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顯識論一卷

ABC_IT_K0611_T_001
017_0491_a_01L현식론(顯識論)
[무상론(無相論)에서 나왔다]


진제(眞諦) 한역
송성수 번역


일체 세 세계[三界]엔 다만 식(識)이 있을 뿐이니, 어떤 것이 식이냐 하면, 세 세계엔 두 가지 식이 있다. 하나는 현식(顯識)이고, 다른 하나는 분별식(分別識)이다. 현식이란 곧 본식(本識)이 그것이니, 이 본식이 일어나 다섯 가지 대경[五塵]과 네 가지 원소[四大] 등을 지어낸다. 분별식이란 곧 의식[想識]이 그것이니, 현식 가운데에서 사람ㆍ하늘과 길고 짧음과 크고 작음과 남자ㆍ여자와 나무ㆍ등나무 등 모든 물체를 분별해 지어내고, 일체 법을 분별하는지라, 이 의식 덩어리가 법과 또는 대경을 분별하는 것을 이르되, 분별식이라 한다. 마치 거울을 의지해 물체의 그림자와 물체의 빛이 일어나게 되는 것처럼 이와 같이 형식을 반연하여 분별식이 일어나게 된다. 이 분별식이 만약 일어나면 아리야식(阿梨耶識)에 훈습(熏習)하는 힘을 내세우는지라, 이 훈습하는 힘으로 말미암아 본식(本識)이 미래에 나게 되고 이 미래의 현식(顯識)을 반연하여 미래의 분별식(分別識)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이치이기 때문에 생사가 앞뒤가 없으며, 이 이치를 나타내기 위해 부처님께서 해절경(解節經) 가운데 게송을 설하여 말씀하시었다.

현식이 분별을 일으키고
분별이 훈습을 일으키며
훈습이 또 분별을 일으키니
이 때문에 생사에 돌아다니네.
이른바 훈습이란 첫째 분별하는 성품에 집착하는 것이고, 둘째 진실한 성품을 관습(觀習)하는 것이니, 이 두 가지 뜻이 있기 때문에 훈습이라고 한다.
첫째의 훈습을 아리야식(阿梨耶識)을 증장(增長)하나니, 아리야식이 증장됨으로써 모든 기능을 구족하여 능히 여섯 갈래[六道]에 태어나 모든 식(識)을 받아 나는지라 이러한 이치이기 때문에 생사가 원만한 것이다.
둘째의 훈습인 이른바 진실한 성품을 관습하는 것이란, 이 훈습이 능히 분별하는 성품에 집착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으니, 첫째의 훈습을 손실과 파괴를 당하기 때문에 아리야식도 손실을 당하고 아리야식도, 손실을 당하기 때문에 받아 나는 식도 손실을 당하고, 아리야식으로써 능히 세 세계에 나지만 손실을 당하기 때문에 세 세계에 유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지해 전의(轉依)하는 이치가 다섯 가지를 갖추었으니, 멸차별상(滅差別相) 가운데에 해설한 그대로이다.
그리고 현식(顯識)에 아홉 가지 있으니, 몸의 식[身識]이 그 첫째이고, 대경 의식[塵識]이 그 둘째이고, 작용하는 식[用識]이 그 셋째이고, 세상의 식[世識]이 그 넷째이고, 기세간의 식[器識]이 그 다섯째이고, 셈하는 식[數識]이 그 여섯째이고, 네 가지 말하는 식[四種言說識]이 그 일곱째이고, 자타의 다른 식[自他異識]이 그 여덟째이고, 좋고 나쁜 생사의 식[善惡生死識]이 그 아홉째이다. 그 다음에 분별식(分別識)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몸을 지니는 식이고, 다른 하나는 몸을 받는 식이다.
앞의 아홉 가지 식 가운데, 첫째의 이른바 몸의 식이란, 그 유전해 일어나는 것이 몸과 같기 때문에 이 식의 이름을 몸의 식이라고 함이니, 같다는 말은 몸의 상모(相貌)에 집착하는 것과 같음이다. 몸과 같이 진실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몸과 같다고 말하는 것이다. 또 이 식의 유전해 일어나는 것이 몸과 같기 때문에 몸의 식이라고 이르는 것이니, 곧 다섯 가지 감관[五根]이 그것이다. 다른 대경[塵]의 여덟 가지 식[八識]도 그러한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식 뿐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하자면, 몸의 식이란 눈[眼]의 감관과 경계 등 이러한 다섯 가지를 몸의 식이라고 함이니, 모두가 이 다섯 가지 감관에 공통되는 것이다.
다음 둘째의 이른바 대경의 식이란, 여섯 가지가 있으니, 형상 세계[色界] 등 내지 의식의 대경을 통틀어 응수식(應受識)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셋째의 이른바 작용하는 식이란, 여섯 가지 안식(眼識)의 경계 등 곧 여섯 가지 식이 그것이니, 이를 크게 논(論)하여 정수식(正受識)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넷째의 이른바 세상의 식이란, 세 가지 식이 있으니, 곧 세 세상[三世]인 과거세ㆍ미래세ㆍ현재세가 그것이고 또 생사가 상속하여 끊이지 않기 때문에 세상의 식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다섯째의 이른바 기세간(器世間)의 식이란, 크게 논하자면 처소의 식[處識]이고, 줄어서는 기세간이니, 바깥으론 네 가지 원소[四大]와 다섯 가지 대경[五塵]이고, 넓게는 열 방위[十方]와 세 세계[三界] 등을 말하는 것이다.
여섯째의 이른바 셈하는 식이란, 계산하고 측량하고 척도를 재는 이러한 등류를 말하는 것이다.
일곱째의 네 가지 이른바 말하는 식이란, 보고 듣고 깨닫고 아는 이 네 가지가 그것이다. 일체의 말이 이 네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지라 만약에 본 것을 말하지 않으면 곧 들은 것을 말하기 마련이니 깨닫고 아는 것도 역시 그러한 것이다.
여덟째의 이른바 타자의 다른 식이란, 의지하는 처소가 각각 다르고 여섯 가지 갈래[六趣]가 같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의지하는 처소가 몸이니만큼 여섯 가지 갈래의 몸이 곧 자타의 다른 식인 것이다.
아홉째의 이른바 좋고 나쁜 갈래 생사의 식이란, 일체 생사가 이 좋고 나쁜 두 갈래를 떠나지 않는지라 좋은 갈래란, 사람이거나 하늘이고, 나쁜 갈래란 그 나머지 네 갈래이니, 이 좋고 나쁜 갈래가 생사를 떠나지 않는 것은 곧 나기도 하고, 곧 사라지기도 하여 그치거나 머무는 때가 없기 때문이다.
또 몸을 지니는 것의 식이란, ‘아견(我見)’에 덮인 것이니 이 식은 ‘아견’의 탐애(貪愛)에 덮이기 때문에 여섯 갈래의 태어남을 받아서 이 식이 생사의 몸이 되는 것이다. 만약에 이 식이 있으면 곧 몸을 지니는 식이고, 이 식이 만약 다 되면 생사의 몸도 다 되는 것이다. ‘아견’은 일체 살[肉]의 미혹을 내고, 탐애는 일체 가죽[皮]의 미혹을 내기 때문에 생사의 몸이 있는 것이다. 만약에 탐애와 ‘아견’을 여읜다면 곧 가죽과 살의 번뇌가 없을 것이고, 가죽과 살의 번뇌가 없다면, 곧 세 세계의 몸이 없으리니, 이 때문에 몸의 식이 생사를 받는 것이다.
다음 몸을 받는 것의 식이란, 뜻의 경계[意界]를 받는 식이라 하나니, 곧 세 가지 의식이 그것이다. 첫째는 이른바 아리야식(阿梨耶識)이니, 이 식은 세품(細品)의 의식으로서 항상 과보(果報)를 받되 좋은 과보와 나쁜 과보에 통하지 않은 채 다만 무부무기[無覆無記:무기법(無記法) 중에서 성도(聖道)를 방해하고 심성(心性)을 가리어 부정케 하는 일이 없는 것]일 뿐이다. 둘째는 타나식(陀那識)이니, 이 식은 중품(中品)의 의식으로서 다만 범부 몸의 과보를 받을 뿐이다. 셋째는 항상 밝히는바 의식이니 이 식은 추품(麤品)의 의식으로서 좋고 나쁨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세 가지 성품의 과보를 통해 받는 것이다.
다섯 가지 식[五識]이 역시 그러하지만, 이 세 가지 품의 의식은 공통으로 과보를 수용(受用)할 수 있는 것인데, 다만 이제 흥폐(興廢)를 근거로 하여 말하기 때문에 아리야식을 일컬어 받는 식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또 아리야식은 이 범부가 계교하는바 ‘나’의 처소라 타나(陀那)의 집착으로 말미암아 아리야식이 ‘나’의 경계를 짓나니 집착하는 그것이 바로 타나식이기 때문이고, 일곱 가지식이 곧 ‘아견’의 체(體)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별식(分別識)에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몸을 지니는 식이고, 두래는 몸이라는 식이다. 이 두 가지를 합하여 의근(意根)이라 하나니, 첫째 본래부터 의근을 더럽힌 것이 곧 타나식이고, 둘째 차례로 반연한 의근의 체가 곧 본식(本識)을 반연하여 ‘나’의 경계를 지음이니 스스로가 저 반연의 모양과 그림자를 내는 것이며, 현식(顯識)이 아홉 가지가 있는 것은, 위와 같은 형식이 다만 아리야식일 뿐이다. 만약에 분별식이라면, 이는 타나식이고 또 의식일 것이니, 타나식은 ‘나’를 분별하고, 의식은 만법(萬法)을 분별하는 것이어서 의식은 세 가지 분별이 있고 다섯 가지 식은 다만 제 성품[自性]의 분별이 있을 뿐이다.
다음은 훈습(熏習)에 네 가지 방법이 있으니, 첫째 알음[忍]이고, 둘째 이름이고, 셋째 모양이고, 넷째 세간의 제1 법이다. 첫째의 알음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널리 관해 알음이고, 다른 하나는 줄여서 관함이다.
일체 중생은 다 진실한 성품에 미(迷)한지라, 이제 닦아 익힘에 있어서 먼저 널리 관하는 것을 짓고, 그 다음에 줄여서 관하는 것을 지어서 진실한 성품에 들어가게 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널리 관함이란, 곧 네 가지 진리[四諦]를 관하는 것이니, 괴롬과 쌓임은 곧 범부를 세속의 진리이고 사라짐과 도는 곧 성인의 진여의 진리이다. 이것이 각각 아홉 가지가 있으니, 괴롬을 관하는 아홉 가지는 세 세계[三界]에 각각 세 세상[三世]이 있어서 아홉 가지를 이룩하는 것이다. 또는 욕심 세계[欲界]가 한 존재요, 형상 세계[色界]가 네 존재요, 무형 세계[無色界]가 네 존재이기 때문에 아홉 가지라 하는 것이다. 쌓임의 진리 아홉 가지는 곧 아홉 가지 번뇌[九結]가 그것이며, 이 아홉 가지 번뇌 없애는 것을 아홉 가지 사라짐의 진리라 하는 것이다. 도의 진리 아홉 가지는 곧 아홉 차례의 삼마디이니, 이른바 아홉 차례의 선정[九次第定]이 그것이다.
그리고 줄여서 관하는 것이란, 먼저 괴롬의 진리를 관하는 것이 여덟 가지이니, 네 가지 원소[四大]와 네 가지 이름[四名]을 관함이 그것이다. 네 가지 원소는 곧 물질의 쌓임[色陰]이고, 네 가지 이름은 곧 네 가지 쌓임이니, 이것을 여덟 가지 괴로움이라고 한다. 쌓임에 여덟 가지가 있는 것은 곧 여덟 가지 삿됨[八邪]이니,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八聖道]를 어기는 것이다. 사라짐의 진리 여덟 가지는 이 여덟 가지 삿됨을 없애는 것이니, 곧 여덟 가지 사라짐이라 하고, 도의 진리 여덟 가지는 이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 닦는 것을 곧 도의 진리라 한다.
다시 줄여서 관하는 것이 일곱 가지 이니, 괴롬의 일곱 가지는 여섯 갈래[六趣]와 또는 중음(中陰)이 그것이다. 쌓임의 일곱 가지는 곧 일곱 가지 부림[七使]이니, 일곱 가지 부림이란, 탐욕ㆍ진심ㆍ우치와 교만ㆍ의심ㆍ견(見)과 욕심 세계의 욕심은 욕심의 부림이라 한다. 형상 세계ㆍ무형 세계는 존재[有]의 부림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것을 합하여 일곱 가지 부림이라고 하고, 이 일곱 가지 부림을 없애는 것을 일곱 가지 사라짐이라고 한다. 도의 진리 일곱 가지는 곧 일곱 가지 깨달음[七覺分]이 그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관하는 것이 여섯 가지이니, 괴롬의 여섯 가지는 이른바 여섯 가지 안의 느낌[內入]이 그것이다. 쌓임의 여섯 가지는 이른바 여섯 가지 탐애[貪愛]이니, 곧 여섯 가지 대경[六塵]에서 생기는 여섯 가지 탐애가 그것이다. 사라짐의 여섯 가지는 이 탐애의 여섯 가지를 없애는 것이다. 도의 여섯 가지는 곧 여섯 가지 벗어나는 경계이니, 남을 죽이는 진심을 벗어나서 인자한 마음을 닦는 경계가 그 하나이고, 남을 괴롭히는 진심을 벗어나서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닦는 경계가 그 둘이고, 남을 질투하는 진심을 벗어나서 기쁨을 닦는 경계가 그 셋이고, 탐욕을 벗어나서 버림[捨]을 닦는 경계가 그 넷이고, 머트러운 생각[覺]과 세밀한 생각[觀]을 벗어나서 드나드는 숨[出入息]을 닦는 경계가 그 다섯이고, 무명(無明)의 미혹을 벗어나서 무아(無我)를 닦는 경계가 그 여섯이므로 이 여섯 가지 닦는 것을 벗어나는 경계라고 말하는 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관하는 것이 다섯 가지이니, 괴롬의 다섯 가지는 곧 다섯 가지 쌓임이 그것이고, 쌓임의 다섯 가지는 곧 다섯 가지 가림[五蓋]이 그것이고, 사라짐의 다섯 가지는 곧 이 다섯 가지를 없애는 것이고, 도의 다섯 가지는 곧 다섯 가지 뿌리[五根]이니, 다섯 가지 힘[五力] 따위가 그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관하는 것이 네 가지이니, 괴롬의 네 가지는 곧 네 가지 생각 두는 대상[四念處]으로서 이른바 몸과 느낌과 마음과 법이 그것이고, 쌓임의 네 가지는 곧 네 가지 잡음[四取]과 또는 네 가지 흐름[四流]이니, 네 가지 잡음이란, 그 잡음이 다만 탐욕뿐이어서 네 가지 탐욕 있는 그것이 바로 네 가지 잡음이라 욕심의 잡음(欲取)이 그 하나이고, 견의 잡음[見取]이 그 둘이고, 계금의 잡음[戒禁取]이 그 셋이고, 내 말의 잡음[我語取]이 그 넷이니, 내 말의 잡음이란, 이 안으로 잡는 것이어서 안의 다섯 가지 쌓임을 반연해 형상 세계와 무형 세계 여덟 가지 선정의 난법을 탐하는 것을 내 말의 잡음이라 하고, 또는 그 중에 무엇이건 잡은 것은 내 말의 잡음이라 한다. 만약에 욕심 세계의 대경[塵]을 탐한다면 이를 바깥 법이라 하고 이 바깥 법을 욕심의 잡음이라 하나니, 욕심의 잡음은 이 ‘단견(斷見)’의 중생이고, 내 말의 잡음은 이 상견(常見)의 중생이다. 이 두 법은 일을 반연하여 견의 잡음과 계금의 잡음을 일으키고, ‘상견’의 잡음은 이치를 반연하여 이 네 가지 잡음을 일으키나니, 이것이 느낌의 자량(資糧)이다.
느낌의 탐애가 세 가지 있는 것을 밝히건대, 첫째는 탐애를 멀리 여읨이니, 곧 일체 세 갈래[三途]의 중생들이고, 둘째는 탐애를 구해 얻음이니, 곧 사람ㆍ하늘과 또한 세 가지 ‘공’한 것이고, 셋째는 탐애에 편히 머묾이니, 곧 생각도 아니고 생각 아님도 아닌[非想非非想], 이른바 열반이 그것이다. 네 가지 잡음을 일컬어 네 가지 쌓임이라 하는 것처럼 이 네 가지 잡음을 없애는 것을 네 가지 사라짐의 진리라 한다. 그리고 도의 진리 네 가지는 이른바 네 가지 생각 두는 대상[四念處]으로서 곧 네 가지 반야(般若)가 그것이니, 몸을 관함은 괴로움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다. 느낌을 관함은 쌓임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고, 마음을 관함은 사라짐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고, 법을 관함은 도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다. 또 몸을 추중(麤重)한 것으로 관함은 세 세계[三界] 몸의 추중함을 괴로운 것으로 관함이다. 이를테면 욕심 세계 몸의 차갑거나 뜨거움을 괴로운 것으로 관하고, 형상 세계 몸의 네 가지 위의[四威儀]를 괴로운 것으로 관하고, 무형 세계 마음의 찰나찰나에 머물지 않음을 괴로운 것으로 관하는 이러한 것이 바로 반야이다. 또 느낌을 관하여 쌓임의 진리를 통하는 것이란, 중생들의 일체 탐애가 느낌을 반연하여 일어나는지라 만약에 느낌이 없다면 탐애가 생겨나지 않으리니, 이 때문에 느낌을 관하여 쌓임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다. 마음을 관하여 사라짐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란, 일체 중생들이 마음 가운데에 ‘아견’을 내세우는지라 이 때문에 중생들이 ‘아견’에 집착하여 사라짐 있음을 믿지 아니하나니, 이는 다만 타나식(陀那識)으로 말미암아 아리야식(阿梨耶識)이 하나이고, 항상하다고 집착하기 때문에 ‘나’의 체가 사라지지 않는다고 하거늘 마음이 ‘나’가 아님을 관하기 때문에 사라짐이 있는 것을 믿으리라. ‘아견’을 버리고서 사람과 법의 두 가지가 다 ‘나’없는 것임을 관하기 때문에 마음을 관하여 사라짐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다. 법을 관하여 도의 진리를 통달하는 것이란, 그 법이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청정한 품이고, 둘째는 부정한 품이다. 부정한 품을 관하는 것을 괴롬과 쌓임이라 하는 반면, 청정한 법을 사라짐과 도라 하고, 또 부정한 품은 일체의 미혹이고, 청정한 품은 온갖 미혹을 대치하는 길이니, 이 때문에 반듯이 도의 진리를 통달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관하는 것이 세 가지이니, 괴로움의 세 가지는 곧 세 세계를 괴로운 것으로 관하되 욕심 세계를 괴롬의 괴로움[苦苦]으로 관한다. 형상 세계를 무너지는 괴로움[壞苦]으로 관하니, 나고 머묾이 쉬지 않고 즐거움이 무너질 때가 곧 괴롭기 때문에 무너지는 괴로움으로 관하는 것이다. 무형 세계를 지어가는 괴로움[行苦]으로 관 하나니, 나고 머물고 무너지는 이 세 때가 다 괴로움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생들은 두 갈래가 있을 뿐이어서 나쁜 갈래를 괴로움이라 하고, 좋은 갈래를 즐거움이라 하고, 이 두 가지 치우침을 버리는 것을 이르되, 열반이라 하나니, 이 마음이 지어감이 있고 움직임이 있어서 무상(無常)하기 때문에 괴로운 것이다. 그리고 쌓임이 세 가지 있는 것은 곧 탐욕과 진심과 우치가 그것이고, 또 세 가지는 몸의 견[身見]과 계율의 잡음[戒取]과 의혹이 그것이다. 몸의 견이란, 중생들이 몸의 견에 집착하여 상(常)ㆍ낙(樂)ㆍ아(我)ㆍ정(淨)이 있다고 고집하기 때문에 생사에 머물러서 세간을 뛰어난 도를 닦지 않는 것이다. 계율의 잡음이란, 바른 도 닦기를 좋아하지 않는 것이고, 의혹이란, 이 의혹 때문에 결코 사라짐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번뇌를 없애는 것이 곧 세 가지 사라짐의 진리이니, 세 가지란 이른바 계율ㆍ선정ㆍ지혜가 그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괴로움을 관함에 두 가지이니 이른 바 몸과 마음이거나 또는 이름과 물질이 그것이고, 쌓임의 두 가지는 열두 가지 인연 가운데, 무명(無明)과 탐애(貪愛)가 그것이고, 사라짐의 두 가지는 이 무명과 탐애의 두 가지를 없애는 것이고 도의 진리 두 가지는 곧 선정과 지혜가 그것이다.
다음은 줄여서 관하는 것이 한 가지이니, 괴로움의 한 가지는 이른바 무상(無常)한 것을 괴롬이라 하고, 쌓임의 한 가지는 바르지 못한 생각이 그것이고, 사라짐의 한 가지는 이 바르지 못한 생각을 없애는 것이고, 도의 한 가지는 이른바 몸에 생각 두는 것이다. 곧 네 가지 생각 두는 대상[四念處]을 통틀어 관하여 몸에 생각 두는 것이라 한다. 또 한편으론 스스로가 생각하는 것을 도의 진리라 하고, 바르지 못한 생각을 쌓임의 진리라 하나니, 실다운 지혜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이 때문에 널리 관하고 줄여서 관하는 두 가지 관을 말함이다. 괴롬을 관함에 있어서 일체 법이 아홉 가지로부터 또한 한가지까지 있고, 나머지 세 가지 진리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언어와 분별의 훈습(熏習)이 네 가지 방편의 곳이 있으니, 언어의 훈습은 알음[忍]과 이름으로부터 또한 제성품 법의 곳이다. 이른바 곳이란, 곧 처소를 말하는 것이고, 또는 경계를 처소라 하는 것이다. 분별의 훈습은 모양으로부터 또한 제1의 일체 닦아 얻는 법이고, 일체 닦아 얻는 법의 곳은 하품(下品)으로부터 상품(上品)에 이르기까지 모양과 제1의 일체를 곳이라 한다. 만약에 이름을 의지하여 생각해 고르는 사람이라면, 이는 언어의 훈습인 것이고, 이름과 글귀를 떠나서 바로 이치를 생각해 고르는 사람이라면, 이는 분별의 훈습이다. 이 현식(顯識)이 뒤의 두 가지 식을 나타내나니, 두 가지 식이란, 첫째 네 가지 언어의 식이고, 둘째 자타(自他) 차별의 식이니, 이 두 가지 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나머지 일곱 가지 식과 분별의 식인 이 여덟 가지 식은 언어의 훈습을 반연하여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 두 가지 식은 첫째 몸의 식과 둘째 몸을 받는 식이고, 또는 자타의 다른 식이니, 몸의 견[身見]의 훈습을 반연하여 나게 되는 것이며, 또 좋고 나쁜 생사의 식은 그 훈습이 있음을 반연하여 일어나게 되는 것이니, 이러한 여러 가지 식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름하여 온갖 세계에는 다만 식이 있을 뿐이라고 한다.
≪논≫ 일체 세계엔 다만 식이 있을 뿐이다.
【문】일체 법이 다만 세 세계뿐이라면 어째서 두 가지 세 세계를 말하는 것입니까?
【답】두 가지 뜻이 있는지라, 하나는 분단(分段)을 지어 말하는 세 세계이니, 변해 바꿔지는 이 세계 바깥의 네 가지 생사가 일체이다. 다른 하나는 널리 말하는 일체이니, 어떤 것을 시방(十方)이라 하는가 하면, 시방은 세계가 아니기 때문에 일체 세 세계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제 다만 식이 있을 뿐이라는 것은 위의 일곱 가지 생사가 다만 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식을 떠나선 따로 체(體)가 없으니, 이 때문에 세 세계엔 다만 식이 있을 뿐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리고 세계란 것은 제 성품의 뜻이다. 제 성품이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서로 뒤섞이지 않는 뜻이니, 이를테면 욕심 세계의 성품이 형상 세계와 다르고 형상 세계는 무형 세계가 아닌 것이다. 둘째는 성품이 변하지도 않고 바뀌지도 않는 것을 그 뜻으로 삼음이니, 이를테면 욕심 세계는 욕심세계가 되고, 형상 세계는 형상 세계가 되고, 무형 세계는 무형 세계가 되는지라, 좋고 나쁨도 그러한 것이어서 세 성품이 다 변하지 않는 것으로써 그 뜻을 삼는다. 다만 식이 있을 뿐이란 것은 이 식을 떠나선 딴 대경이 없기 때문이다. 식으로 말미암아 유사(有似)한 대경이 있음을 보는 것이고 식을 떠나선 그 대경이 체(體)가 없는 것이다.
≪논≫ 어떤 것을 식이라 하는가 하면, 이른바 세 세계가 그것이다.
≪해석≫ 앞서는 식을 떠나서 세 세계가 없는 것을 밝혔고, 여기엔 세 세계를 떠나서 식이 없는 것을 밝혔으며, 또 앞서는 두 가지 식의 작용을 밝히었다.
≪논≫ 식이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은 첫째 현식(顯識)이고, 둘째 분별식(分別識)이 그것이다.
≪해석≫ 맨 처음의 하나가 본식(本識)이니, 본식은 여섯 대경[六塵]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 다음의 하나가 여섯 식[六識]이니, 여섯 식은 이것이 저것과 다름을 분별하는 것이다. 또 앞의 하나는 반연할 것을 밝히고, 뒤의 하나는 반연하는 것을 밝힘이다. 그리고 현식(顯識)에 나아가선 두 가지 회전(廻轉)하는 것이 있으니, 첫째의 회전은 여섯 가지 대경을 일으키고, 둘째의 회전은 다서 가지 감관[五根]을 일으키며, 그 다음 분별식의 회전은 ‘나’와 같음을 일으키나니, 이러한 의식의 집착하는 두 가지 식이 ‘나’를 계교하는 것이다. 이는 곧 타나[陀那]와 의식이 ‘아견(我見)’을 함께 일으킴이니, 타나는 본식에 집착하여 ‘나’의 체상(體相)을 일으키고, 의식의 분별은 ‘나’를 계교하여 갖가지 차별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일체 법은 잇지도 않고 없지도 않는지라, 여섯 가지 대경으로 말미암아 여섯 가지 식이 있으니, 결코 없을 수 없는 것이다. 여섯 가지 식을 떠나선 여섯 가지 대경이 없으니, 결정코 있을 수도 없는 것이다. 도 일체 법은 결코 있다고 말할 수 없고 결코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는지라, 사람과 법의 두 가지 ‘나’가 진실하지 않기 때문에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고, 사람과 법의 두 가지 ‘공’함이 진실하기 때문에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이치로 보아서 일체 법은 반드시 있기도 하고 반드시 없기도 한지라, 사람과 법이 반드시 없는 것인가 하면, 이 사람과 법의 두 가지 ‘공’함을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는 죄다 세속을 나타낼 경우엔 있는 것이고, 진여를 나타낼 경우엔 없는 것이니, 이 두 가지가 바로 식의 작용을 밝힘이다.
≪논≫ 이 분별식이 만약 일어나면, 훈습(薰習)의 힘을 아리야식 가운데에 내세우는 것이다.
≪해석≫ 훈습의 힘이란, 마치 향을 사르면 그 향이 옷에 스며들어서 향 덩어리는 없어지겠지만, 향기는 오히려 옷 속에 있으므로, 이를 옷을 훈습함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음이다. 이 향을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은 향 덩어리가 없어졌기 때문이고,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은 향기가 그대로 있기 때문이니, 이 때문에 훈습이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섯 가지 식이 선과 악을 일으키는 것도 그 훈습의 힘이 본식(本識) 가운데 남아 있어서 능히 미래의 과보를 얻으므로, 이를 종자라고 말하는 것이다. 소승(小乘)의 뜻인 정량부(正量部)에서는 잃어버림이 없다고 하나니, 마치 문서의 약속[券約]과 같기도 한지라,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설하시었다.

모든 업은 잃어버리지 않아
무수한 겁에 그대로 있다가
어쩌다가 모일 때에 이르러선
중생들의 과보를 주는 것이네

마하승기부(摩訶僧祈部)에서는 이것을 섭식(攝識)이라고 하였으니, 곧 상응(相應)하지 않는 행(行)이다. 마치 경(經)을 외우는데, 맨 처음 한번에는 외워지지 않지만, 두 번째 가선 앞의 첫 번째 것을 외워 섭수하고 이와 같이 열 번째에 이르러 외워 통달할 적엔 앞의 아홉 번째 것까지를 곧 통달해 섭수하는 것처럼, 이와 같이 맨 처음의 식이 능히 변해 달라지는 것도 첫째에 있고 이와 같이 또한 아홉째의 변해 달라지는 것이 열째 가운데 있는지라, 열째가 능히 앞의 아홉을 섭수하는 것이 곧 이 열째의 변해 달라지는 작용이므로, 이것을 섭식이라고 하나니, 앞의 아홉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앞의 아홉을 잃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살바다부[薩婆多部]에서는, 이것을 일컬어 같이 따라 얻는 것[同隨得]이라고 하였으니, 같음이란 그 수량과 처소와 시기 등을 더불어 서로가 어울려서 자라나는 것이다. 따름이란, 세 가지 성품과 더불어 서로가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얻음이란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뜻이며, 같음이란, 것도 잃어버리지 않는 뜻이고, 따름이란 것도 잃어버리지 않는 뜻이다. 마치 마두루(摩斗樓)와 같음이니, 여기에 느릅나무 꽃[楡花]을 말하건대 낙가[洛柯] 즙[汁]의 붉은 빛 집을 취하여, 마두루 꽃 수염에 찍어 넣으면, 그 꽃 수염과 붉은 빛이 함께 함으로써 뒷날 열매가 맺어 성숙될 적엔 곧 붉은 빛이 나오기 마련이니, 이것을 이르되 같은 때에 닦아 얻는 것이라고 한다. 붉은 빛이 열매에 이르기까지 잃어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같다는 것이고, 앞서와 같이 붉은 빛이 나오기 때문에 같이 닦아 얻음이라는 것이다. 붉은 빛이 열매에 이르기까지 잃어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가다는 것이고, 앞서부터 뒤에 이르기까지 잃어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따른다는 것이다. 그 따름이 최후에 나타나기 때문에 얻음이라는 것이다.
만약 비리야부(毘梨耶部)의 경우라면, 이것을 유분식(有分識)이라 하나니, 유(有)란 세 가지 유[三有]인 곧 세 가지 세계[三界]가 그것이다. 또 일곱 가지 유가 있으니, 첫째 중간의 유[中有]이고, 둘째 태어나는 유[生有]이고, 셋째 업의 유[業有]이고, 넷째 죽음의 유[死有]이니, 앞의 세 가지 유를 합하여 일곱 가지 유라고 한다. 욕심 세계와 형상 세계의 두 세계인 네 가지 유를 갖추었고, 무형 세계엔 중간 유가 없나니, 중간의 유는 앞으로 태어날 곳을 바로 말하는 것이고, 그 곳이란, 인연이 있는 것을 곳이라 함이니, 열두 가지 인연이 다 갈래가 있는 것과 같음이다. 이 일이 있었기 때문에 이 일이 있고, 이 일이 생겼기 때문에 이 일이 생기는 것이니, 있다는 그것이 바로 원인이다. 원인이 두 가지가 있으니, 앞의 원인이 그 하나이고, 같은 때의 원인이 그 둘이다. 마치 귤(橘) 종자가 싹이 나는 것과 같음은 이 앞 때의 원인이고, 싹이 나면, 곧 아울러 귤이 있는 것은 같은 때의 원인이다. 지어감[行]이 의식을 반연하고 의식이 이름과 물질[名色]을 반연한다. 이름과 물질이 여러 가지 느낌[六八]을 반연하고 여러 가지 느낌이 닿임[觸]과 느낌[愛]을 반연하는 이러한 것이 곧 같은 때이니, 그러므로 이 일이 있었기 때문에 이 일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도 이것은 외도들의 이른바 태어나는 유[生有]의 뜻을 파괴하기 위해서다. 외도들은 이르기를, ‘일체 중생이 자재천(自在天)으로부터 ‘나’가 있기 때문에 생사가 있는 것’이라 한다. 이 말 내용이 뜻과 같이 이제 앞 원인의 태어남을 말미암아 이 때문에 태어나게 되는 것을 파괴한다면, 그 때 자재천은 있는 것이 없어 생사를 내는 것이 아니다. 이 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있는 것을 얻지 못하고, 이 있는 것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 뜻을 내세워 ‘이 일이 있음은 곧 나는 것이 있음’이라고 하셨다. 그대들 자재천의 있는 것은 이 나는 것이 아니니 만큼, 나는 것이 우리의 뜻과 같지 않고 세간의 성품과 가는 티끌 따위로부터 난다는 것도 그러한 것이다.
또 외도들은 내세우기를, ‘원인이 없어도 결과는 있으니 결과는 자연히 나는 것’이라고 하니, 이 때문에 외도를 파괴하는 것이다. 이 물체는 이 원인의 있음이 있기 때문에 결과의 일이 있는 것이다. 두 가지 뜻을 밝히는 까닭은 인연이 갖추었기 때문에 나게 되는 것을 밝히기 위해서이니, 이 물체가 있기 때문에 이 물체가 있는 것은 연(緣)을 밝힘이다. 이 물체가 나기 때문에 물체가 나는 것은 인(因)의 뜻을 밝힘이다. 유분(有分)이란 것은 그 나는 곳이 곧 나는 인(因)이고, 나는 연(緣)이니, 이것이 유분식(有分識)의 체(體)이다. 이 과보는 법의 결정이고, 이 제 성품[自性]은 선도 악도 없는 것이다.
네 가지 유(有)는 식의 갈래[識支]로부터 여섯 살에 이르기까지가 이 태어나는 유(有)이며, 일곱 살로부터 그 이상 생숙(生熟)을 분별하고 탐욕을 일으켜 목숨을 버리지 않을 때까지가 이 업의 유[業有]이다. 죽음의 유[死有]는 다만 한 찰나이며, 중간의 유[中有]는 곧 중음(中陰)이 그것이다.
그리고 업의 유 가운데, 나아가 여섯 가지 식이 세 가지 업을 일으키니, 선함과 선하지 않음과 변동하지 않는 등 세 가지 업의 함이 있는 음이라 함이 있는 유분식이 여섯 가지 식을 거둬 가짐으로서 여섯 가지 식이 저절로 없어지나니 유분식의 거둬 가지는 힘으로 말미암아 그 작용이 존재하는 것이다.
【문】무엇 때문에 유분식을 내세우는 것입니까?
【답】한 기간의 생(生) 가운데 항상 하나의 경계를 반연하는지라, 사람이나 하늘에 태어날 경우엔 이 식이 누관(樓觀) 등 일의 과보를 보나니, 만약에 여섯 가지 의식 작용의 추부(追覆)한 장애를 일으킨다면, 이 식의 작용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나쁜 갈래에 태어날 경우엔 이 식이 다만 볼 수레[火車] 따위를 볼 뿐이니, 만약에 그 과보가 여섯 가지 의식 작용의 강함을 일으킨다면 이 식의 작용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욕심 세계의 여섯 가지 의식은 욕심의 경계를 반연하는 것이어서 법무로선 깨달을 수 없고, 또한 무형 세계도 그러한지라, 만약 무형 세계의 모든 식이 사라지고 이 유분식이 작용한다면, 그 나타나는 것이 아리야식 또는 의식과 같은 것이다.
이른바 종자란 것은 상속하고 변천하여 능히 미래의 과보를 감응하는지라, 이것을 이름하여 종자가 상속하여 변천하는 것이 없음이라고 한다. 또한 종자가 아니고 다만 변천만 하면 상속하는 것이 없고, 또한 종자가 아니니 상속과 변천이 서로가 떠나지 않기 때문에 종자를 이룩하는 것이다. 마치 소라[螺]와 흰 빛이 동일하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는 것과 같음이다. 만약에 흰 빛이 바로 소라라면, 소라는 세 가지 대경[三塵]이 없겠고, 만약에 흰 빛이 소라와 다르다면, 흰 빛을 보고서 소라를 얻지 못한지라 이 때문에 결정코 다르다고 말할 수 없으니, 다르지 않기 때문에 흰 소리라고 말하는 것이다. 상속과 변천도 그러하기 때문에 종자를 이룩하나니, 이 훈습(熏習)의 힘으로 말미암아 본식(本識)이 미래에 나게 되는 것이다.
≪해석≫ 훈습의 힘을 반연하여 종자가 만약 이룩되면 본식이 나게 되고 미래의 현식(顯識)을 반연하여 미래의 분별하는 여섯 가지 식이 나게 되는지라 이 때문에 생사는 앞뒤가 없는 것이다. 만약에 번뇌와 업을 떠난다면, 날 수가 없고 만약에 생사가 앞부분의 중생 처소가 있어서 번뇌와 업을 일으킨 것이 앞부분의 처소에 감응되겠거늘, 이미 앞부분 중생의 업을 일으킨 것이 없으니 만큼 앞부분의 생사도 없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알지니 생사는 시초가 없는 것이다.
네 가지 뜻으로써 처음이 없음을 밝히건대, 첫째는 근본이 아니라, 만약에 중생이 처음엔 없고 뒤에 있다면, 이 없음을 근본 있는 것이라 할 수 없으므로 이 두 가지 과실이 있다. 만약 처음이 없었다면 뒤에 나는 것이 없겠고, 만약 나는 것이 있다면 없는 것이 아니리니, 이것이 하나의 과실이요, 만약 허공에 꽃이 나는 일이 있다면, 없는 데로부터 있는 것을 낼 수 있으리니, 이것이 또 하나의 평등한 과실이다. 둘째는 욕심 여읜 중생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생사가 처음이 없는 것이다. 만약에 생사가 처음에는 탐욕 따위가 없던 것이 뒤에 가서 바야흐로 탐욕 따위가 있다면, 욕심을 여읜 아라한(阿羅漢)들도 그 욕심이 없다가도 욕심을 내어야 하겠는데, 이 아라한으로선 다시 욕심을 내지 않으니, 이 때문에 알라. 생사를 처음이 없는 것이다. 셋째는 범행(梵行)을 수행하여도 소용이 없을 터이니, 이 때문에 생사가 처음이 없는 것이다. 일체 성인들이 여덟 가지 성스러운 행[八聖行]을 닦는 것은 멸(滅)을 위해 생(生)하지 않게 하는 것이어서 범행을 닦아 욕심을 여읜 사람으로선 다시 생멸하지 않으니, 이 때문에 알라. 생사는 처음이 없는 것이다. 넷째는 생사가 두 가지 있으니, 나쁜 갈래가 그 하나이고, 좋은 갈래가 그 둘이다. 이 좋고 나쁜 갈래는 좋고 나쁜 두 가지 인(因)으로 말미암아 인이 없을 수 없나니, 이 생사의 시초를 좋은 갈래라 하겠는가, 나쁜 갈래가 하겠는가. 만약에 좋은 갈래라면 좋은 인이 있지 않을 것이고, 나쁜 갈래라면 나쁜 인이 있지 않을 것이고, 좋고 나쁜 두 가지 갈래를 떠나선 다시 제3의 갈래가 없으리니, 이 때문에 알라. 생사는 처음이 없는 것이다.
≪논란≫ 처음이란, 자연 인연을 쓰지 않고 뒤에 가선 반드시 인연이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만약 그럴진댄 이 이치가 옳지 않으니, 두 가지 과실이 있다. 첫째는 이치가 곧 평등하지 않기 때문이요, 둘째는 인과(因果)가 서로 같지 않음이라, 만약에 그대가 말하기를, ‘생사가 처음엔 인(因)을 말미암지 않지만 뒤엔 인을 말미암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것이 평등하지 않음이니, 처음과 뒤가 다 생사이거늘, 어째서 하나는 인을 말미암고 하나는 인을 말미암지 않는가. 둘째는 서로가 같지 않는 것이란, 과(果)도 인이 있고 인도 인이 있어서 인과가 다 인이 있기 때문에 서로 같을 수 있으며, 서로가 같음으로써 같은 종류를 낼 수 있거늘, 그대가 만약 앞에는 인이 없었다고 한다면, 이 때문에 뒤에도 인이 없어야 하리니, 앞에는 인이 없는데 뒤에는 인이 있는 것이라면 같은 종류를 낼 수 없을지라. 만약 낼 수가 있다면 콩이 보리를 낼 수도 있고 보리가 콩을 낼 수도 있어야 하겠는데 그렇지를 않으니, 이 때문에 알라. 그대들의 주장하는바 ‘앞의 뒤의 과를 위해 인을 짓는다’는 그 앞의 인이 인을 이룩하지 못하는 것이다.
부처님이 설하신 게송의 첫 글귀 현식(顯識)은 곧 아리야식(阿梨耶識)이다. 아리야식은 곧 과보의 식이고, 분별식(分別識)은 곧 번뇌의 식이니, 이는 과보의 식으로부터 번뇌의 식을 일으킴이다. 번뇌의 식은 곧 타나식(陀那識)인 것이다. 다음의 글귀는 번뇌로부터 식을 일으키고, 식이 훈습(熏習)을 일으킴을 밝힘이니, 훈습은 곧 업의 공능(功能)이 본식(本識)을 전환 변천하여 종자의 식을 이룩하는 것이다. 그 다음의 글귀는 업으로부터 과보를 일으키는 것이며, 그 다음의 글귀는 생사의 윤전(輪轉)을 통틀어 맺음이니, 윤전이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혹은 인(因)이 전환하여 과(果)를 일으키고, 혹은 과가 전환하여 인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른바 훈습이 두 가지가 있는 것은 이 아래 두 가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니, 첫째는 생사의 방편 나타내는 것을 이르되 삿됨이라 하고, 또는 위역(違逆)이라 하며, 둘째는 열반의 방편 나타내는 것을 이르되, 바르다 하고, 또는 수순(隨順)이라 한다.
그리고 집착하는 분별의 성품이란 일체 법이 세 종류의 성품이 있으니, 분별하는 성품이 그 하나이고, 남을 의지하는 성품이 그 둘이고, 진실한 성품이 그 셋이다. 분별하는 성품이란, 이름과 말로서 모든 법을 나타내는 것이고, 남을 의지하는 성품이란, 일체 법의 인과와 도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진실한 성품이란 일체 법의 그대로인 성품이며, 또 분별이란, 상(相)없는 것으로써 그 성품이 되고, 남을 의지함이란 생멸 없는 것이 그 성품이다.
이른바 성품이란, 자체가 다섯 가지 뜻이 있는지라, 첫째는 제 성품 종류의 뜻이니, 일체 병(甁)이나 옷[衣] 따위도 네 가지 원소[四大]를 떠나지 않은 종류의 뜻이므로, 이 네 가지 원소의 성품과 같은 그것이 바로 제 성품의 뜻이다. 둘째는 인(因) 성품의 뜻이니, 일체 네 가지 생각 두는 대상[四念處]이 다 성스러운 법의 반연하는바 도리이므로, 이 도리를 반연하여 능히 성스러운 법을 내는 그것이 또한 인의 뜻이다. 셋째는 나는 뜻이니, 만약 물체가 나지 않는다면, 그 성품을 볼 수 없겠고, 나는 이치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성품도 따라 나는 것이라, 다섯 가지 법신[五分法身]이 바로 나는 성품의 뜻이다. 여래의 바른 말씀을 중생들이 믿어 즐겨하여 세 가지 믿음을 내나니, 진실한 도리가 있는 것을 믿음이 그 하나이고 다섯 가지 법신의 공덕 얻는 것을 믿음이 그 둘이고, 자기를 이롭게 하여 남을 이롭게 하는 공덕을 믿음이 그 셋이다. 다섯 가지 법신을 갖춰 닦아서 다섯 가지 법신이 난다면, 이는 부처님 지위에 이르는[至得] 성품을 나타내는 것이니, 이 때문에 다섯 가지 법신의 나는 것이 이것으로써 그 성품의 뜻을 삼음이다. 넷째는 무너지지 않는 뜻이니, 이 성품은 범부에 있어서 더럽지 않고 성인에 있어서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는다 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비밀의 뜻이고, 또는 감추는 뜻이니, 친근하면 그 행이 깨끗하고 어기면 멀리 떠나는 지라, 이 법을 얻기가 어려워 깊숙이 숨었기 때문에 비밀이라 하고, 또는 감춤이라 하는 것이다.
다음은 나는 것이 네 종류가 있으니, 첫째 닿아서 나는 것이니, 남녀가 교접하여 자식을 낳는 그러한 것이다. 둘째 냄새로서 나는 것이니, 소와 양 같은 종류의 암컷ㆍ수컷이 욕심을 내어 수컷이 암컷의 음부[根]에 코로써 냄새를 맡으면, 곧 새끼를 갖는 그러한 것이다. 셋째 알로서 나는 것이니, 닭과 참새 같은 종류의 암컷ㆍ수컷이 욕심을 일으켜 몸을 흙이나 모래 속에 문질러서 알을 가져 새끼를 낳는 그러한 것이다. 넷째 소리로써 나는 것이니, 학(鶴)과 공작(孔雀)같은 종류가 욕심을 내면, 암컷이 수컷의 우는 소리를 듣고서 역시 알을 가져 새끼를 낳는 그러한 것으로서, 일체 낳는 알은 먹지 않고 다 새끼를 두는 것이다.
분별하는 성품이란, ‘공’함이 없는 것이니, 얻을 법 없는 것을 분별하기 때문이다. 남을 의지하는 성품이란, ‘공’함과는 같지 않는 것이니, 이와 같이 집착할 것을 깨뜨리고, 진실한 성품이란, 제 성품의 ‘공’한 것이니, 사람과 법의 두 가지 ‘나[我]’없는 그것이 곧 제 성품의 ‘공’한 것이다. 다시 분별하는 성품이란, 마치 허공의 꽃이 있을 수 없는 것과 같고, 남을 의지하는 성품이란 허공의 꽃과는 다른 것이어서 마치 눈흘림[幻化]이 ‘공’하거나 있거나 없는 것이 아님과 같음이다. 남을 의지하는 성품을 관하되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는 것으로 관하기 때문에 능히 도를 얻어 성인을 이룩하나니, ‘공’하다거나 없다는 것은 단견[斷]의 관이므로 ‘공’하고 없음은 도를 얻어 성인을 이룩할 수 없는 것이다. 일체 번뇌의 분별에 집착하는 것이 분별하는 성품이고, 일체 법의 욕락(欲樂)으로 관습(觀習)하는 것이 진실한 성품이며, 집착하고 관습하는 이 두 가지가 남을 의지하는 성품에 속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법을 일컬어 훈습(熏習)이라 하나니 번뇌 종자의 훈습이고, 둘째도 종자의 훈습이다. 둘째의 훈습이 본식(本識)을 증장(增長)하는 것은 같은 종류이기 때문이다. 본식에 그 대로의 진리[如如]를 반연하여 네 가지 비방[四謗]을 일으킴은 이 허망한 훈습의 종자이니, 번뇌가 다 같이 이 허망한 것이다. 이 때문에 훈습이 능히 본식을 증장하는 것은 마치 단맛[甛]의 물질이 담담한 맛을 증장하면, 역시 단맛인 것처럼 같은 성품이기 때문에 증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능력을 구속함이란, 그 업이 네 가지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첫째 업을 짓는 것이 될지언정 업을 늘리게 되는 것은 아니니, 마치 영리한 지혜와는 사람이 나쁜 맛을 만나서 불선한 업을 짓는다면, 이는 업을 짓기는 하되 곧 다시 후회하기 때문에 늘리게 되는 것은 아닌 것과 같음이다. 둘째 업을 늘리게 하는 것이 될지언정 짓게 되는 것은 아니니, 마치 부끄러워하는 사람이 남을 따라 선한 업을 수행한다면, 더 늘리기는 하되 스스로가 일으켜서 마음에 일부러 짓지 않음이 아닌 것과 같음이다. 셋째 업을 짓기도 하고 늘리기도 하는 것이니, 마치 어떤 사람이 선한 업을 짓고서 다시 항상 자주자주 익힌다면, 이는 선한 업을 더욱 광대하게 하는 것과 같음이다. 넷째 짓지도 않고 늘리지도 않는 것이니, 곧 번뇌 없는 선한 업이 만약 생사의 과보를 더욱 증강한다면 이는 짓는 것이라 하겠지만, 번뇌 없는 선한 업이 능히 생사의 짓는 것을 제거하기 때문에 늘리지 않는 것이다. 앞의 세 가지는 업이고 뒤의 한 가지는 업이 아니니, 앞의 세 가지 중에 나아가서 셋째의 구절을 취하는 것이 이른바 짓기도 하고 늘리기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모든 업을 구족하여 능히 갈래[六趣]에 날 수 있다고 말함은 곧 여섯 갈래 생사의 과보를 얻을 수 있어서 아리야식(阿梨耶識)의 인(因)을 내는 것이다. 이 생사의 원만한 몸이 훈습의 방편을 인하여 이 때문에 생사가 이룩되고, 이 때문에 인의 뜻인 생사의 원만이라고 이르는 것이다.
둘째의 관습하는 진실한 성품이란, 세 가지 성품 없음을 관하는 것을 이르되, 관습하는 진실한 성품이라 하나니, 관이 네 가지 작용이 있다. 제거하는 관이 그 하나이고, 멸(滅)하는 관이 그 둘이고, 증(證)하는 관이 그 셋이고, 닦는 관이 넷이다. 그대로의 진리를 관하되 괴로움 진리[苦諦]의 성품으로 관하는 것처럼 쌓임과 사라짐과 도의 세 가지 진리도 그러한 것이어서 네 가지 진리를 관하는 그대로의 진리가 네 가지 작용을 갖춤이다. 이를테면, 그대로의 진리를 관하는 것이 곧 사라짐을 증하는 것이며, 그대로의 진리를 아는 것이 곧 도를 닦는 것이다. 능히 집착하는 분별의 성품을 제거하는 것이란, 그 분별이 없는 가운데에 있음을 짓는 것이고, 진실한 관이란 그 있고 없음이 제 성품을 더불어 서로가 어긋나는 것을 나타냄이니, 이 때문에 제거라고 이르는 것이며, 분별하는 성품인 이 제1의 훈습이 손실과 파괴를 입는 것이란 현재에 손실을 입고 미래에 파괴를 입음이니, 만약 쌓임의 진리를 손실한다면 괴롬도 역시 손실을 입는 것이다. 아리야식이 손실을 입는 것이란, 본래 일곱 겹[七重]의 괴롬 진리가 있는데, 세 세계[三界]가 곧 세 겹이니, 세 겹이 손실을 입고 나면 아리야식이 과보의 근본을 받는지라 비록 미혹된 업에 끌리는 것이 없어 다시 세 세계에 들어가 나지는 않더라도 유전 없는 경계 가운데 존재하여 네 가지 생사 속에 태어남을 받고 이와 같이 하여 또는 생사의 지위가 없는 것이다. 아리야식이 손실을 입기 때문에 태어남을 받는 것도 손실을 입는다. 왜냐하면 현식(顯識)이 곧 분별식(分別識)인 만큼, 현식이 손실을 입기 때문에 분별식도 손실을 입는 것인 줄을 알지니, 이 분별이 바로 남과 나, 또는 여섯 대경[六塵] 따위의 식인 것이다. 또 이미 아무것도 없을진대 어찌 손실을 입을 뿐이겠는가. 이제 손실을 입는다고 말함은 청정한 품을 근거로 하여 말함이니, 이는 본식(本識)을 더불어 함께 다하는 것이며, 아리야식의 이하(以下)것은 다 멸할 수 있는 것이다.
017_0491_a_01L顯識論一卷 從無相論出眞諦三藏譯一切三界但唯有識何者是耶三界有二種識一者顯識二者分別識顯識卽是本識此本識轉作五塵四大何者分別識卽是意識於顯識中分別作人天長短大小男女樹藤諸物等分別一切法此識聚分別法塵名分別識譬如依鏡影色得起是緣顯識分別識得起是分別若起安立熏習力於阿梨耶識由此熏力本識未來得生緣此未來顯識未來分別識得起以此因義是故生死無有前後爲顯此義佛於解節經中偈言顯識起分別 分別起熏習 熏習起顯識故生死輪轉所言熏習者一執著分別性二觀習眞實性以此二義故名熏習第一熏習者增長阿梨耶識阿梨耶識被增長具足諸能能生六道受生諸識以是義故生死圓滿第二熏習者名觀習眞實此熏習能除執著分別性是第一熏習被損壞故阿梨耶識亦被損梨耶識旣被損受生識亦被損以阿梨耶識能生三界由被損故得三界轉依此轉依義具五種如滅差別相中解說顯識者有九種一身識二塵識三用識四世識五器識六數識四種言說識八自他異識九善惡生死識其次分別識有二種一有身者二受者識前九識中 第一身識謂轉作似身是故識名身識所言似者如所執身相貌似身而非眞實名似身此識能作相似身名爲身卽是五根餘塵等八種識亦如是卽是唯識義也所言身識者有五種卽眼根界等是名身識通是五根第二塵識有六種色界等乃至識塵通名應受識 第三用識者六種識界等卽是六識大論名爲正受識第四世識者有三種卽三世過去未現在也又生死相續不斷故名世第五器識者大論名處識也略卽器世界謂外四大五塵廣卽十方三界等第六數識者算計量度 第七四種言說識者謂見聞覺知四種一切言不出此四若不說見卽說聞覺知亦爾 第八自他異識者謂依處各六趣不同依處者身也六趣身自他異識 第九善惡趣生死識者一切生死不離兩道善者人天惡者四趣此善惡道不離生死卽生卽滅無停住故 又有身者識者我見所此識爲我見貪愛所覆故受六趣此識爲生死身若有此識卽有身此識若盡則生死身盡我見生一切肉惑貪愛生一切皮惑故有生死若離愛我見卽無皮肉煩惱若無肉煩惱卽無三界身故身識受生死也二受者識意界名受者識卽三種意識一謂阿梨耶識是細品意識恒受果報不通善惡但是無覆無記二陁那識是中品意識但受凡夫身果報三者謂常所明意識是麤品意通受善無記三性果 五識亦此三品意識通能受用果報但今據興廢爲言故呼梨耶識爲受者識又梨耶識是凡夫所計我處由陁那執梨耶識作我境能執正是陁那故七識是我見體故分別識有二種有身識二身者識合名意根大本染污根卽陁那識二次第緣意根體卽緣本識作我境自出彼緣相彰顯識有九種如上顯識唯是梨耶若是分別則是陁那及意識陁那分別我意識分別萬法意識有三種分別五識但有自性分別熏習有四種方便二名三相四世第一法一忍有二一廣二略一切衆生皆迷眞實性今修習先作廣觀次作略觀得入眞所言廣者卽觀四諦集卽是凡夫俗諦滅道卽聖人眞諦各有九觀苦九分卽三界各有三世成又欲界一有色界四有無色界四故爲九種集諦九分卽是九結分滅此九結爲九滅諦道諦九分者九次第三摩提卽九次第定次略觀先觀苦諦爲八種者觀四大四名大卽色陰四名卽四陰以爲八種苦集有八者卽八邪乖八聖道滅諦八種者滅八邪卽名八種滅道諦八者修八聖道以爲道諦次復略觀苦爲六趣及中陰集七者卽是七使使者瞋癡慢疑見欲界欲名欲使無色界名爲有使合爲七種使滅七使名七種滅道諦七者卽七覺分略觀苦爲六種謂六種內入集六種謂六種貪愛卽六塵生六種貪滅六貪爲六滅道六者六種出離界一出離殺他瞋修慈界二出離逼惱瞋悲界三出離嫉妒瞋修喜界四出離貪欲修捨界五出離覺觀熏修念出入息界六出離無明惑修無我界修此六種名出離界次略觀苦爲五五陰集爲五卽五蓋滅此五蓋爲五種滅道五者卽五根五卽五力等略觀苦四種卽四念處謂身受心法四者卽四取亦卽四流四取者取只是貪有四種貪卽是取有四種一欲二見取三戒取四我語取我語取是內取緣內五陰貪色無色八禪定內法名我語取於中取名我語取若貪欲界塵名外法名爲欲取取者是斷見衆生我語取是常見衆生此兩法緣事起見取戒取取常見緣理起此四取是受資糧明受愛有三種一遠離貪愛卽一切三塗衆生二求得貪愛卽人天至三空三住貪愛卽非想非非想謂爲涅槃四種取名集諦滅四取名四滅諦諦四者謂四念處卽是四種般若觀身通達苦諦觀受通達集諦觀心達滅諦觀法通達道諦觀身爲麤觀界身麤爲苦觀欲界身寒熱等爲苦觀色界身四威儀爲苦觀無色心念念不住苦觀受通達集諦者衆一切貪愛緣受故起若無受貪不生故觀受通達集諦若觀心通達滅諦者一切衆生安立我見於心中是故衆生執我見則不信有滅只由陁那執梨耶是一是常故我體非滅心非我故信有滅以捨我見觀人法二無我故觀心通達滅諦觀法通達道諦者法有二一淨品二不淨品不淨品爲苦淨法爲滅道又不淨卽一切諸惑淨品者一切治道應須通達道諦次略觀苦三種卽觀三界爲苦觀欲界爲苦苦觀色界爲壞生住不停樂壞時卽苦故壞苦無色界爲行苦生住壞三時皆苦衆生有二道惡道爲苦善道爲樂此二邊謂爲涅槃此心有行有動是故無常故苦也集有三者卽三毒又三身見戒取身見者衆生著身見執有常樂我淨故住生死不修出世戒取者不肯修正道疑者疑不決滅諦滅此三種煩惱卽爲三滅三者謂戒定慧次略觀苦爲二謂身心又名色亦是集二者十二因緣中無明貪愛滅此二種爲二種滅道諦二卽定次略觀苦爲一謂無常爲集者謂不正思惟滅此思惟爲滅道謂身念處卽摠觀四念處名爲身念處又義若自思惟爲道諦不正思惟爲集諦欲令實慧分明故作廣略二種觀觀苦一切法作九分乃至一分餘三諦亦然 語言及分別熏習四種方便處語言熏習者從忍名至自性法處所言處者卽名爲所境界爲處分別熏習從相至第一切修得法一切修得法處者從下品至上品相第一一切爲處若人依名爲思擇是名語言熏習若人離名句直思擇義是名分別熏習是顯識顯後兩識 兩識者一四種言說識二自他差別識顯此兩識餘七種識及分別識此八種識緣語言熏習得又兩識一身識二受者識及自他異識此三識緣身見熏習得生又善惡生死識緣有分熏習得起如是諸是名一切三界唯有識也義疏九識第三合簡文義有兩一明識體二明識用一識體者出唯識論論曰一切三界唯有識 問曰一切法只是三界何用二言兩義一者分段是三界變易是界外四種生是一切也二者廣言一切是何十方十方非三界故云一切三界也今唯有識者上七種死唯識所顯現離識無別體故言三界唯有識也自性義自性有兩一者不雜義性異色色非無色也二者性是不改不轉爲義欲爲欲色爲色無色爲無善惡亦爾三性不改爲義唯有識離識無有別境也由識見有似塵離識塵無體也論曰何者爲識所謂三界 釋曰前明離識無三界此明離三界無識又前明二識用 論曰識有二種一顯識二分別識初一是本識本識顯六塵也次一是六識六識分別此異彼也又前一明所緣後一明能緣就顯識有二種迴轉一迴轉作六塵二迴轉作五根次分別識迴轉作似我如是意執二識計我也卽陁那與意識共作我見那執本識起我體相意識分別計我有種種差別用故一切法不有不無由六塵有六識不可定無也離六識無六塵不可定有又一切法不可定說有亦不可定說無也人法二我實故不可說有有人法二空眞實故不可言無又義一切法決定有決定人法決定無此人法二空是決定此三悉共顯俗是有顯眞是無明識用論曰此分別識若起安立熏習力於阿梨耶識中 釋曰熏習力譬如燒香熏習衣香體滅而香氣猶在衣中名爲熏衣此香不可言有香體滅故不可言無香氣在故故名爲熏如六識起善惡留在熏力於本識中能得未來報名爲種子若小乘義正量部名爲無失譬如劵約故佛說諸業不失無數劫中至聚集時與衆生報摩訶僧祇柯部名爲攝識是不相應行譬如誦經初一遍未得第二遍誦攝前第一如是乃至第十誦通利時卽通攝前九如是初識能變異在第一如是乃至第九變異在第十中第十能攝前九卽此第十變異之用名爲攝識有前九用故不朱前九也薩婆多部名同隨得同者時等相應隨者與三性不相而得者不失義同亦不失隨亦不譬如摩斗樓此言榆花取洛柯汁謂赤色汁點摩斗樓花鬚花鬚與赤色俱後結實成熟則有赤色出是名同時修得赤色至果不失故名同同前有赤色出是名同修得赤色至果失故名同前來至後不失名隨隨最後顯故名得也若是他毘梨部名有分識有者三有卽三界也亦有七有中有二生有三業有四死有通前三爲七有也色二界具四有若無色界無中有中有者正辯名爲向生處者有因緣名處也 如十二因緣有支是事有故是事有是事生是事生有者是因因有二一前因同時因如橘子生芽是前時因芽生則有竝橘同時因行緣識識緣名色名色緣六入六入緣觸受等是同時以言是事有故是事有者爲破外道生有義外義云一切衆生從自在天我有故生死是有言內義同今破由前因故得生汝自在天無有非生生死有是生故不得是有故不得是有故有也故佛立義是事有卽有生汝自在天是有非是生生不同內義乃至從世性微塵等生亦又外道立無因有果果自然生故破外道此物有是因有故果事是也所以明二義者爲明因緣具故得生若此物有故此物有是緣若此物生故此物生是明因義有分者生處卽是生因生緣此有分識體是果報法決是自性無記也四有者從識支至六歲是生有從七歲已上能分別生熟起貪至未捨命是業有死有者唯一念中有卽中陰就業有中六識起三種業不善不動等三業有爲有爲有分識所攝持六識自謝滅由有分識攝持力用在問曰何故立有分識一期生中常緣一境若生人天此識見樓觀等事報若起六識用麤覆障則不覺此識用若生惡道此識但緣火車等若報起六識用則不覺此識緣也若欲界六識欲境凡夫不能覺乃至無色亦然無色諸識滅此有分識用則顯如梨耶及意識也 言種子者此相續變能感未來果報是名種子相續無變異亦非種子若但變異無相續非種子相續變異不相離故成種子如螺白色非一非異若白色是螺則無三塵若白色異螺則見白色不得螺故不可言定異以不異故名白螺也相續變異亦爾故成種子緣此熏習力本識未來得生者釋曰緣熏習力種子若成本識得生緣未來顯識未來分別六識得生也是故生死無前後者若離煩惱業則不得生若生死有前分則別有前分衆生處起煩惱業感前分處旣無前分衆生起業則無有前分生死故知生死無始無初義明無初一非本若衆生初無後有者此無不作有本有二種過失一者若不能生後若能生有則非無二者平等過失若虛空花生有事者可得從無生有二者不見離欲衆生生生死無初也若生死初無貪欲等方有貪欲等者離欲阿羅漢等無欲亦應生欲以是羅漢更不生欲故生死無初三者修行梵行無用故生死無初一切聖人修八聖行爲滅令不生修梵行離欲人更不生滅故故知生死無初四者生死有二種惡報二善道是善惡由善惡二因得無因是生死初爲善道爲惡道善道者未有善因若惡道者未有惡離善惡二道更無第三道故知無初也難曰初者自然不用因緣後者須因緣若爾者是義不然有二過卽理不平等故二因果不相似若汝說生死不由因後由因者則不平等初後皆是生死何故一由因一不由二不相似者果亦有因因亦有因因果皆有因故得相似若相似能生同類汝若前無因故後亦應無因前無因後有因者則不能生若能生豆應生麥麥亦應生豆而不然者知汝前爲後果作因前因不成因也佛說偈初句顯識卽是梨耶梨耶則果報識分別識卽是煩惱識是從果報起煩惱識煩惱識卽陁那等次句明從煩惱起識識起熏習熏習卽是業功能能轉變本識成種子識也次句從業起果報次句摠結生死輪轉轉者以不定故或因轉作果或果轉作因也所言熏習有二種者下爲顯二義一顯生死方便名爲邪亦名違二顯涅槃方便名正亦名隨順執著分別性者一切諸法有三種性一分別性二依他性三眞實性分別性者名言所顯諸法依他性者一切諸法因果道理所顯眞實性者一切諸法如如性分別者無相爲其性依他者無生是其性所言性者自有五義一者自性種類義一切甁衣等不離四大種類義同是四大性是自性義二者因性義一切四念處聖法所緣道理緣此道理能生聖法亦是因義三者生義若物無生則性不可見生義可見故性訓生五分法身是生性義來正說衆生信樂生三種信一信有眞實道理二信得五分法身功德三自利利他德備修五分身五分身生顯至得性故故五分法身生以此爲性義四不壞義此性在凡夫不染聖不淨故名不壞五秘密藏義親近則行淨乖違則遠離此法難得幽隱故名秘密卽名藏義生有四種一觸生如男女交會有子二嗅生如牛羊等類雌雄有欲心雄以鼻嗅雌等根便有子三沙生如雞雀等雌雀起欲以身坌塵沙之中而有卵等生子四聲生如鶴孔雀等類有欲心聞雄鳴聲亦生卵生子一切出卵不可食皆有子也分別性是無有空分別無法可得故依他性是不如空如是破所執眞實性是自性空無人法二我是自性空也復次分別性如空花極無依他性異空花似幻化非空有觀依他性不有不無故能得道成聖空無是斷觀空無不能得道成聖切煩惱別執著分別性一切諸法欲觀習眞實性執著觀習此二屬依他性此二種法是名熏習一煩惱種子熏習二道種子熏習也第二熏習增長本識者以同類故本識緣如如起四謗是虛妄熏習種子煩惱同是虛妄是故熏習能增長本識譬如甜能增長淡淡亦是甜性同性故能增長具足諸能者明業有四種一被作不被長如利智人遇惡知識起不善業是作復卽追悔故不被長二被長不被作如羞慚人隨人修行善被增轉廣不能自起若心故不作三亦作亦長者如人作善業復恒數習此善業轉廣大也四不作不長者卽無漏善業若轉增長生死報名爲作者無漏能除生死作者故不長三是業後一分非就前三中取第三句亦作亦長故云具足諸法能生六趣者卽能得六趣生死果報生阿梨耶識因此生死圓滿身因熏習方便生死得成故云此因義生死圓滿第二觀習眞實性觀三種無性是名觀習眞實性觀有四用一者除觀滅觀三證觀四修觀觀如如是苦諦性性三諦亦然觀四諦如如具四用觀如如滅苦滅集觀如如卽證滅如如卽修道也能除執著分別性者分別於無中作有眞實觀者顯有無與自性相違故云除分別性是第一熏習被損壞者現在被損未來被壞若損集諦苦亦被損阿梨耶識被損本有七重苦諦三界卽爲三重重被損竟阿梨耶識是受果報本無惑業所引不復入三界生而在無流界中四種生死內受生如是乃至無有生死位也梨耶被損故受生亦被損何以故顯識是分別識因顯識被損故知分別識亦被損此分別人我及六塵等識又已滅盡何止被損耶今言被損者據淨品爲語此與本識俱盡也是阿梨耶能下者可滅除也顯識論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