮고 있다. 갖가지 향꽃과 갖가지 열매가 달렸고, 푸른 풀이 가득히 깔렸으며, 뭇 새들은 서로 화답하며 지저귄다. 또 그 하천 둑에는 여러 가지의 미묘한 배가 있는데, 온갖 색으로 꾸며서 참으로 미묘하고 사랑스러우며, 한결같이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ㆍ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019_0269_a_01L諸比丘鬱單越洲有無量山彼諸山有種種樹其樹鬱茂出種種香香普熏遍彼洲處生種種草皆紺靑右旋宛轉如孔雀毛香氣猶如婆師迦華觸之柔軟如迦旃連提迦衣長齊四指下足則偃擧足還復別有種種雜色果樹樹有種種莖葉華果出種種香其香普熏種種諸鳥各各自鳴其聲和雅其音微妙彼諸山中有種種河百道流散平順向下漸漸安行不緩不急無有波浪其岸不深平淺易涉其水淸澄衆華覆上闊半由旬水流遍滿諸河兩岸有種種林隨水而生枝葉映覆種種香華種種雜果靑草彌布衆鳥和鳴又彼河岸有諸妙舩雜色莊嚴殊妙可愛竝是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等寶所成
019_0269_b_01L비구들아, 울단월주는 그 땅이 편편하고, 반듯하며, 가시들이 없고 땅이 깊숙하거나 빽빽한 숲이 없으며, 구덩이와 으슥한 뒷간에 더럽고 부정한 것이 없으며, 조약돌과 기와 부스러기도 없고, 순전히 금과 은만이 있으며,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으며, 시절이 조화되어 있으며, 땅은 언제나 윤택하고 푸른 풀이 가득히 덮여 있다. 그 여러 숲과 나무들의 가지와 잎은 늘 무성하여 꽃과 열매가 열려 있다.
비구들아, 울단월주에 나무 숲이 있는데 안주(安住)라고 한다. 그 나무는 모두 다 6구로사(拘盧奢)[1구로사는 5리이다.]의 높이인데, 잎은 빽빽하여 겹으로 피며, 차례로 서로 닿아 있는 것이 마치 풀로 덮은 집과 같아 빗방울이 새지 않아 그곳의 사람들은 나무 아래서 산다.
여러 향 나무들도 있는데, 역시 높이는 6구로사이며, 어떤 것은 높이가 5구로사인 것도 있고, 4, 3, 2 1구로사인 것도 있으며, 그 중에 가장 작은 나무의 높이도 반 구로사이다. 나무마다 모두 온갖 가지와 잎과 꽃과 열매가 있으며, 이 여러 나무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여러 가지의 향기가 흘러 나온다.
다시 겁파사(劫波娑) 나무가 있는데, 역시 높이는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가장 작은 나무가 반 구로사인데, 나무마다 온갖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고, 그 열매의 가에서는 저절로 여러 가지 옷이 나와서 나무 사이에 걸려 있다.
다시 여러 가지 영락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도 높이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인 것이 있으며, 이렇게 하여 가장 작은 것이 반 구로사이다. 나무마다 온갖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으며, 그 열매의 가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갖가지 영락이 흘러 나와서 매달려 드리워져 있다.
019_0269_a_19L諸比丘鬱單越洲其地平正無諸荊深邃稠林坑坎屛廁糞穢不淨石瓦礫純是金銀不寒不熱時節調地常潤澤靑草彌覆諸雜林樹葉恒榮華果成就諸比丘鬱單越洲復有樹林名曰安住其樹皆高六拘盧奢一拘盧奢五里葉密重布次第相接草覆屋雨滴不漏彼諸人等樹下居有諸香樹亦高六拘盧奢或復有高五拘盧奢四三二一拘盧奢者最小樹高半拘盧奢悉有種種枝葉華果此諸樹上隨心流出種種香氣復有劫波娑樹亦高六拘盧奢乃至一拘盧奢如是最小半拘盧奢悉有種種枝葉華果從其果邊自然而出種種雜衣懸置樹閒復有種種瓔珞之樹其樹亦高六拘盧奢乃至五一拘盧奢者如是最小半拘盧奢悉有種種枝葉華果其果邊隨心流出種種瓔珞懸垂而
019_0269_c_01L다시 다리[鬘:머리 장식물 또는 풍부하게 보이려고 얹은 가발]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도 높이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인 것이 있으며, 이렇게 하여 가장 작은 것이 반 구로사이다. 또한 온갖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으며, 그 열매의 가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갖가지 다리의 모양이 나와 나무에 걸려 있다.
다시 그릇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도 높이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인 것이 있으며, 이렇게 하여 가장 작은 것이 반 구로사이다. 또한 여러 가지의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으며, 그 열매의 가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갖가지의 그릇 형상이 나와 나무에 달려 있다.
다시 여러 가지 과일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도 높이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인 것이 있으며, 이렇게 하여 가장 작은 것이 반 구로사이다. 나무마다 모두 온갖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으며, 그 나무 가지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여러 가지의 과일이 나와 나무 위에 있다.
또 음악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도 높이 6구로사에서 5, 4, 3, 2, 1구로사까지인 것이 있으며, 이렇게 하여 가장 작은 것이 반 구로사이다. 역시 온갖 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있으며, 그 열매의 가에서는 마음을 따라서 갖가지 악기가 나와 나무 사이에 달려 있다.
그 땅에는 또 갈거나 심지도 않아도 저절로 나는 멥쌀이 있는데, 깨끗하고 희고 겨가 없다. 익혀서 먹으려 할 때는 따로 돈지(敦持)라는 열매들이 있어서 쇠가마에 넣고 불구슬[火珠]로 태우는데, 장작이나 숯을 빌리지 않아도 저절로 불꽃이 나와서 원하는 대로 음식들을 익히고, 음식이 다 익으면 구슬의 불꽃도 사라진다.
019_0269_b_17L復有鬘樹其樹亦高六拘盧奢至五一拘盧奢者如是最小半拘盧奢亦有種種枝葉華果從其果邊隨心而出種種鬘形懸著於樹復有器樹其樹亦高六拘盧奢乃至一拘盧奢者如是最小半拘盧奢亦有種種枝葉花果從其果隨心而出種種器形懸著於樹有種種衆雜果樹其樹亦高六拘盧乃至五一拘盧奢如是最小半拘盧奢皆有種種枝葉華果其樹枝隨心而出種種衆果在於樹又有樂樹其樹亦高六拘盧奢至五一拘盧奢者如是最小半拘盧奢亦有種種枝葉花果從其果邊隨心而出種種樂器懸在樹閒其地又有自然秔米不藉耕種鮮潔白淨無有皮 ((米*會)) 欲熟食時別有諸果名曰敦持用作鎗釜燒以火珠不假薪炭自然出焰隨意所欲熟諸飮食食旣熟已珠焰乃息
019_0270_a_01L비구들아, 울단월주의 둘레 사면에 네 개의 못이 있는데, 그 못의 이름은 모두 아뇩달다(阿耨達多)이고, 한결같이 세로와 너비가 각기 50유순이다. 그 물은 차고 시원하며 부드럽고 달며 가볍고, 향기롭고 깨끗하여 흐리지 않다. 또한 일곱 겹의 벽돌 성과 일곱 겹의 얄팍하게 늘여 만든 섬돌과 일곱 겹의 난간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 빙둘러서 매달려 드리워져 있다.
다시 일곱 겹으로 줄 지어 선 다라 나무가 있고, 사면 둘레는 여러 가지의 색을 띠어 사랑스럽고,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ㆍ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못 사방에 각각 계단 길이 있으며, 하나하나의 계단 길도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져서 여러 빛깔이 화려하게 섞여 있다.
다시 여러 가지 꽃들이 있으니, 우발라꽃과 발두마꽃, 구모타꽃과 분다리가꽃 등의 푸르고 노랗고 붉고 흰색과 그리고 옥색의 옥돌 빛깔의 꽃들이 피어 있으며, 꽃 하나하나의 양은 크기가 마치 수레바퀴와 같으며, 진한 향기를 연신 풍기니 미묘하기가 으뜸간다.
다시 연꽃의 뿌리들이 있는데 크기는 수레바퀴와 같고, 깨뜨려서 즙을 내면 그 빛깔은 마치 우유와 같으며, 먹어 보면 감미로우니, 마치 꿀과 같은 맛이다.
019_0269_c_14L諸比丘鬱單越洲周帀四面有四池其池皆名阿耨達多竝各縱廣五十由旬其水涼冷柔軟甘輕香潔不七重塼壘七重板砌七重欄楯帀圍繞七重鈴網周帀懸垂復有七重多羅行樹四面周圍雜色可愛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等七寶所成於池四方各有階道一一階道亦七寶成雜色綺錯復有諸華鉢羅花鉢頭摩華拘牟陁花奔茶利迦花等靑黃赤白及縹碧色一一花量大如車輪香氣氛氳微妙最勝復有諸藕大如車軸破之汁出其色如乳食之甘美其味如蜜
비구들아, 아뇩달다못의 사면에 네 개의 큰 하천이 있는데, 너비는 1유순이다. 여러 가지 꽃이 가득히 덮여 있고, 그 물은 평탄하고 순조로우며 바르게 흘러서 굽이가 없다. 급하거나 느리지도 않고, 파도가 일거나 흐름이 세차게 흘러서 심하게 부딪치는 일도 없으며, 그 둑은 높지 않고 평평하고 얕아서 들어가기도 쉽다.
그 하천들의 양 둑에는 갖가지 숲이 있으며, 나뭇가지가 서로 엇갈려 뒤덮고 있으며, 온갖 미묘한 향기를 내고 있다. 갖가지 풀이 그 곁에 나 있는데, 빛깔은 푸르고 부드러우며, 오른쪽으로 완만하게 돌고 있는데 …… (설명을 생략함) …… 높이는 손가락 네 개 높이와 같고, 발을 내리면 따라 내려가고 발을 들면 예전대로 올라온다. 또한 뭇 새들도 있어서 온갖 소리로 지저귄다.
하천 양 둑에는 또 배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빛깔이 좋아할 만하며, 차거와 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을 합해서 만들었으며, 그 촉감은 부드러우니, 마치 가전련제가 옷과 같다.
019_0270_a_05L諸比丘阿耨達多池之四面有四大闊一由旬雜華彌覆其水平順流無曲不急不緩無有波浪奔逸衝其岸不高平淺易入諸河兩岸種種林交柯映覆出衆妙香有種種草生於其側色靑柔軟宛轉右旋說乃至高齊四指下足隨下擧足還亦有諸鳥出種種聲於河兩岸又有諸舩雜色可樂乃至車璖瑪瑙等七寶之所合成觸之柔軟如迦旃鄰提迦衣
019_0270_b_01L비구들아, 울단월주에는 언제나 밤중에 아뇩달다의 네 개 못으로부터 크고 빽빽한 구름이 일어나 수면에 두루 깔리며 울단월주와 모든 산과 바다를 모조리 덮는다. 그 후에야 비가 내리는데, 8공덕수(功德水)이다. 소의 젖을 끌어당기는 시간만큼의 동안에 내린 빗물은 손가락 네 개의 깊이가 되는데, 비가 내리는 바로 그곳은 곧 땅 속에 가라앉아서 곁으로 흐르지도 않는다. 그리하여 다시 한밤중에 비가 그치고 구름은 사라져 허공이 깨끗해 진다. 바다로부터 바람이 일어나 이 단 못[甘澤]에 불면, 맑고 시원하고 부드러우면서 그 바람을 맞으면 편안해지고 즐거워진다. 그 울단월주를 적셔서 널리 알맞게 기름지고 더욱 무성하게 만드니, 마치 솜씨 있는 다리장이[鬘師]나 다리장이의 제자가 다리를 만들어서 물을 흩뿌리면, 그 다리는 깨끗해져서 광택이 선명해지는 것과 같다.
비구들아, 울단월주의 그 땅이 언제나 윤이 나고 광택이 흐르며 비옥해지는 것도 그와 같아서, 항상 어떤 사람이 소(酥)와 기름을 바르는 것과 같다.
비구들아, 울단월주에 다시 못이 하나 있는데 선현(善現)이라 이름한다. 그 못의 세로와 너비는 1백 유순이며, 맑고 시원하고 부드러우며 깨끗하여 흐림이 없고, 일곱 가지 보석 벽돌과 섬돌을 갖추었으며, …… 연뿌리의 맛은 달기가 꿀과 같다.
비구들아, 선현못의 동쪽에 동산이 하나 있는데 이름 또한 선현이라고 한다. 그 동산의 세로와 너비는 1백 유순이고, 일곱 겹의 난간과 일곱 겹의 방울 달린 그물이며, 줄 지어 선 다라 나무도 일곱 겹으로 이루어져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여러 가지 빛깔은 좋아할 만하며, 모두 다 차거와 마노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하나하나 방면에 각각 여러 문이 있고, 하나의 문마다 모조리 적을 물리치는 것이 있는데, 여러 가지 빛깔은 좋아할 만하고, 역시 금ㆍ은ㆍ유리ㆍ산호ㆍ적주ㆍ차거ㆍ마노 등의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다.
019_0270_a_16L諸比丘鬱單越洲恒於半夜從阿耨達多四池之中起大密雲周帀遍布鬱單越洲及諸山海悉彌覆已然後乃雨八功德水如搆牛乳頃雨深四當下之處卽沒地中更不滂流於半夜雨止雲除虛空淸淨從海起吹此甘澤淸涼柔軟觸之安樂彼鬱單越洲普令調適肥膩滋濃巧鬘師及鬘師弟子作鬘旣成以水灑散彼鬘被灑光澤鮮明諸比丘單越洲其地恒潤悅澤光膩亦復如常如有人以酥油塗諸比丘鬱單越洲復有一池名曰善現其池縱廣一百由旬涼冷柔軟淸淨無濁七寶塼砌乃至藕根味甘如蜜諸比丘現池東復有一苑亦名善現其苑縱廣一百由旬七重欄楯七重鈴網羅行樹亦有七重周帀圍繞雜色可乃至悉是車璖瑪瑙七寶所成一方面各有諸門於一一門悉有卻雜色可樂亦是金琉璃珊瑚車璖瑪瑙等七寶所成
019_0270_c_01L비구들아, 그 선현 동산은 평평하고 바르고 단정하고 엄숙하며, 가시나 언덕, 구덩이, 조약돌, 기와 부스러기나 으슥한 뒷간 등의 여러 가지 더러운 물건들이 없으며, 오직 금이나 은과 같은 갖가지 기이한 보석만이 많이 있다. 계절은 고르고 온화하여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으며, 언제나 샘[泉]이 사면에 두루 차게 흘렀고, 나뭇잎은 무성하여 꽃과 열매가 열리며, 갖가지 향기가 있어서 바람 따라 자욱하다. 다시 여러 가지 기이한 종류의 새들이 있어서 항상 묘한 소리를 내는데 온화하고 맑고 청아하다.
풀이 있는데 푸른 빛깔을 띠었고, 오른편으로 구부러져 나 있는데 부드러우면서 가늘고 매끄러운 것이 마치 공작의 털과 같으며, 향기는 모두 바리사꽃과 같고, 그 족함은 마치 가전린제가(迦栴隣提迦) 옷과 같으며, 발로 밟으면 발을 따라 풀이 내려갔다 다시 솟아오른다.
다시 나무들이 있는데, 그 나무들은 각기 갖가지 뿌리ㆍ줄기ㆍ꽃ㆍ잎과 과일이 있고, 모두 여러 가지 향기를 내며 널리 그 땅에 풍긴다.
비구들아, 선현 동산 안에도 나무숲이 있는데 안주(安住)라 한다. 나무들은 한결같이 6구로사 높이이고, 잎은 빽빽하게 겹쳐서 펼쳐져 있으므로, 빗방울이 떨어지지 않으며, 다시 서로 연달아 이어져 있어 마치 풀로 덮은 집과 같아 사람들은 그 아래서 살고 머문다.
다시 향 나무ㆍ겁파사 나무ㆍ영락 나무ㆍ다리 나무ㆍ그릇 나무와 과일 나무가 있고, 또 저절로 나는 멥쌀과 익혀진 밥이 있는데 깨끗하고 미묘하다.
비구들아, 그 선현 동산에는 내 것이 없고 주인이 없으며 지키는 것도 없으니, 울단월 사람으로서 이 동산에 들어가서 마음껏 놀고 즐기며 온갖 쾌락을 누리고자 하면, 그 네 개의 문으로 뜻대로 나아가며, 그 동산에 들어간 뒤에 놀고 즐기며 목욕하고 마음껏 쾌락을 누리다가 떠나가고 싶으면 곧 떠나가고 남고 싶으면 남으니, 마음대로 자재롭게 할 수 있다.
019_0270_b_15L諸比丘善現苑平正端嚴無諸荊棘丘陵礓石瓦礫及屛廁等諸雜穢物多金銀種種異寶節氣調和不寒不常有泉流四面彌滿樹葉敷榮果成就有種種香隨風芬馥復有種種異類衆鳥常出妙聲和雅淸暢草靑色右旋宛轉柔軟細滑如孔雀香氣皆似婆利師華觸之如觸迦旃鄰提迦衣以足蹈之隨足上下復有諸樹其樹各有種種根莖華葉果實出衆香普熏彼地諸比丘善現苑中亦有樹林名爲安住樹竝擧高六拘盧奢葉密重布雨滴不下更相鱗次如草覆舍諸人於下居住止宿復有香樹劫波娑樹瓔樹鬘樹器樹果樹又有自然秔米熟飯淸淨美妙諸比丘彼善現苑無我無主亦無守護鬱單越人欲入此苑自在遊戲受諸樂時於其四門隨意所趣入彼苑已遊戲澡浴恣情受樂欲去卽去欲留卽留隨心自在
비구들아,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선현못 남쪽에 다시 동산이 하나 있는데 보현(普賢)이라 이름한다. 그 동산의 세로와 너비는 1백 유순이며, 일곱 겹의 난간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고 …… 익힌 밥이 깨끗하고 미묘하다.
비구들아, 이 보현 동산도 또한 지키는 자가 없으며, 울단월 사람으로서 만약 보현 동산에 들어가 목욕하고 유희하고 쾌락을 누리고 싶을 때에는 그 네 개의 문으로 뜻대로 들어간다. 들어가서 목욕하고 유희하며 쾌락을 누린 뒤에 가고 싶으면 가고 머무르고 싶으면 머문다.
019_0270_c_13L諸比丘爲鬱單越人故善現池南復有一苑名曰普賢其苑縱廣一百由旬七重欄楯周帀圍繞乃至熟飯淸淨美妙諸比丘此普賢苑亦無守護鬱單越人若欲須入普賢苑中澡浴遊戲受快樂時從其四門隨意而入入已澡浴遊戲受樂受樂已欲去卽去欲留卽留
019_0271_a_01L비구들아,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선현못 서쪽에 다시 동산이 하나 있는데 선화(善華)라 한다. 그 동산의 세로와 너비는 1백 유순이고, 일곱 겹의 난간이 둘레를 에워싸고 있는데 …… (설명을 생략함. 선현 동산과 꼭 같아서 다르지 않다.) 또한 지키는 이도 없으며, 울단월 사람으로서 만약 선화 동산에 들어가 목욕하고 유희하며 쾌락을 누리고 싶을 때는, 그 네 개의 문으로 뜻대로 들어가며, 들어간 뒤에 목욕하고 즐기며 쾌락을 누리는데 다 즐기고 난 뒤에는 가고 싶으면 가고 머무르고 싶으면 머문다.
019_0270_c_20L諸比丘爲鬱單越人故善現池西復有一苑名曰善華其苑縱廣一百由旬七重欄楯周帀圍繞略說乃至如善現苑等無有異亦復無有守護之者鬱單越人若欲須入善華苑中澡浴遊戲受快樂時從其四門隨意而入入已澡浴遊戲受樂旣受樂已欲去卽去欲留卽留
비구들아,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선현못 북쪽에 다시 동산이 하나 있는데 희락(喜樂)이라 한다. 세로와 너비는 똑같이 1백 유순이고, …… 지키는 이가 없다. 울단월 사람으로서 만약 희락 동산에 들어가 목욕하고 즐기며 쾌락을 누리고 싶을 때는 그 네 개의 문으로 뜻대로 들어가며, 들어가서는 목욕하고 즐기며 쾌락을 누린다. 다 즐기고 난 뒤에 떠나가고 싶으면 떠나가고, 머무르고 싶으면 머무르며 …… (설명을 생략함. 앞의 선현 동산 등과 같기 때문이다.)
019_0271_a_05L諸比丘爲鬱單越人故於善現池北復有一苑名曰喜樂縱廣正等一百由旬乃至無有守護之者鬱單越人若欲須入喜樂苑中澡浴遊戲受快樂時從其四門隨意而入入已澡浴遊戲受樂旣受樂已欲去卽去欲留卽留略說如前善現苑等
019_0271_b_01L비구들아,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선현못 동쪽으로 선현 동산과 접한 그 사이에 하천이 있는데, 이입도(易入道)라고 이름한다. 점차 아래로 흘러 내리나 물결이 일지 않고, 느리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으며, 여러 가지 꽃이 두루 덮였는데, 너비는 2유순 반이다.
비구들아, 이입도 하천 양 둑에 갖가지의 나무들이 있는데, 가지와 잎이 서로 가려져 있으며, 갖가지 향기를 뿜어 널리 그곳에 풍기고 있다. 갖가지 풀이 났는데 …… (설명을 생략함) …… 촉감이 부드러워서 마치 가전린제가 옷과 같으며, 손가락 네 개의 높이로서, 발로 밟으면 발을 따라 내려갔다가 올라오며 들려지기도 하고 쓰러지기도 한다.
또 갖가지 빛깔의 과일 나무가 있는데, 가지ㆍ잎ㆍ꽃과 열매를 모두 다 갖추었다. 또한 갖가지 향기가 있어서 널리 풍기며, 갖가지 기이한 새들이 각각 화답하며 지저귄다.
그 하천 양 둑에는 여러 미묘한 배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빛깔은 좋아할 만하며 일곱 가지 보석으로 이루어졌으니,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적주ㆍ차거와 마노 등으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019_0271_a_12L諸比丘爲鬱單越人故於善現池東接善現苑其閒有河名易入道漸次下流無有波浪不緩不急雜華遍覆闊二由旬半諸比丘易入道河於兩岸上有種種樹枝葉映覆出種種香普熏其處生種種草略說乃至觸之柔軟如迦旃鄰提迦衣高齊四指足蹈之隨足上下或擧或伏又有種種雜色果樹枝葉華果悉皆具足有種種香氣普熏種種異鳥各各和其河兩岸有諸妙舩雜色可樂寶所成金琉璃頗梨赤珠車璖瑪瑙莊嚴挍飾
비구들아, 울단월 사람을 위하여 선현못 남쪽에 큰 하천이 하나 있는데 선체(善體)라 한다. 점차 아래로 흐르며 …… (설명을 생략하거니와 모두가 이입도하천과 같다.) 이곳에 있는 여러 가지 나무 숲도 그와 조금도 다름이 없으며, 나아가 여러 배들까지도 여러 빛깔로 이루어져서 부드럽기가 마치 가전린제가 옷과 같다.
비구들아, 선현못 서쪽에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큰 하천이 하나 있는데 등차(等車)라고 한다. …… (설명을 생략함) …… 점차 아래로 흘러간다.
비구들아, 선현못 북쪽에 울단월 사람들을 위하여 큰 하천이 하나 있는데 위주(威主)라고 한다. 점차 아래로 흘러내리며 …… (설명을 생략함) …… 양 둑에 배가 있는데, 일곱 가지 보석으로 장식되었으며 부드럽기는 마치 가전린제가 옷과 같다.
이 가운데 울타나(鬱陀那) 게송이 있다.

선현(先賢)과 보현(普賢) 등이며,
선화(善華)와 희락(喜樂)이고,
이입도(易入道)와 선체(善體)며
등차(等車)와 위주하(威主河)이다.
019_0271_b_02L諸比丘爲鬱單越人故於善現池南有一大河名曰善體漸次下流略說皆如易入道河此處所有種種樹林與彼無異乃至諸舩雜色所成柔軟猶若迦旃鄰提迦衣諸比丘於善現池西爲鬱單越人故有一大河名曰等車乃至略說漸次而下諸比丘善現池北爲鬱單越人故有一大河名曰威主漸次而下略說乃至兩岸有舩七寶莊飾柔軟猶若迦旃鄰提迦衣此中有鬱陁那偈
善現普賢等
善華及喜樂
易入幷善體
等車威主河
019_0271_c_01L
비구들아, 울단월 사람으로서 만약 그 이입도 하천과 선체ㆍ등차ㆍ위주 등의 하천에 들어가 목욕하고 즐기며 모든 쾌락을 누리고 싶을 때에는 모두 그 하천의 양 둑에 이르러 옷을 벗어서 둑 곁에 놓고 각각 여러 배에 올라탄다. 그리하여 배를 타고 물 한가운데까지 가서 목욕하고 놀며 쾌락을 누린다. 목욕을 마친 뒤에는 어느 사람이든지 앞서 나오는 대로 웃옷을 가져다 입고 가는데 자기가 처음에 입고 왔던 옷을 찾지도 않나니, 왜냐 하면 울단월 사람들은 나[我]와 내 것[我所]이 없으며 지키는 자도 없기 때문이다.
이 여러 사람들은 또다시 여러 향 나무 아래로 나아가는데, 나무 아래에 이르면 그 나무는 저절로 가지를 낮게 드리우고 굽힌다. 그리하여 그 여러 사람들을 위하여 온갖 미묘한 향기를 내며, 그들이 제 손으로 가지를 더위잡아 쥐거나 미칠 수 있게 해주니, 그 사람들은 나무에서 갖가지 향기를 취하여 몸에 바른다.
다시 각기 겁파사 나무로 나아가면, 그 나무도 다시 앞의 나무처럼 가지를 낮추어 아래로 드리우는데, 여러 가지 옷을 내어 그 여러 사람들이 손으로 잡거나 닿게 하니, 그 사람들은 나무에서 다시 갖가지 훌륭하고 묘한 의복을 가져다 입은 뒤에 떠나간다.
다시 영락 나무 아래로 나아가는데, 거기에 이르면 영락 나무 가지도 모두 드리우고 굽어 주는데, 그 여러 사람들을 위하여 갖가지 훌륭하고 묘한 영락을 흘러 내어 손으로 만지거나 손에 닿게 한다. 그러면 그 사람들은 나무에서 갖가지 영락의 꾸미개를 가져다 몸에 치장한다.
019_0271_b_15L諸比丘鬱單越人若欲入彼易入道善體等車威主等河澡浴遊戲受諸樂時卽皆至彼河之兩岸脫其衣置於岸側各坐諸舩乘至水中浴身體遊戲受樂旣澡浴已隨有何人在前出者卽取上衣著已而去不求覓所服本衣何以故鬱單越人無我我所無守護故是諸人等又復往詣衆香樹下到樹下已其樹自然低枝垂屈爲彼諸人出衆妙香令其自手攀攬得及彼人於樹取種種香用塗身已復各往詣劫波娑樹到已其樹亦復如前低枝垂下出種種衣令彼諸人手所攬及彼人於樹復取種種上妙衣服著已而去轉更往詣瓔珞樹下旣到彼已瓔珞樹枝亦皆垂爲彼諸人流出種種上妙瓔珞所攬及彼人於樹牽取種種瓔珞之繫著身已
019_0272_a_01L다시 여러 다리 나무 아래로 나아가는데, 나무에 이르면 다리 나무는 저절로 그 사람들을 위하여 가지를 드리워서 아래로 굽어 주며 갖가지 훌륭하고 묘한 보배 다리를 흘러 내어 그 사람들이 손수 만지거나 손이 닿게 하면 곧 나뭇가지에서 여러 묘한 다리를 가져다 머리에 묶는다.
다시 여러 그릇 나무들에게 나아가는데, 나무에 이르면 그릇 나무 또한 저절로 가지를 드리워서 내려 주어 그들의 손이 미치게 하니, 사람들은 가지고 싶은 그릇을 마음대로 가진다.
과일 나무에 나아가면, 때에 그 과일 나무도 여러 사람들을 위하여 가지를 드리워서 아래로 구부려 주며, 갖가지 훌륭하고 묘한 단 과일을 내어 손으로 쥐거나 손이 닿게 하면, 그 사람들은 나무에서 마음대로 가지고 싶은 그 익은 과일을 따서 흡족하게 먹는데 그 중에 어떤 이는 그 즙을 짜 가지고 그릇에 담아서 마시기도 한다.
먹기나 마시기를 마치면, 다시 음악 나무 숲으로 나아간다. 그숲에 이르면, 음악 나무도 여러 사람들을 위하여 가지를 모두 드리워 내려 주어서 갖가지의 악기를 내어 손에 닿거나 만질 수 있게 한다. 그러면 그 사람들은 나무에서 각각 필요한 대로 여러 가지 악기를 가지는데, 그 형태는 자못 묘하고 그 음은 온화하고 청아하다. 악기를 가진 뒤에는 품에 안고 동서쪽으로 나아가 즐기는데 악기를 타고 싶으면 타고, 춤추고 싶으면 춤추고, 노래하고 싶으면 노래하면서 마음껏 즐기고 싶은 대로 즐기며 온갖 쾌락을 누린다. 그 일이 끝나면 각자 좋을 대로 떠나가기도 하고 머물기도 한다.”
019_0271_c_11L更轉往詣諸鬘樹下到樹已鬘樹自然爲彼諸人垂枝下曲流出種種上妙寶鬘令彼人等手所攬便於樹枝取諸妙鬘繫頭上已更往詣諸器物樹旣到樹已器樹自然枝亦垂下令其手及隨意所欲取彼器已持詣果樹時彼果樹亦爲諸人枝垂下曲出生種種勝妙甘果手攬及彼人於樹隨心所欲取其熟果適意食之於中或有搦取其汁盛而飮食飮旣訖乃復往詣音樂樹林到彼林已爲諸人故音樂樹枝亦皆垂下爲出種種音樂之器手所攬及彼人於樹各隨所須取衆樂器其形殊妙其音和雅取已抱持東西遊戲欲彈則彈欲舞則舞欲歌則歌隨情所樂受種種樂其事訖已各隨所好或去或留
起世經卷第一
此經宋藏題爲起世因本經闍那崛 多譯卻之爲後經編入取函丹藏題 爲起世經進之爲前經今撿『開元錄』 丹藏爲正故今題中除因本二字 之爲澄函焉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