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_IT_K0048_T_001
- 006_1307_a_01L혜상보살문대선권경(慧上菩薩問大善權經) 상권
- 006_1307_a_01L慧上菩薩問大善權經卷上
-
서진(西晉) 월지국(月氏國) 축법호(竺法護) 한역
변각성 번역 - 006_1307_a_02L西晉月氏國三藏竺法護譯
-
이와 같이 들었다. - 006_1307_a_03L聞如是:
-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성(舍衛城)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동산에서 노니시면서 큰 비구 대중과 함께하셨나니, 비구는 8천 인 위대한 제자로서 학문과 계(戒)를 구족하였으며, 보살은 1만 2천 인인데, 일체 거룩한 신통을 통달하지 못한 바가 없었고, 이미 총지(摠持)를 얻어서 변재가 한량없었고, 법인(法忍)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그 덕은 한량없어서 모든 근기를 사무쳐 보아 병에 따라 약을 주었고, 사자후(師子吼)로 시방을 구제하여 백천 중생들로서 제도함을 입지 않은 이가 없었다.
- 006_1307_a_04L一時,佛遊舍衛城祇樹給孤獨園,與大比丘衆俱,比丘八千,諸大弟子學戒具足,菩薩萬二千,一切聖通無所不達,已得摠持辯才無量不起法忍,其德無限,徹睹諸根,應病授藥爲師子吼,救濟十方,衆生百千莫不蒙度。
- 그때에 부처님께서는 고요히 앉으심[宴坐]으로부터 일어나시어 바로 무수한 대중과 권속들에게 둘러싸여 경을 연설하셨다.
- 006_1307_a_10L爾時世尊,從宴坐起斯須未久,與無數之衆眷屬周帀而爲說經。
-
그때 모임에 보살(菩薩)이 있었으니, 이름은 혜상(慧上)이었다.
곧 자리로부터 일어나서 의복을 다시 정돈하고 장궤(長跪)하고 차수(叉手)하여 부처님 앞에서 아뢰어 말씀드렸다.
“원컨대 묻고자 하니, 여래․지진(至眞)께서는 듣는 자에게 풀어 말씀해 주옵소서.” - 006_1307_a_11L時會菩薩名曰慧上,卽從坐起,更整衣服,長跪叉手前白佛言:“願欲有所問,唯如來至眞聽者,乃敢陳說。”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마음껏 묻고 싶은 바를 물어라. 부처님께서는 그대를 위하여 막힌 것을 풀어 주겠노라.” - 006_1307_a_14L世尊告曰:“恣所欲問,佛當爲汝開解結滯。”
-
혜상보살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말한 바 좋은 방편[善權]은 무엇을 말함이오리까?” - 006_1307_a_15L慧上白佛:“所云善權,爲何謂乎?”
-
부처님께서는 혜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훌륭하다. 족성자(族姓子)여, 불쌍히 여기고 슬피 생각하는 것이 많아서 천상 인간 사람을 안온케 하고, 장래를 권장하며 교화하고 3도(道:惡道)를 이끌어 주며, 불법을 열어 주어 미묘한 지혜를 얻게 하려고 이에 보살의 선권방편을 묻는구나.” - 006_1307_a_16L佛告慧上:“善哉,善哉!族姓子!多所愍傷哀念安隱諸天人民,勸化將來導引三塗,開闡佛法獲微妙慧,乃問闓士善㩲方便。”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라. 내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그 요지를 말하겠노라.”
혜상보살 및 뭇 모인 이들은 가르침을 받고 듣고 있었다. - 006_1307_a_20L佛言:“諦聽!善思念之!吾當爲汝申暢其要。”慧上菩薩及與衆會受教而聽。
-
006_1307_b_02L이에 부처님께서는 혜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족성자여, 좋은 방편[善權]을 지닌 개사(闓士:보살)는 한 덩어리 밥으로써 때를 따라 방편으로 크게 베풀고 널리 보급하여 중생과 축생에 떨어진 자를 권발(勸發)하여 이들 두 중류로 하여금 모두 덕본(德本)에 나아가게 하고, 모든 신통 지혜를 일으켜 그 마음이 깨달아서 부처님 지혜를 구족하게 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a_22L於是佛告慧上曰:“族姓子!善㩲闓士以一揣食,隨時方便弘施流普,勸發黎元墜畜生者,使此二品悉趣德本,興諸通慧,其心曉了具足佛慧。是謂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만일 사람이 덕을 심으면 권찬(勸讚)하고 대신 기뻐하여 이의 선본(善本)으로 곧 중생에게 베풀고 깨닫는 마음으로 일체 마음을 수순하여 타락하지 않고 이 교리를 강론하고서는 성문(聲聞)․연각(緣覺)의 법을 이루어 모든 신통 지혜가 되게 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b_05L又,族姓子!善㩲闓士,若人殖德勸讚代喜,以斯善本則施衆生。以覺之心,順一切心而不墮落。講斯教已,成諸弟子,緣覺之乘爲諸通慧。是謂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시방의 모든 나무에 그 꽃이 찬란하고 향기가 아름다워서 사람이 좋아하나 주인과 명칭이 없는 것인 그를 공손히 채집하여 부처님께 받들어 올리고, 이 덕본으로써 자기와 여러 사람들이 신통 지혜에 뜻을 두고 도명(道明)을 갖추어 한량없는 계품(戒品)과 정품(定品)과 혜품(慧品)과 해탈품(解脫品)과 해탈지견품(解脫知見品)을 골고루 얻기를 맹서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b_10L又,族姓子!善㩲闓士,十方諸樹其華煒曄,香氣芬馥人所欽尚,而無主名,敬採集合奉散諸佛,誓以德本,已及衆庶志諸通慧使備道明,具獲無量戒品、定品、慧品、解脫品、度脫知見品。是謂菩薩善權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중생을 불쌍히 보살피되 편안한 데에 있으면 따라 기뻐하고 그의 우환을 대신 받고, 모든 신통 지혜의 인연과 방편으로 덕본을 건립하여 여러 중생들에게 베풀고 시방세계를 위하여 덕의 투구를 쓰되, 그 해(害)를 만난 자에겐 그 우환을 구출하고 그 죄를 대신 받으며, 신통 지혜로써 권하여 큰 안락을 얻게 하기를 맹서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b_16L又,族姓子!善權闓士,愍察群萌,在安助喜、彼患代受,以諸通慧因緣方便,建立德本用施衆類,爲十方世界誓被德鎧,其遭惱害者則救攝所,患代受其罪勸,以通慧使獲大安。是謂菩薩善㩲方便。
- 006_1307_c_02L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한 부처님께 공양함에도 여러 부처님의 법신(法身)이 평등함으로 관찰하여 계(戒)와 정(定)과 헤(慧)와 해탈지견(解脫知見)에도 또한 다시 이와 같이하여 이 한 부처님께 공양하면 곧 시방의 여러 부처님께 공양함이 된 것을 알고, 공양한 복으로 개사는 그를 받아서 중생에게 복을 베푸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b_22L又,族姓子!善㩲闓士,供一如來,觀慮諸佛法身平等,戒、定、慧、解、度知見品亦復如之。知是供養一如來等,則爲奉養十方諸佛,所見供祚,闓士歷受施祐衆生。是謂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태어나는 곳과 그 머무른 곳에 나[我]라 계교하지 아니하여 일찍이 스스로 낮게 보지 아니하여, 만일 4구(句)의 게송을 외우더라도 그 뜻을 관찰하여 마음으로 겁내거나 지치지 않고, 전하고 시현함을 구비하고, 이양(利養)을 생각하지 않으며, 불국토를 이익되게 한다. 만일 국읍(國邑)에 들어가면, 문득 큰 자애(慈哀)를 일으켜 기쁘게 연설하여 ‘나의 4구 게송을 듣는 자는 모두 부처님의 걸림이 없는 변재 이루기’를 서원(誓願)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c_04L又,族姓子!善權闓士,敢所生處,其所住處不計吾我,未曾自輕;如令諷讀四句之頌,觀察其義心不怯羸,宣顯備具,不想利養。蓋諸佛土;若入國邑,輒興大哀踊躍說之,誓願聞吾四句頌者,皆成諸佛無㝵辯才。是謂菩薩善權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설령 가난한 집에 태어나서 행걸(行乞)하여 한 공기의 찬을 얻을지라도, 비열한 마음이 없고, 그것으로 더욱 현중(賢衆)에게 받들며, 만일 한 사람에게 베풀면 속으로 생각하여 관찰하되,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시되, ‘널리 베풀기를 힘쓰라’ 하셨거늘, 지금 나는 구걸하매 그에게 주는 것이 작으나, 모든 신통 지혜를 건립하는 데 서원의 뜻만은 한량없이 하리라 하여, 이의 덕본을 심고 중생을 권발하다가 요행히 보배 손바닥[寶掌]을 얻으면, 여래․지진(至眞)․등정각(等正覺)과 같으리니, 이 묘한 지혜, 광명으로써 한 공기의 공양을 받아먹은 자도 계를 지니고 도를 배우며, 높은 공덕에 반연하여 이루는 바가 많으리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c_11L又,族姓子!善權闓士,假使生在貧匱之門,設行乞丐求一夕膳,無鄙劣心轉奉賢衆;若惠獨人內自惟察,如來有言務恢廣施,今吾乞與所進微尟。建諸通慧誓意無量,殖斯德本勸發衆生,僥獲寶掌,若如來、至眞、等正覺。以斯妙慧光護夕供,所服納者持戒學道,緣崇功德多所彼致。是謂菩薩善權方便。
- 006_1308_a_02L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모든 성문․연각(緣覺)과 함께 노닐되, 마음은 그와 같이 돌아가지 않고, 사람이 성문․연각에게 공양함을 보면 뜻이 흠탄[欽]하지 않고 두 생각을 일으키나니, 첫째는 보살 마음으로부터 불세존(佛世尊)을 이룸이요, 둘째는 제자 연각은 불법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을 하고서는 모든 공양하는 바를 그에게 올리지 않는다. ‘나의 배우고 익힘은 3품(品)이 제일이다’라고 하여 친소가 없는 것을 관하여 탐하거나 즐겨 하는 바 없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07_c_20L又,族姓子!善權闓士,與諸弟子緣覺俱遊,心不同歸;見人供養弟子緣覺,意不欽獲;興于二念:一、從菩薩心成佛世尊。二、弟子緣覺因佛法生。造斯觀已,諸所供養未以爲上,吾所學習則三品最,觀無適莫無所貪樂。是謂菩薩善權方便。
- 또 족성자여,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한 보시를 행하는데, 곧 6도(度)를 구족하여 다함이 없느니라. 무엇이 6도인가.
- 006_1308_a_04L又,族姓子!善權闓士,行一布施則具六度無極。何等六度?
- 좋은 방편을 지닌 개사는 가난하여 구걸하는 자를 보고 큰 보시를 구족하여 간탐(慳貪)하는 마음이 없나니, 이것이 시도(施度)의 다함없음이요, 몸소 금계를 두호하고 계 지니는 자를 받들며, 그 악을 범한 자로 하여금 계법(戒法)에 서게 하고, 이윽고 급시(給施)하여 훼상이 없게 하나니, 이것이 계도(戒度)의 다함없음이요, 만일 성내는 자는 자비심과 청정한 마음과 밝은 마음과 애민하는 등의 마음으로써 어거하여 보시를 베푸나니, 이것이 인도(忍度)가 다함없음이요,
- 006_1308_a_06L善權闓士見貧乞者,具足大施無慳貪心,斯施度無極。身自護禁奉持戒者,其犯惡者使立戒法,尋而給施令無所毀,斯戒度無極。若瞋恚者,御以慈心、淨心、明心、愍哀等心,興施布施,斯忍度無極。
- ‘편의를 따라 음식을 공판(供辦)하나 몸과 입과 뜻의 행과 마음은 허공과 같다’ 함이니, 이는 진도(進度)가 다함없음이요, 한마음으로 평등히 보시하고 행동하거나 눕고 꿈꾸는데도 산란한 행(行)이 없나니, 이것이 정도(定度)가 다함없음이요, 이와 같이 보시하고서 모든 법을 생각하되, ‘어느 보시하는 자가 있으며, 무엇이 먹는 자며, 누가 보응(報應)을 받으리오. 이 구하는 자는 법을 얻을 수 없다’ 고 한다. 보시하는 자와 보시함을 먹는 자를 보지 못하며 보응을 받음도 없나니, 이것이 혜도(慧度)가 다함없는 것이다. 이 족성자의 선권으로 보시함이 이와 같아서 곧 6도 다 없는 법을 구족함이니라.”
- 006_1308_a_11L隨宜供辦飮食之膳,身口意行身等如空,斯進度無極。一心等施進止臥夢而無亂行,斯定度無極。如茲施已御念諸法,誰有施者?何所食者?誰受報應?造斯求者法不可得,不見施者及食施者,無受報應,斯慧度無極。是族姓子!權施若斯,則具六度無極之法。”
-
이에 혜상보살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일찍이 있지 아니한 것이옵니다. 천중천(天中天)이시여, 개사 장부(丈夫)는 선권의 보시를 구족하고, 일체 불법을 포섭하고 두호하여 나고 죽는 데에까지 구원하고 그 힘이 다른 무리에까지 미치나이다.” - 006_1308_a_18L於是慧上菩薩白佛言:“未曾有也,天中天!闓士丈夫權施具足,一切佛法多所攝護,振于生死贍及餘類。”
-
006_1308_b_02L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지극하도다. 진실로 말한 바와 같나니, 선권인 보시가 비록 작으나 여러 덕을 이루는 것을 살피건대 한량없어 헤아리기 어렵도다.
또 족성자여, 선권방편(善權方便)을 행하는 보살이 물러갔다 되돌아옴이란 무엇이라 하느냐. 선권방편으로써 보시하여 주며, 비록 악한 벗을 따라 걸린 바가 되었더라도 죄를 다 배상한 이는 스스로 관찰하고 생각하여 말하되, ‘음(陰)의 종류와 모든 입(入)은 없애지 않을 수 없나니, 마땅히 이 환란을 없애고, 이에 하염없는 데에 이르겠노라. 나는 마땅히 도덕의 투구를 쓰고 힘대로 일으키고 주선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곧 완성되도록 힘쓰기를 맹서하겠다.’고 하느니라.” - 006_1308_a_21L佛言:“至哉!誠如所云。權施雖微,審成衆德無量難計。又,族姓子!行權闓士,何謂退還?以權方便而以施與,縱隨惡友爲之所拘,畢償罪者自觀念言:‘陰種諸入得無不滅,當除斯患乃至無爲,吾誓當被道德之鎧,任力發起周旋終始則務究竟。’”
-
혜상보살은 또 물었다.
“오직 천중천이시여, 설령 어떤 사람이 네 가지 죄에 범하고 생각이 있어 뜻을 발하여 출가하여 보살도를 닦는다면, 그런 후에는 어떻습니까?” - 006_1308_b_05L慧上又問:“唯,天中天!假使有人犯于四罪,有所想念,發意出家爲菩薩道。然後云何?”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설령 4중(重) 금계[禁]를 훼실하였더라도 선권으로써 죄를 소멸하던 모든 환란이 모두 없어지리니, 이 족성자의 보살도를 닦는 데에 죄가 없어지는 것이니라.” - 006_1308_b_07L佛言:“設當毀失四重之禁,以權消罪,衆患悉除。是族姓子!爲菩薩道無有罪舋。”
-
그때에 혜상보살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떤 것을 보살의 죄와 재상이 있는 것이라 이르나이까?” - 006_1308_b_09L爾時,慧上菩薩白世尊曰:“何謂菩薩而有罪殃?”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보살이 득탈계(得脫戒)를 배움이다. 득탈계란 것은 곧 350계(戒)이니, 백천 겁 동안 나무 열매나 풀 열매를 먹고 사람들에게 욕됨을 당하여도 모두 참는 것이니라. 만일 ‘제가 연각의 행’을 생각함이 있는 개사는 곧 ‘나고 죽는 뿌리’에 묶임이 된 것이니라. 족성자는 ‘성문․연각이 본래의 모든 금계에 범하면 음(陰)의 종류와 모든 입(入)을 제하지 못하고 멸도를 얻지 못한 계와 같아서 만일 족성자가 개사의 행을 버리고 스스로 고치지 않고서 생각을 두어 뜻이 성문․연각을 구하면, 위없는 정진(正眞)의 도를 얻어 최정각(最正覺)이 되고자 하는 자는 마침내 능히 이루지 못하느니라.” - 006_1308_b_11L佛言:“若有闓士學得脫戒,得脫戒者則二百五十禁,於百千劫服食果蓏,爲人所辱而皆忍之。若有想念弟子緣覺之行,闓士則爲生死根縛。如族姓子!聲聞緣覺犯本諸禁,不除陰種諸入,不得滅度也。如族姓子!捨闓士行不自改正而有想念,志求聲聞、緣覺,欲得無上正眞之道爲最正覺者,終不能成也。”
-
006_1308_c_02L이에 아난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기억하여 보건대, 내가 옛적 사위성에 들어가서 걸식하였는데, 어떤 개사를 보았나니, 이름은 중승왕(重勝王)이었습니다. 다른 실내에서 여인과 함께 평상을 같이하여 앉아 있었기에 저는 ‘더러움을 범했다’ 하여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이상한 사람이 아닌가? 범행(梵行)을 배운 자로서 여래의 가르침에 이다지 아무것도 보고 듣고 생각함이 없었느냐?’ 하였습니다. 이때에 제가 세존을 첨앙하여 보고 서서 생각하며 탄식하여 이러한 말을 하였더니, 삼천대천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나이다. - 006_1308_b_19L於是阿難白世尊曰:“憶念我昔入舍衛城而行分衛,見有闓士名重勝王,在他室坐與女人同牀。我謂犯穢,心用惟慮:‘得無異人學梵行者,於如來教,將無造見聞想念於一切乎?’時我世尊,瞻見立想歎發斯言,三千大千世界而六反震動。
- 이때에 중승왕이 곧 스스로 몸을 솟구쳐 땅에서 거리가 네 길[丈] 아홉 자[尺]나 떨어진 허공에 머물러서 저에게 답하여 말하되, ‘어찌 현자(賢者)로서 금계를 범한 자라면 어찌 능히 몸을 솟구쳐 허공에 머무르겠느냐? 부처님 앞에 가서 어찌 묻지 않느냐? 어떤 것을 보살이 죄에 범한 법이라 이르느냐?’라고 하기에, 제가 몸을 던져 즉시 허물을 뉘우치고 말하기를, ‘세존이시여, 제가 심히 미혹하였나이다. 어찌 대보살의 단점을 보겠습니까?’ 하였습니다.”
- 006_1308_c_03L時重勝王,卽自踊身住於空中,去地四丈九尺,報阿難曰:‘云何,賢者!犯禁穢者寧能踊身止虛空乎?在如來前何不問耶?何謂菩薩犯罪之法?’阿難投身卽自悔過曰:‘唯然,世尊!我甚迷謬,如何偏見求大龍短?’”
-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스스로 닦고 근신할 것이요, 대승 보살의 약점을 살피고 그 허물을 생각하지 말 것이니라. 만일 현자(賢者)가, 자기가 법에 1과 2에 뜻을 두고서 한 가지로 닦고 혼잡하게 행한다면 마땅히 보지 말 것이니, 여우처럼 의심하고 게으르고 닦지 아니하여 누(漏)를 다하지 못하리라. 이와 같도다. - 006_1308_c_09L佛告阿難:“宜自修愼,無察大乘正士之便而想其闕,由如賢者志弟子乘,若一若二同修雜行,不當視之狐疑懈廢得無盡漏。
- 아난이여, 선권인 보살이 모든 신통 지혜에 물러가는 생각이 있다고 보지 말 것이니, 무슨 까닭이냐. 보살 대사는 권속을 사랑하여 받아들이나 3보(寶)로써 업을 삼아 불법의 현성중(賢聖衆)을 어기지 않고 하여금 위없는 정진의 도에 뜻을 두게 하느니라.”
- 006_1308_c_12L如是,阿難!勿觀善㩲闓士有廢退想於諸通慧。所以者何?菩薩大士愛納眷屬業以三寶,不違佛法,賢聖衆也,使志無上正眞之道。”
-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족성자(族姓子)거나 족성녀(族姓女)가 마음이 대승에 있어서 모든 신통과 지혜를 떠나지 않고, 5욕락에 빠지지 않으며, 5욕(欲)을 억제하고, 5통(通)을 관하고, 여래의 근본을 얻으면 마땅히 알라. 이 보살은 여인과 함께 할 수 있느니라. - 006_1308_c_16L佛語阿難:“若族姓子、族姓女,心存大乘,不離諸通慧,不荒五樂抑制五欲,觀于五通得如來根,當知正士與女人俱。
- 또 듣거라, 아난이여. 저 여인은 이 과거 세상에 중승왕의 백 생(生) 동안 부부였나니, 옛 정을 빼지 못하여 색정과 은애가 있어 중승의 용모에 탐착하여 입으로 맹세하는 말을 하되, ‘만일 저와 함께 즐기는 바를 이루면 마땅히 그의 가르침을 따라서 위없는 정진도의(正眞道意)를 발하겠습니다’ 하였으니, 이때에 중승왕은 마음으로 그녀의 생각을 알고 새벽에 의복을 정돈하고 이 법문으로 말미암아 그 실내에 들어가서 안과 바깥의 땅과 마음이 평등하여 다름이 없음을 관찰하고 손을 잡고 처소를 같이하여 이미 그의 욕구대로 해주고서 곧 게송으로 말하였다.
- 006_1308_c_19L又聽,阿難!彼女人者乃往去世爲重勝王百生之偶,宿情未拔故有色恩,貪重勝顏口發誓言:‘若與我俱得遂所娛,當從其教發無上正眞道意。’時重勝王心知其念,晨現整服由斯法門入之其室,觀內外地心等無持,執手同處已如其欲。則頌曰:
-
006_1309_a_02L
어리석게 애욕에 거슬려 감이여,
부처님께서 찬탄하지 아니하신 바라네.
은애(恩愛)를 능히 제거한 자는
인중상(人中上)인 부처 되리라. -
006_1309_a_02L愚哉悖於欲,
諸佛所不歎,
能蠲恩愛者,
得佛人中上。
-
이때에 그녀는 뛸 듯이 기뻐하며 곧 자리로부터 일어나서 스스로 몸을 땅에 던져 목숨을 바쳐 자책하고 죄를 항복하고 허물을 뉘우치면서 중승왕을 위하여 게송을 말하였다. - 006_1309_a_04L時女喜踊,卽從坐起,自投于地,歸命自責,伏罪悔過,爲重勝王而歎頌曰:
-
저는 이미 모든 애욕 떠났나니
세존께서 찬탄하시는 바이옵니다.
은애의 착(着)을 절제하고
부처님의 위없는 도를 원하나이다. -
006_1309_a_06L吾已離諸欲,
世尊之所歎,
節止恩愛著,
願佛無上道。
-
전일 마음으로 생각하였던 것은
지금 자수하여 허물 뉘우치고
모든 중생 불쌍히 여기어
구경(究竟)에 도의 뜻 발하겠나이다. -
006_1309_a_08L前心之所想,
今首自悔過,
傷愍諸群生,
究竟發道意。
-
그때에 중승왕보살은 애욕을 따라 그녀를 교화하여 위없는 정진도의 뜻을 발하게 하고, 곧 자리로부터 일어나 그 집에서 나왔느니라. - 006_1309_a_09L爾時重勝王菩薩,隨欲化女,使發無上正眞道意,卽從坐起而出其室。
-
아난아, 이 마음이 특히 청정함을 관찰하라. 내가 지금 그녀에게 수기를 주겠노라.
‘여자 몸을 전환한 후 99겁에 마땅히 부처됨을 얻으리니, 호를 이무수백천소수(離無數百千所受) 여래(如來)․지진(至眞)․등정각(等正覺)․명행성위(明行成爲)․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도법어(道法御)․천인사(天人師)․불중우(佛象祐)라 하리라.’
이로써 현자(賢者)는, 보살의 행(行)은 행하는 바가 단점도 없고 죄의 법에 떨어지지 않음을 관찰할 것이다.” - 006_1309_a_11L阿難觀斯心持淸淨,今吾授彼女決,轉女身後九十九劫當得作佛,號離無數百千所受如來、至眞、等正覺、明行成爲、善逝、世閒解、無上士、道法御、天人師,爲佛、衆祐。以是賢者觀菩薩行,所行無短不墮罪法。”
-
중승왕보살은 허공으로부터 내려와서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개사는 선권방편을 행하여 큰 자애(慈哀)를 세울 것이니, 만일 한 사람을 권하여 법의 근본으로 인도하면 그 태어나는 곳을 따라서 마땅히l 보호할 것이요, 진실로 자기가 선권 때문에 큰 지옥에 떨어져서 백 겁에 이르기까지 모진 고통과 심한 고뇌와 환란을 받을지라도 마땅히 참고서 차라리 한 사람을 교화하여 덕본을 세울지언정, 이 환란을 피하려고 하지 않아야 합니다.” - 006_1309_a_17L重勝王菩薩從虛空下,稽首佛足,白世尊曰:“闓士當行善權方便立于大哀,若勸一人導以法本,從其所生輒當獲之信於善㩲,墮大地獄至于百劫,所遭苦痛惱劇之患,則當忍之,寧化一人使立德本不避此難。”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통달한 정사(正士:보살)는 보살로서 크게 자애한 행이니, 모든 감수[受]를 초월하여 해탈함이로다.” - 006_1309_a_23L世尊告曰:“善哉,善哉!正士通達,是爲菩薩大哀之行,超度諸受。”
-
006_1309_b_02L부처님께서는 또 말씀하셨다.
“족성자여, 나는 기억하노니, 과거 세상 무수한 겁의 시절에 한 학사(學士)가 있었나니, 이름은 염광(燄光)이었다. 숲속에 있어서 길상(吉祥) 원(願)을 행하여 420만 년간 범행(梵行)을 깨끗이 닦아 많은 해를 지나고서 사갈국(沙竭國)에 들어갔었는데, 그곳에 도가(陶家) 딸이 있었다. 그는 이 학사의 자태와 용모가 아름답고 좋으며 단정하고 절묘함을 보고, 애욕의 뜻이 높이 솟아 곧 스스로 의탁하여 투신하였다. - 006_1309_a_24L佛言;“族姓子!吾念過世無數劫時,有一學志,名曰焰光,處於林藪行吉祥願,四百二十萬歲淨修梵行,過闋歲已,入沙竭國。有陶家女,見此學志姿貌姝好端正絕妙,欲意隆崇卽自投託。
-
학사는 물었다.
‘아가씨는 무엇을 구하려고 하오?’
그녀는 대답하였다.
‘인자(仁者)를 사모하나이다.’ - 學志問姊:‘何所求乎?’答曰:‘慕仁。’
-
학사는 말하였다.
‘나는 애욕을 좋아하지 않소.’
그녀는 말하였다.
‘만일 그렇게 아니하오면 저는 장차 스스로 죽겠습니다.’ - 006_1309_b_07L學志報言:‘吾不樂欲。’女曰;‘設不然者,吾將自賊。’
-
염광은 스스로 생각하였다.
‘나는 금계를 두호하고 범행(梵行)을 깨끗이 닦은 지가 420만 년인데 지금 만일 훼손하면 길상이 아니로다.’ - 006_1309_b_09L焰光自念:‘吾護禁戒淨修梵行,四百二十萬歲,今若毀之,非吉祥也。’
-
그리고는 버리고 문득 일곱 걸음을 떠나 걷다가 이에 자애(慈哀)를 발하였다.
‘금계를 범하고, 곧 지옥에 떨어진다 하여도 만일 이 여인을 구해 주지 않으면 그녀는 스스로 죽을 것이니, 차라리 이 여인으로 하여금 안온을 얻게 하고, 나는 마땅히 지옥의 고통을 참고 견디도록 하리라.’ - 006_1309_b_11L念已捨卻,離之七步乃發慈哀:‘毀犯禁戒則墮地獄,若不如是女自殘賊,寧令斯女獲致安隱,吾當堪忍地獄之痛。’
-
염광은 곧 돌아서서 그의 팔을 또한 잡고 위로하여 말하였다.
‘아가씨의 욕망을 따라 주리니 아예 자살하지 마오.’ - 006_1309_b_14L焰光卽還,又執其臂而喩之曰:‘從女之欲,幸勿自危。’
- 학사가 물러나와 가업(家業)을 다스리고 생활한 지 12년이었는데, 구애를 싫어하고 만족을 알아 이에 4등(等)을 청정히 하다가 목숨을 마친 후엔 범천(梵天)에 태어났느니라.”
- 006_1309_b_15L學志退居習家之業十有二年,厭㝵止足乃淨四等,壽終之後生于梵天。”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족성자여, 그 때의 염광 학사를 알려 하면 어찌 딴 사람이랴. 이런 관찰을 두지 말 것이니, 곧 나의 몸이었고, 도가 집의 딸은 곧 구이(嬰夷)였느니라. 그는 색욕을 좋아하였기에 그의 마음을 순종하려고 나는 큰 자애로써 하여 나고 죽는 백천 가지 환란을 뛰어 도탈하였느니라. 현자(賢者)는 또한 다른 사람이 범한 바는 지옥에 떨어지거니와 선권 개사는 도리어 범천에 오르는 것임을 관찰할지어다.” - 006_1309_b_17L佛言:“族姓子!欲知爾時焰光學志,豈異人乎?莫造此觀,則吾身是。陶家女者,卽瞿夷也。彼尚色欲此順其心,吾以大哀越度生死百千之患。賢者且觀,餘人所犯墜趣地獄,善㩲闓士更昇梵天。”
-
006_1309_c_02L부처님께서는 혜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사리불(舍利弗)과 대목건련이 선권을 행하였다면 구화리(矍和離) 비구로 하여금 지옥에 떨어지게 아니했을 것이다. 무슨 까닭이냐 하면, 내가 기억하건대 옛적 구루진(拘樓秦)부처님 때에 한 비구가 있었으니, 이름은 무구(無垢)였다. 그는 한가한 곳 국가산(國家山) 굴에 있었는데 그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다섯 신선이 있었다. - 006_1309_b_22L佛告慧上:“設舍利弗、大目揵連,行善㩲者不使瞿和離比丘墜于地獄。所以者何?吾憶昔者拘樓秦佛時,有一比丘名曰無垢,處於閑居國家山窟,去彼不遠有五神仙。
-
한 여인이 길을 가다가 비를 만나 피하려고 달려와서 무구 비구가 있는 굴에 들어가 쉬고 비가 개이자 나갔다.
이때에 다섯 신선은 여인을 보고 각각 말하기를, ‘비구는 간음하였으니, 더럽고 부정하도다’ 하였다. - 006_1309_c_04L有一女人道遇大雨,馳走避入無垢比丘所止之窟,雨霽出去。時五仙人見女,各言:‘比丘姦穢謂之不淨。’
-
무구 비구는 모든 신선들이 생각하는 바를 알고 곧 스스로 몸을 허공에 솟구쳐 땅에서 거리가 네 길[丈] 아홉 자[尺]나 떨어지게 하였다.
모든 신선들은 허공에 날아 있는 것을 보고 각기 말하되, ‘우리 경전에 기록된 바로는, 욕진(欲塵)에 더럽힌 자는 몸이 날 수 없다고 하였도다.’ 하고, 이윽고 5체(軆)를 땅에 던지고 잘못에 항복하였느니라. - 006_1309_c_07L無垢知諸神仙所念,卽自踊身在于虛空,去地四丈九尺。諸仙見之,飛處空中,各曰:‘如吾經典所記,染欲塵者則不得飛。’尋五體投地伏首誣撗。
-
만일 비구로 하여금 신통 변화를 나타내게 하지 못했다면, 그 다섯 신선은 큰 지옥에 떨어졌을 것이다.
그 때의 무구 비구는 곧 자씨(慈氏)보살이니라.
만일 사리자와 목건련이 선권이 있어서 날아올랐더라면 곧 구화리는 지옥에 빠짐이 없었을 것이다. - 006_1309_c_11L假使比丘不現神變,其五仙士墮大地獄。爾時無垢比丘,則慈氏菩薩也。若舍利弗、目揵連有權飛昇,則瞿和離無由陷墜。
- 마땅히 알라. 이 이치는 성문․연각이 능히 알 바가 아니요, 오직 개사만이 분별하여 선권방편을 알 것이니, 마치 방일(放逸)한 여인이 네 때[四時]로 장식하고 재리와 애욕을 탐하다가, 혹 지혜 없는 자가 있어 그 사람의 성질을 변해 고쳤다면 그의 뜻을 따라 몸까지 보시함을 보일 것이요, 그 사람을 존경하므로 그 재산까지 다 바치고 드디어 버리고 없더라도 얻은 바가 있음으로 인하여 일찍이 뉘우침을 두지 않는 것과 같다.
- 006_1309_c_14L當知此義,非聲聞、緣覺所能及知,唯獨闓士分別曉了善權方便,猶如放逸女人四時莊嚴貪財利欲,或無智者變改人性,使從其意示於施身,敬重彼人殫盡其產,遂棄遠之,緣所獲入未曾有悔。
- 선권 보살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서 사람 근기의 개화(開化)할 만한 것을 관찰하여 어떤 방편을 써서라도 곧 개화하고 건립하여 중생에게 보시하되, 그 몸을 아끼지 아니하며 모든 덕본(德本)을 심어 속에만 숨겨 두려고 않는다. 만일 사람이 이미 덕본 세운 것을 알면 그 사람을 쓰려고 목숨을 이어서라도 선(善)을 기르며, 일체 욕락에는 탐내는 바 없고 은애를 버리어 없는데도 돌아가서 그 마음이 청정하여 얽매인 바가 없다.
- 006_1309_c_19L善權菩薩亦復如斯,觀察人根可開化者,以何方便則化立之,敬施衆生不悋其身,殖諸德本不藏情匿。設使知人已建德本,用其人故續命長善,一切欲樂無所貪慕,捨除恩愛令歸於無,其心淸淨無所繫著。
- 006_1310_a_02L마치 꿀벌이 뭇 꽃을 빨아 채집하는데 떳떳하다는 생각을 두지 않고, 꽃 가지와 잎새에 하나도 손상하는 바 없는 것과 같아서, 선권을 행하는 보살도 세속과 방편을 따라 비록 모든 욕락을 좋아하나 애욕이라 계교하지 않고, 떳떳하다는 생각을 내지 않으며, 스스로 몸을 헐지 않고, 또한 다른 이도 손해하지 않는다.
- 006_1310_a_02L猶如蜜蜂接採衆花不計常想,於花枝葉一無所損。行㩲菩薩,隨俗方便雖樂諸欲,不計愛欲、不發常想,不自毀身亦不損彼。
- 비유컨대 나무의 종자가 고운 빛을 잃지 않고 인하여 싹이 나고 보태지 아니하여도 무성함과 같다. 이와 같도다, 족성자여. 보살은 공함과 형상이 없는 것과 원(願)이 없는 것인 법과, 지도(智度)의 다함없고 광대함인 지혜로써 모든 진로(塵勞)에 들고 즐겨 하는 행(行)을 따라서 습속을 버리지 아니하나 애욕으로 몸을 더럽히지 않고 부처님의 찬탄하심을 어기지 않고 일찍이 물러나지 않느니라.
- 006_1310_a_05L譬如樹種不失鮮色因而生牙無加茷者。如是,族姓子!菩薩以空、無想、不願之法,智度無極廣大之慧,入諸塵勞隨所樂行,不捨習俗、欲不穢身,不違佛歎、未曾退轉。
- 고기 잡는 어부가 그물을 가지고 그물을 펴는데 뜻에 하고 싶은 대로 큰 흐름을 끊고 그물을 치고 그물을 거둠에 획득한 바가 많은 것처럼, 보살도 이와 같이 공함과 형상 없음과 원이 없는 법에 들어가서 미세한 마음으로 일체 지혜에 있어서 큰 애욕을 얽어매고 모든 신통과 지혜의 마음으로 마음에 두려움이 없이 얻는 바가 자재(自在)하여 범천(梵天)에 태어남을 얻는다.
- 006_1310_a_10L如捕魚工引綱布網,恣意所欲截衆大流,收綱攝網多所獲得。菩薩如是,入空、無想、不願之法,以細微心在一切慧,縛于大欲,諸通慧心,以無護心,自在所獲得生梵天。
- 비유컨대 어떤 장부가 주술을 공부하였는데, 관리에게 체포되어 5체(軆)가 계박되었으나, 그 사람은 제멋대로 한 주문으로써 모든 포승을 끊고 해탈하여 가는 것과 같다. 이와 같도다, 족성자여. 선권 보살은 5욕락으로 스스로 즐기고 널리 여러 사람들과 함께 그 행복을 누리다가 지혜의 힘인 술력(術力)으로 한 신통 지혜로써 일체 애욕을 무너뜨리고 범천에 태어나느니라.
- 006_1310_a_15L譬如丈夫工學呪術,爲吏所捕五繫縛之。其人自恣,則以一呪斷諸縲紲而得解去。如是,族姓子!善㩲菩薩,五欲自樂普與衆俱,恣其所幸智力術力,以一通慧壞一切欲,沒生梵天。
- 006_1310_b_02L비유컨대 안온사(安穩師)가 그 마음을 통일하여 꺼리는 바 없고 보호해 주는 것을 변화로 나타내는데, 큰 상인(商人)을 보내면 혹 어리석은 자가 있어서 비방하고 중상하여 말하되, ‘이 사람을 살펴보건대 자기 권속과 재물도 오히려 보전하지 못하겠거늘 어찌 능히 대중을 건지고 도적을 면하게 하랴. 반드시 많은 돈과 재물을 유실하겠다’ 하거든, 이에 도사(導師)는 격분하고 부끄러워하여 곧 자리로부터 일어나서 마음을 굳게 갖고 갑옷을 입으며, 칼을 휘둘러 원적(怨敵)을 무찌르고 안온함을 얻고 망실함이 없다.
- 006_1310_a_19L譬安隱師,以一其心無所惡忌,變現廕庇送大賈人,或有愚謗而傷之曰;‘忖察此師,自眷屬財賄尚不合度,安能濟衆使免賊乎?將必遺漏無量錢寶。’於是導師激憤恥之,卽從坐起秉心堅强,帶鉀舞刀摧拉怨敵,所護安隱無所亡失。
- 선권을 행하는 보살은 지혜의 칼을 가지고 하고 싶은 때를 따라 선교방편으로 5욕락을 익히나니, 제자승(弟子乘)에 뜻을 둔 자는 좋아하지 않으면서, ‘자비를 발했거늘 어찌 이와 같이 방일한가. 오히려 자기도 제도 못했거늘 어찌 능히 중생을 제도하며 마원(魔怨)을 항복받으랴. 그가 감당하지 못할 것이다’ 하거든, 보살은 지혜도(智慧度)의 다함없는 법과 선권방편으로 뜻에 하고 싶은 대로 하여 지혜의 칼로 진로(塵勞)를 끊고, 모든 그물을 벗어나 노닐기를 마음대로 하여 모든 불국토에 두루하고 여인의 국토를 떠나 더러움이 없느니라.”
- 006_1310_b_03L行㩲菩薩,執智慧刀隨時所欲,以巧方便安習五樂,志弟子乘所不悅可,爲發慈愍。云何若此?興放逸行,尚不自度,何能濟衆、降魔怨乎?所不堪偕也。菩薩以智慧度無極法,善㩲方便恣意所欲,以智慧刀斷截塵勞、裂諸羅網,超遊自恣遍諸佛國,離女人土無有瑕穢。”
- 그때에 보살이 있었으니, 이름은 애경(愛敬)이었다. 사위대성(舍衛大城)에 들어가서 차례로 행걸(行乞)하다가 귀족의 집에 이르렀다. 귀족에게 딸이 있었으니, 이름은 집상(執祥)이었다.
- 006_1310_b_10L爾時有菩薩名曰愛敬,入舍衛大城普次行乞。至貴姓家,貴姓有女名曰執祥。
- 누관(樓觀) 위에서 비구의 소리를 듣고 밥을 먹다가 문득 밖에 나와 곧 그의 얼굴을 보고 방일한 뜻이 발동하여 그 욕정이 매우 치열하였으나 뜻을 얻지 못하고 기절하여 그 몸은 요동하였다.
- 006_1310_b_13L在樓觀上聞比丘音,受食便出則睹其形,發放逸意,其欲甚盛不得從志,氣絕命終其身動搖。
- 비구는 그녀가 부정한 생각 일으켰음을 보고 곧 속으로 생각하되, ‘무엇을 법락(法樂)이라 이르느냐. 스스로 좋아하는 것이니, 그는 공(空)하여 진실함이 없는 것이 마치 물거품과 같아서 따를 바가 되지 않으리. 귀와 눈과 코와 입과 몸과 뜻은 썩은 고기와 같아 가죽으로 쌓고 피부로 덮였다. 발로부터 이마에 이르기까지 무엇이 좋게 되랴. 쟁송(諍頌)할 것도 없고 상(想)과 염(念)도 없다. 법은 안팎이 없고 또한 수명도 없어서 있는 바 없나니, 마음이 어디에 착(着)할 것이며, 또한 무엇을 받을 것인가. 애욕의 티를 영원히 떠났고, 또한 얻을 것도 없다’고 말하여 모든 법이 생기는 바 없는 것임을 자세히 관하였다.
- 006_1310_b_15L比丘見女興不淨想,卽發念言:‘何謂法樂自所喜者?計空無實其猶泡水,無所可遵;耳、目、鼻、口、身、意,如腐肉揣革裹皮覆,從足至頂何所可樂乎?觀無諍訟,無想無念,法無內外亦無壽命,都無所有,心何所著亦何所受。永離欲瑕亦無得也。’諦觀諸法無所起者。
- 애경보살은 즉시 생기지 않는[不起] 법인(法忍)을 얻고 뛸 듯이 기뻐하여 땅에서 네 길 아홉 자나 떨어진 허공에 있으면서 사위성을 일곱 번 돌았다.
- 006_1310_b_22L愛敬菩薩卽得不起法忍,則時欣喜踊躍在虛空,去地四丈九尺,繞舍衛城七帀。
-
006_1310_c_02L이때에 부처님께서는 애경보살이 허공에 올라 있는 것이 기러기와 같아서 신족(神足)이 걸림 없이 자유자재함을 보시고 현자(賢者)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애경보살이 날아 노닐고 행동하는 것이 기러기와 같은 것을 보았느냐?”
아난은 대답하였다.
“이미 보았나이다.” - 006_1310_b_24L於時世尊,見愛敬菩薩昇在虛空,譬如鴈王,神足無㝵自由自在。告賢者阿難曰:“汝見愛敬飛遊進止如鴈王乎?”對曰:“已見。”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아난이여, 애경보살은 색욕의 행으로 인하여 불법을 얻었으며, 마군을 항복받고, 곧 법륜(法輪)을 굴렸으며, 집상(執祥) 여인은 마침내 여인의 몸을 전환하여 도리천(忉利天)의 자감(紫紺)천궁에 태어남을 얻었고, 자연한 변화로 480리(里) 궁전이 있었고, 1만 4천의 옥녀(玉女)가 함께 서로 모셨나니, 이 덕으로 말미암아 지혜의 마음을 발하여 스스로 ‘무슨 행으로 여기에 태어남을 얻었을까?’라고 생각하여 즉시 본래 사위국의 귀족의 딸이었는데, 애경보살을 사랑하고 그리워하여 이 색의 탐욕으로 말미암아 목숨을 마치고 여자 몸을 전환하여 곧 남자가 되었고, 자연인 신통 변화로 한량없는 대중이 모셨음을 알았다. - 006_1310_c_05L佛言阿難:“愛敬菩薩因色欲行獲諸佛法,降伏魔兵則轉法輪。執祥女終轉女人身,得生忉利紫紺天宮,自然化有四百八十里殿,萬四千玉女俱共侍之。緣此之德而發慧心,自念:‘何行得生此乎?’卽知本在舍衛爲貴姓女色惑愛敬,緣斯貪欲,壽終轉女卽爲男子,自然神化無央數衆。
- 탐욕에 뜻을 두고도 이에 이러한 과보를 얻었거늘, 어찌 하물며 청정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보살에게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고 공경을 다함이랴. 지금 풍류의 오락이 어찌 장구하랴. 항상 마땅히 세존에게 나아가고 또한 애경보살을 볼지어다.”
- 006_1310_c_13L志於欲著乃獲此報,豈況淸淨恭肅之心,供養奉事盡敬菩薩乎?‘今伎樂之娛安可久常,當詣世尊及覲愛敬菩薩。’”
- 이에 천자는 그 권속과 함께 각기 하늘 꽃과 전단(栴檀)과 잡향(雜香)을 가지고 높은 위광(威光)으로써 함께 세존과 애경보살에게 와서 모두 꽃과 향을 받들어 올리고, 앞에서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고 부처님을 세 번 돌고서 각기 차수(叉手)하고 게송으로 찬탄하여 말하였다.
- 006_1310_c_16L於是天子與其眷屬,各執天花栴檀雜香,威光巍巍俱詣世尊、愛敬大士,皆以花香而供上之,前稽首禮繞佛三帀住,各叉手而讚頌曰:
-
부처님께서는 잡념 없으시니
최상인 그 쾌락 한량없으시네.
여래께서는 마음과 뜻 없으시어
최상의 도를 얻으셨나이다. -
006_1310_c_19L諸佛無思念,
樂最不可量,
如來無心意,
則獲尊上道。
-
저는 사위국에서 여자 되어
명망과 덕망 말할 수 없고
그 집상 장자의 딸로서
단정 수묘하며 보물로 몸치장하였고
부모에게 귀염과 사랑 받았나이다. -
006_1310_c_21L我在舍衛爲女人,
其大名德不可議,
號曰執祥長者息,
端正姝好寶嚴身,
以爲父母所珍重。
-
006_1311_a_02L
부처님의 제자 집착한 바 없음이여,
그 이름 애경으로서 위신력 위대했나이다.
그가 사위성에서 걸식하는데
저는 부드럽고 미묘한 그 음성 듣고
기쁜 마음에서 공양을 가지고
법이 다함없는 그에게 나아갔나이다. -
006_1310_c_24L有正覺子無所著,
號曰愛敬威神大,
入舍衛城家分衛,
我聞其音柔軟妙,
歡喜之心取飯食,
卽自往詣無極法。
-
여래의 제자 애경의 도덕이여,
저는 그를 보고 산란한 마음에서
애욕․탐애와 방일에 미혹하여
저의 소원 만일 못 이루면
곧 살 수 없고 죽을 것만 같았습니다. -
006_1311_a_04L如來之子愛敬道,
吾見彼已起亂心,
迷惑愛欲貪放逸,
假使不得從我願,
卽當壽終用活爲。
-
그 당시엔 입을 열어 말 못하며
음식 바치려도 드리지 못하고서
저는 애욕과 방일 때문에
즉시 그곳에서 목숨 마쳤나이다. -
006_1311_a_06L當時不能發口言,
雖奉飮食不能授,
我以愛欲放逸故,
則在其處壽命終。
-
비록 도에는 합하지 못했으나
더러운 여자 몸 벗어 버리고
부처님께서 칭찬하시는 남자 되어
즉시 도리천궁에 태어났나이다. -
006_1311_a_08L雖不能應于道行,
降棄瑕穢女人身,
得爲男子佛所歎,
卽時得生忉利天。
-
그 도리천궁 높고 또 미묘하여
비할 데 없이 보배로 이룩되고
1만 4천의 여러 권속과
모든 미인과 5욕락 모두 구족했나이다. -
006_1311_a_10L宮殿則尊微妙好,
以寶合成無等倫,
有萬四千諸眷屬,
諸婇女樂悉具足。
-
그리고 즉시 스스로 생각하되
나는 무슨 인연으로 이렇게 되었던가.
이윽고 이 일 알아냈사오니
애욕의 마음으로 과보 얻음이었나니
애경보살 보자 마음 기쁘며
방일한 마음에서 탐스럽게 보았기에
이의 덕으로 이 과보 얻어
좋은 나무에 광명 비춤 같았나이다. -
006_1311_a_12L卽時心自發念言,
吾何因緣得致此,
尋時識念如此事,
愛欲之心報應然,
見於愛敬心歡喜,
以放逸心而貪視,
緣是之德獲是報,
猶如光明照好樹。
-
마땅히 부처님 제자가 되어
있는 곳마다 마음대로 지혜에 머무르리.
애욕 마음의 과보도 이렇거늘
하물며 공양 올린 사람이오리까. -
006_1311_a_16L當爲正覺佛子弟,
所在遊欣安住慧,
愛欲之心報如此,
何況有人供養者。
-
나의 몸은 바로 여래의 제자이니
거룩하신 불지혜 구하기 원하옵고
마땅히 항사겁(恒沙劫) 동안 수행하여
큰 뜻을 버리지 않으오리다. -
006_1311_a_18L吾身今卽如來子,
願發求尊佛智慧,
便當修行恒沙劫,
未曾捨離大志性。
-
모두 좋은 스승 애경 때문이오니
곧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오리.
도만을 받들고 섬기어 친소가 없이
오직 부처님 법만을 배우기 원하나이다. -
006_1311_a_20L皆由善師因愛敬,
則當供養法奉事,
供事于道無親屬,
唯願學求在覺軌。
-
거룩하고 미묘한 도를 닦으오리.
방일한 마음에서 보고 집착하여
여자의 몸 즉시 전환하고서
용맹스런 남자의 몸 얻었나이다. -
006_1311_a_22L修于尊妙道之行,
以放逸心所睹著,
尋時則轉于女身,
便獲勇猛男子形。
-
006_1311_b_02L
부모는 집에서 모두 울부짖고
죽은 시체 보고 가슴 치며
마음에 나쁜 방자[蠱道]라 생각하여
욕설 퍼부으며 이 사문이라 꾸짖었나이다. -
006_1311_a_24L父母在家皆號哭,
臭死于地自捽搣,
心自念言是蠱道,
衝口罵詈此沙門。
-
때마침 천자는 부처님의 위신 받고서
부모에게 나아가 갖추어 해명하되
사문에게 성내어 꾸짖다가
장차 긴 밤의 고뇌 얻지 마옵소서. -
006_1311_b_03L應時天子承佛威,
往詣父母具解說,
‘無得罵詈瞋沙門,
將無長夜獲苦惱。’
-
부모께선 나를 알아보시려 하나이까.
나는 이미 도리천에 올라가고서
그 즉시 여자의 몸 벗고
천자 되어 위세가 높아졌나이다. -
006_1311_b_05L父母欲得知我不?
吾已踊至忉利天,
應時退轉女人身,
得爲天子光巍巍。
-
부모님께선 편히 계실 곳에 이르시어
꾸짖은 죄 자수하고 회개하옵소서.
구호할 길 얻을 수 없사오나
오직 부처님의 구호할 길만 있나이다. -
006_1311_b_07L父母當至安住所,
首罵詈罪自悔過,
更求救護不可得,
唯有如來爲道慧。
-
그때 부모는 부처님의 음성으로
용감하게 권유하고 교화하심 듣고
모두 마음이 풀리어 권속과 함께
부처님 처소에 같이 나아갔나이다. -
006_1311_b_09L時父母聞佛音響,
彼時勇猛勸化之,
皆和心解眷屬俱,
同時往詣能仁佛。
-
함께 양족존(兩足尊)께 머리 조아리고
즉시 성내었던 허물 뉘우치고서
모두 함께 부처님을 공경하여
편히 머무름 묻고 바른 이치 해결했나이다. -
006_1311_b_11L則共稽首兩足尊,
卽自悔過瞋恚心,
悉共恭敬於如來,
啓問安住令決正。
-
어떻게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오며
어떤 것이 불법승께 순종함이온지
저희들 위해 말씀하여 주옵소서.
만일 듣는다면 다른 마음 없으오리다.
부처님께선 그의 마음 아시고
구세(救世)의 입으로 이렇게 말씀하시되
일체 부처님께 공양하고자 할진대
도의 뜻 굳게 하고 모든 생각 제어하리. -
006_1311_b_13L‘以何供事應奉佛?
何謂順法佛衆僧?
唯爲吾等分別說。’
假使聞者無異心,
最勝則知心所念,
救世口則說如此,
其欲供養一切佛,
堅固道意御諸想。
-
부모와 친속 여러 남녀들이
그 수효 5백이었사온데
부처님의 말씀 듣고서
동시에 큰 도의 마음 내었나이다. -
006_1311_b_17L父母親屬及男女,
具足五百無減少,
聽聞大人之所講,
同時皆發大道心。
-
부처님의 말씀 인자하시나니
아난이여, 나의 말 좀 들어 보소서.
보살의 행은 끝도 밑도 없어
선권방편으로 지혜에 머무나니
애경보살의 원도 그와 같아서
어떤 여인이라도 나를 애경하면
곧 여인의 몸 전환하여
사람 중의 최상인 남자 된다 하네. -
006_1311_b_19L最勝所言仁無異,
阿難聽我之所語,
如菩薩行無端底,
善權方便住智慧,
愛敬菩薩願如此:
‘假使女人愛敬我,
則當令轉女人形,
速爲男子人中上。 ’
-
아난이여, 이 거룩한 보살 보옵소서.
다른 사람에게 한 짓이라면 지옥에 떨어질 것이거늘
방일한 마음으로 그 모습 탐내어
애욕에 빠졌지만 남자 되었나이다. -
006_1311_b_23L阿難且觀此名德,
餘人所因墮地獄,
以放逸心貪習色,
因愛欲變爲男子。
-
006_1311_c_02L
그 보살 마음엔 천자가 나에게 공양하면
항상 공경하므로 안락 얻고
저 공양한 것으로 오랜 겁 후에는
부처 되어 선견(善見)이라 이름하리. -
006_1311_c_02L其心天子供養我,
常以恭敬獲豐安,
彼所供養難計劫,
當得爲佛號盡見。
-
이 5백 사람도 도의 뜻 세워
또한 마땅히 부처님 되오리니
어떤 사람 듣고 부처님께 공양 않으리오.
그 마음 기뻐하며 안락 한량없으리다. -
006_1311_c_04L此五百人發道意,
亦當自致人中尊,
何人聞此不供佛,
其歡悅心安無量。
-
그 애경보살의 교화한 여자 수를
계산하면 하나 둘도 아니요,
한량없는 백천억 나유타(那由他)니
애욕의 마음으로써 도에 서게 하였나이다. -
006_1311_c_06L計其愛敬菩薩者,
所開化女不一二,
無量百千億那術,
以愛欲心立於道。
-
곧 약왕(藥王)이요, 큰 덕이시니
보살이 어찌 더러움 있으리오.
번뇌로 인해서도 안락을 베푸시었거늘
하물며 공양 하거나 받드는 것이오리까. -
006_1311_c_08L則爲藥王大名德,
何因菩薩當有穢?
因緣塵勞施安隱,
何況供養奉事者。
-
그때에 현자 아난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마치 어떤 사람이 수미산(須彌山)에 가까이 가면 모두 산의 광채의 비춤을 따라 금빛이 되는 것과 같아서, 설령 음욕․성냄․어리석음의 마음을 품거나 도법(道法)을 받드는 마음을 가졌더라도 보살을 가까이하면 모두 한결같이 신통 지혜와 자연스러운 심성에 나아가게 되나니, 나는 지금부터 시작하여 보살을 받들겠습니다. 수미산을 보기만 하면 병이 낫는 약이 있나니, 청정한 마음이 있거나 만일 성내는 마음이 있다 해도 이 약을 보기만 하면 모든 병이 다 없어지는 것처럼 보살도 이와 같아서 부정한 마음을 깨끗이 하나니, 음욕․성냄․어리석음의 마음으로도 보살을 보기만 하면 모두 다 없어져서 낫게 되나이다.” - 006_1311_c_10L爾時賢者阿難白佛言:“猶如有人近須彌山,皆隨山光炤爲金色。設懷歡喜欲義心奉道法心,得近菩薩皆獲一類,趣諸通慧心性自然,我從今始奉侍菩薩,如須彌山,猶如藥王,名曰見愈,有淸淨心若瞋恚意,見此藥者衆病皆除,菩薩如是淨不淨心,婬怒癡心覲菩薩者悉爲除愈。”
-
이때에 부처님께서는 칭찬하셨다.
“훌륭하다, 아난이여. 진실로 너의 말과 같으니라.” - 006_1311_c_18L時佛讚曰:“善哉,阿難!誠如爾言。”
-
이에 현자 대가섭(大迦葉)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를 따르기가 매우 어렵나이다. 하늘 중의 하늘이시여, 보살 대사는 불가사의하므로 있는 곳에 가서 노니는데도 모든 중생들을 위하여 애욕을 두려워함이 없는 것과 공함과 형상 없음과 원 아님을 보이느니라. 성문․연각은 오직 이 법을 행하기만 하거니와, 보살은 널리 보호하고 더욱더 모든 신통 지혜의 보살의 길에 들게 하여 좋고 교묘한 방편으로 그 마음을 잡아 수순하게 하고, 빛깔․소리․냄새․맛․부드러운 감촉․법을 마침내 싫어하지 않나이다.” - 006_1311_c_19L於是賢者大迦葉白佛言:“甚難及也,天中天!菩薩大士不可思議,在所遊至,爲諸衆生現無畏欲——空、無想、不願。聲聞、緣覺唯行此法,菩薩普護,轉使更入諸通慧迹,以善方便將順其心,終不穢厭色、聲、香、味、細滑法也。”
-
006_1312_a_02L대가섭은 또 부처님께 아뢰었다.
“나는 보살 대사(大士)가 행하는 일을 찬탄하여 비유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찬탄하여 말할지어다.” - 006_1312_a_02L大迦葉復白佛言:“我可歎喩菩薩大士之所行乎?”佛言:“可歎。”
-
가섭은 말하였다.
“비유컨대 큰 벌판에 인적이 끊어졌는데 저절로 담이 있어서 위로 33천(天)까지 이르렀고, 오직 문 하나만 있었습니다. 많은 수의 사람들은 모두 벌판에 들어갔습니다. 그곳과 멀지 아니한 곳에 한낱 큰 성(城)이 있었는데, 그 나라엔 풍년이 들어 곡식이 흔했고, 쾌락은 이루 말할 수 없었고, 백성들도 많아서 다 셀 수 없었으며, 그들은 저 성에 있는데 성은 곧 금강(金剛)과 같은 성이었습니다. - 006_1312_a_04L迦葉曰:“譬大曠野斷絕無人,自然有牆,上至三十三天,唯有一門。無央數人皆入曠野,去之不遠有一大城,其國豐熟米穀,卒賤,快樂難言;人民衆多不可稱計,其在彼城則如金剛。
- 성 곁에 강이 있었고, 강 곁에 벌판이 있었고, 벌판 중간에는 지혜로운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 사람은 총명하고 박식하고 의리가 있었으며, 자비하여 벌판에 들어오는 사람을 도와주려고 큰소리로 외쳐 말하되, ‘벌판에서 멀지 않은 곳에 큰 성이 있나니, 그곳은 안락한 곳이므로 영원히 죽음과 두려움이 없다. 나는 도사(導師)가 되어 안락한 곳에 왔노라’ 하거든, 여러 사람들은 대답하되, ‘우리들은 가지 않겠고, 여기서 이동하지 않겠노라. 성의 모양을 보고 싶나니, 성이 저절로 나타나면 그제야 가겠노라’ 하였습니다.
- 006_1312_a_09L城旁有江,江側有路,曠路之中有黠慧人,聰識念義,懷愍欲度入曠野者,擧聲而盟稱:‘去曠野不遠,大城之安永無死懼,吾爲導師來趣所樂。’衆人報曰;‘吾等不行,於此不動,欲睹城像城自然現,爾乃往耳。’
- 이때에 또한 미묘하게 아는 자가 있어서 대답하되, ‘저분이 지시하는 대로 따라가야 하나니, 우리들은 이와 같이 박복한 사람들이기에 이 말을 듣고도 믿지 않고 좋아하지 않으며, 그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벌판을 건너가지 않는구려’ 하였습니다.
- 006_1312_a_15L時復有人解微妙者,應曰:‘當往,隨仁所湊。吾等如是薄福之人,聞此聲已不信不樂,不從其教,不度曠野。’
- 그리고 저 미묘하게 아는 사람이 곧 벌판을 건너가려고 하니 길이 강을 거쳐야 함을 관찰하였고, 곧 강을 건너 길로 나서니 좌우에는 백천 길이나 되는 깊고 큰 시냇물이 있었고, 풀과 나무를 깔아서 사방으로 다리를 만들었습니다. 곧 위험한 길을 건너서 사면으로 나가나 걸림 없었는데, 큰 도적이 뒤를 쫓아왔습니다. 그러나 두려워하지 않았더니 도적은 저절로 물러갔습니다. 그러나 마침내 뒤를 돌아보지도 않고 차츰차츰 앞으로 전진하여 두려워하지도 않으며, 좌우를 돌아보지도 않고 곧 큰 성을 보았으며, 차츰 성에 가까이 가서는 마음으로 의심하지 않고 저 성읍(城邑)에 들어가서 한량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그 의식을 나타내며, 복을 증가하게 하였습니다.”
- 006_1312_a_17L彼微妙人則度曠野,觀路由河,則乘而進。路之左右,有百千丈深大溪㵎,布諸草木。四方作橋,則濟厄路四出無㝵。大賊從後追而不懼,賊自然卻終不還顧。稍稍前行亦不恐懅,不左右視則見大城。稍近城郭心不狐疑,入彼城邑爲無量人,現其儀式增益福祚。”
-
006_1312_b_02L가섭은 찬탄함을 이미 마치고 말하였다.
“큰 벌판에 비유함은 나고 죽는 어려움을 말함이요, 담이 33천에 이른다는 것은 지혜가 없어서 은애의 욕망에 집착함을 말함이요, 오직 한낱 문만이 있다는 것은 대승(大乘)을 말함이요, 사람들이 벌판에 들어간다는 것은 뭇 어리석고 어두운 범부의 선비를 말함이요, 지혜 있는 사람이 원을 발하여 뭇 사람들을 부르는 것은 보살 대사가 제도하기를 좋아함이 끝없음을 말한 것이옵니다. - 006_1312_b_02L迦葉歎已陳喩:“大曠野者,謂生死之難。牆至三十三天者,謂無黠所著恩愛之欲也。唯有一門者,謂大乘也。人入曠野者,謂衆愚冥凡夫之士也。黠人發願呼衆人者,謂菩薩大士所樂度無極也。
- 뜻이 하열하여 가지 않고 성을 보고 싶어한 것은 성문․연각을 말함이요, 대답하여 말하되, ‘마땅히 저 분이 지시하는 대로 따라가야 한다’는 것은 보살을 말함이요, 말을 듣고도 믿지 않는 것은 외도(外道)와 이학(異學)과 뭇 삿된 행을 말함이요, 벌판을 건너가는 것은 받들어 정진하고 모든 신통 지혜에 도달하여 모든 삼매 닦음을 말함이요, 강을 건너 길로 나선다 함은 법문을 말한 것이옵니다.
- 006_1312_b_07L志劣不行欲見城者,謂聲聞緣覺也。應曰:‘當往,隨仁所湊。’則菩薩也。聞聲不信者,謂外道異學衆邪行也。度曠野者,謂奉精進至諸通慧,修諸三昧也。路由河者,謂法門也。
- 왼쪽의 큰 시냇물이 백천 길이라 함은 성문의 경지를 말함이요, 오른쪽의 시냇물이 백천 길이라 함은 연각승을 말함이요, 크게 풀과 나무를 깔아서 사방으로 다리를 만들었다 함은 선권방편과 지혜바라밀이 다함없음을 말함이요, 사면으로 나가나 걸림 없다는 것은 보살이 4은(恩)의 행으로 한량없는 사람을 포섭함을 말함이요, 도적이 쫓아와도 두려워하지 아니하였더니 저절로 물러갔다 함은 악마의 권속과 모든 따라다니는 이를 말한 것이옵니다.
- 006_1312_b_11L左大溪㵎百千丈者,謂聲聞地也。右大溪㵎百千丈者,謂緣覺乘也。大布置草木作四方橋者,謂善㩲方便慧度無極也。四出無㝵者,謂菩薩四恩之行攝無量人也。賊追不懼自然卻者,謂魔官屬及諸猗行也。
- 마침내 뒤를 돌아보지 아니했다 함은 인욕바라밀이 다함없음을 말함이요, 차츰차츰 앞으로 전진하였다 함은 보살의 개화하는 정진바라밀이 다함없음을 말함이요, 또한 두려워하지 않았다 함은 청정한 마음으로써 중생이 평등각(平等覺)에 뜻 두는 것을 일으키게 함을 말함이요, 좌우를 돌아보지 아니했다 함은 성문․연각의 이익을 뜻에 좋아하지 않는 것을 말함이요, 곧 큰 성을 보았다 함은 모든 신통과 지혜 통달함을 말함이요, 차츰 성곽에 가까이 갔다 함은 도의 공덕을 보고 부처님 지혜 닦음을 말한 것이옵니다.
- 006_1312_b_17L終不還顧者,謂忍度無極也。稍稍前行,謂爲菩薩之所開化,進度無極也。亦不恐懼者,謂以淸淨心發起衆生志,平等覺也。不視左右者,謂不志樂聲聞、緣覺之利也。則見大城者,謂達諸通慧也。稍近城者,謂見道功德習行佛慧也。
- 006_1312_c_02L의심하지 아니했다 함은 지혜와 좋은 방편인 여러 바라밀이 다함없음을 알고 곧 일체 중생을 두루 잘 보살펴서 두려워하거나 싫어하는 바 없음을 말함이요, 마침 성에 들어와서는 한량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그 의식을 나타내며 복을 증가하게 하였다 함은 여래․지진(至眞)․등정각(等正覺)을 말함이니, 부처님, 하늘 중의 하늘께서는 마침 세상에 출현하시어 곧 보살을 위하여 이름을 세우시며 널리 이익과 의리를 세우시는 것을 말한 것이옵니다.”
- 006_1312_b_23L心無狐疑者,謂曉智慧善㩲諸度無極,則能遍睹一切衆生無所畏惡。適入城已,爲無量人造現儀式增益福祚者,謂如來、至眞、等正覺也。佛天中天適興在世,則爲菩薩立于名號廣建利義。”
-
이에 부처님께서는 가섭을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이러한 비유로 찬탄함이여.”
이 말씀을 하실 때에 1만 2천 하늘과 사람들은 위없는 정진도(正眞道)의 뜻을 세웠다. - 006_1312_c_06L於是世尊讚迦葉曰:“善哉,善哉!乃歎斯喩。”說此言時,萬二千天與人發無上正眞道意。
-
부처님께서는 가섭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의 덕행은 헤아릴 수 없고 배우는 법도 미묘한 선권방편이니, 대사가 하는 일은 자기를 위하여 행함이 아니요, 타인으로 인하여 보시함이 아니니, 나가 있다고도 말할 수 없고, 또 저가 있다고도 말할 수 없느니라.” - 006_1312_c_09L佛語迦葉菩薩:“德行不可稱計,學諦微妙善㩲方便,大士所作,不爲已擧、不他人施,不言有我亦不言彼。”
-
이때에 혜상보살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떤 것을 일생보처(一生補處)라 이르나이까? 그런데 가섭(迦葉)부처님 때에 입으로 이 말씀을 하시되, ‘이 머리 깎은 사문을 보려고 했도다. 어찌 도(道)가 있으리오. 불도는 얻기 어렵느니라’고 세존께서 그때에 무슨 인연으로 이 말씀을 하셨나이까?” - 006_1312_c_12L時慧上菩薩白世尊曰:“何謂一生補處?而迦葉、佛時口說斯言,用爲覲是剃頭沙門,安能有道佛道難得,世尊爾時何緣說此?”
-
부처님께서는 혜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그만두라, 족성자여. 여래 및 보살의 행을 한정짓거나 동등시 하지도 말 것이니, 무슨 까닭이냐. 보살 대사의 선권방편은 사의할 수 없느니라. 그 정사(正士)였다면 마땅히 이러한 관찰을 할 것이니, 이는 사람을 교화하려고 한 것이다. 족성자여, 듣고 잘 생각하라. 법이 있으니, 그 법은 선권방편이라 이름한다. - 006_1312_c_15L佛語慧上:“且止!族姓子!無得節限平相如來及開士行。所以者何?菩薩大士善權方便不可思議,其有正士,當作斯觀緣是化人。族姓子聽,善思念之。有法號曰善㩲方便。
-
보살이 정광(錠光)부처님 이래로 일으킨 지혜를 생각하거나 의논할 수 없으며, 때와 편의를 따라서 잘 발기하게끔 보살법을 강론하였다.
정광부처님을 친견한 이래로 생김 아닌[不起] 법인(法忍)을 얻어 하나도 흠결이 없고 잊어버림도 없으며, 또한 산란한 마음도 없고 지혜는 손실함 없이 법인으로 나아가는 바를 이미 얻었다. - 006_1312_c_20L菩薩,從定光佛已來,所興之慧不可思議,隨時之宜敢可發起,講菩薩法。從見定光世尊以來,得不起法忍,無一瑕闕無所忘失,亦無亂心智慧無損,已得法忍所造。
- 006_1313_a_02L보살이 한 생각의 순간에 7일(日)에 성불하며, 보살의 뜻이 있으면 뜻을 세우는 순간이 1겁이라는 비유로 일체 사람을 위하여 있는 곳마다 중생 개화함을 보이며, 지혜의 힘으로 큰 평등각(平等覺)인 부처를 얻어 이루며, 한량없는 억 겁(劫) 동안 삿된 견해를 칭찬하여 발기(發起)한 바가 많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12_c_24L菩薩,一念之頃七日成佛,有菩薩志,發意之閒一劫之喩。爲一切人所在示現開化衆生,以智慧力欲得成佛大平等覺,無量億劫稱歎邪見多所發起,是爲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모든 성문의 학문이 설령 자재(自在)하다 하여도 삼매에는 그렇지 못하여 보살이 삼매 선정에서 몸도 움직이지 않고 마음도 생각하는 바가 없는 것에 따를 수 없다. 또 뭇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미칠 바가 아니다. 또 보살의 삼매는 삼매에서 나아가지도 물러가지도 않고서 항상 4은(恩)으로써 중생을 구원하여 정진(精進)함을 잃지 않고 게으르지 아니하며 뭇 사람을 위하여 다함없는 6바라밀을 강론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니라.
- 006_1313_a_06L又,族姓子!諸聲聞學設使自在,於三昧者未曾有也,不逮菩薩三昧之定,身亦不動心無所想,亦非衆人身心所及。又使菩薩三昧正受不進不退,常以四恩救攝群萌,不失精進、不爲懈怠,而爲衆人講六度無極,是謂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보살이 뜻을 내는 순간에 도솔천(兜率天)에서 정진각을 이루고 법륜을 굴리나, 염부제(閻浮提) 사람들은 능히 스스로 도솔천에 올라와서 경법을 듣고 받지 못하기 때문에 보살이 마음으로 생각하되, ‘천상의 모든 하늘은 능히 이곳에 내려올 수 있으리라’ 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염부제에서 성불함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a_13L又,族姓子!菩薩發意之頃,於兜術天逮正眞覺、轉于法輪,閻浮利人不能自致昇兜術天聽受經法,菩薩心念,天上諸天能下至此。是故正士,於閻浮利而現成佛,是爲菩薩善㩲方便。
- 또 족성자여, 보살이 뜻을 내어 능히 도솔천에서 홀연히 사라지고서 포태(胞胎)를 경유하지 않고 한때 순간에 최정각(最正覺)을 성취할 수 있으나 곁의 사람은 의심을 두되, ‘이의 온 곳이 하늘이냐, 건타라(犍陀羅)의 변화로 된 것이냐?’ 하여 의심을 품으면 법을 듣고 받지 않으리라. 그러므로 보살이 태중에 있었음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a_18L又,族姓子!菩薩發意,能從兜術忽然沒已,不由胞胎,一時之頃成最正覺。傍人有疑此所從來爲是天耶?揵陁羅變化所爲乎?若懷狐疑不聽受法,是故菩薩現處胞胎,是爲菩薩善㩲方便。
- 006_1313_b_02L또 족성자여, ‘보살이 태에 있었다’고 생각하지 마라. 이러한 뜻을 품지 말 것이니, 보살 대사는 정액이나 태를 말미암지 않는다. 무슨 까닭이냐. 무구(無垢)라는 삼매가 있나니, 보살 대사는 이 삼매로써 스스로 장엄하였기에 도솔천 사람들은 ‘보살이 사라지고 요동함이 없다’고 말하고, 보살이 포태(胞胎)에 노니는 것을 보지 못한다.
- 006_1313_a_24L又,族姓子!無得興念:‘菩薩處胞。’勿懷斯意,菩薩大士不由精胎。所以者何?有三昧名曰無垢,菩薩大士以斯正受而自莊嚴。兜術天人謂菩薩沒而無動搖,不睹菩薩遊於胞胎。
- 어머니 뱃속에 있다가 옆구리로부터 탄생하고 나라와 집을 버리고 보리수를 찾아 앉음을 보이며 괴로운 수행을 보이어 널리 나투고 모두 두루하여 변화한 바가 없지 않았으나 수고롭거나 번뇌함이 없고 물듦이 없나니, 무슨 까닭이냐. 보살의 서광으로 청정하게 변화함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b_06L現處母腹而從脅生,棄國捐家尋坐佛樹,示勤苦行,普現悉遍無所不變,無有勞擾而無染污。所以者何?菩薩之瑞所化淸淨,是爲菩薩善㩲方便。”
-
부처님께서는 혜상보살에게 말씀하셨다.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스스로 그 몸을 붉누른 금빛을 변화시키고 포태에 들어감을 보였느냐?”
혜상보살은 대답하여 말하였다.
“고요하고 청정하며 명백한 기품으로서 였던 것입니다.” - 006_1313_b_10L佛告慧上:“何故菩薩自化其身紫磨金色,現入胞胎?”慧上答曰:“寂然淸淨明白之品。”
-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그 보살이란 중생의 위에 있는 것이매 곧 제일 높은 존재이다. 이는 곧 화현으로 온 것이니, 모든 하늘이나 인민들이 능히 미치지 못할 바이다.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b_13L世尊曰:“然。其菩薩者,處衆生上則第一尊,是則化來,諸天人民所不能及,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어머니의 포태에 있어 열 달을 채웠느냐? 달을 채우지 못하고 탄생하면 사람들이 혹 생각하되, ‘어머니의 뱃속에 있었던 달을 채우지 못했으니, 모든 감관[根]이 구족하질 못했으리라’ 하겠기에 열 달이 구족했음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b_15L何故菩薩在母胞胎,具足十月無見而生?人儻起念在母之懷,日月不足諸根不具。現滿十月,是爲菩薩善㩲方便。
- 006_1313_c_02L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나무 동산에서 탄생하고 궁중에서 탄생하지 않았으며, 보살이 긴긴 밤에도 한가히 있기를 익히고 뜻이 고요함을 좋아하고 평등 청정함을 닦았느냐? 하늘․용․귀신․건달바․아수라․가류라(迦留羅)․진타라(眞陀羅)․사람․사람 아닌 것들로 하여금 모두 집을 떠나서 고요히 공양하게 함이며, 이 모든 꽃과 향이 온 천하(天下)에 널리 퍼져서 가유라위국(迦維羅衛國)의 인민으로 하여금 기뻐하여 미리 방일(放逸)하지 않게 함이니, 그러므로 보살이 나무 밑 고요한 곳에서 탄생하였고 궁중에 있지 아니하였으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b_19L何故菩薩生於樹園不在中宮?菩薩長夜習在閑居,志樂寂寞行平等淨,欲令天、龍、鬼神、揵沓和、阿須倫、迦留羅、眞陁羅、摩睺羅、人與非人,皆捨室宇寂然供養,此諸華香普流天下,使迦維羅衛國中人民歡喜悅預不爲放逸,是故菩薩在於樹下寂寞處生,不在宮館,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오른 옆구리로부터 탄생하였느냐? 만일 이와 같지 아니하면 뭇 사람이 의심을 두어 곧 이르되, ‘보살이 성교의 정액으로 말미암아 태장(胎藏)에 있었고 화현으로 생육한 것이 아니다’ 하여, 뭇 사람이 반드시 의심이 맺히고 유예하여 해결 못하리니, 그러므로 의심을 시현(示現)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풀리게 하였다. 보살은 비록 오늘 옆구리로부터 탄생하였으나 어머니는 흉터가 없고 나옴의 고통이 없었나니, 옛적 높은 성인이 처음 닦을 때에도 또한 그와 같이 하셨나니, 행하시는 바를 어김이 없는 것이다.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c_04L何故菩薩從右脅生?若不如是衆人有疑,則謂菩薩因由遘精而處胎藏,不爲化育。衆必懷結猶預難決,是故示現令人開解。菩薩雖從右脅而生,母無瘡瘠出入之患,往古尊聖因時如然,所行無違,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어머니가 나뭇가지 잡을 적에 탄생하였느냐? 만일 그와 같이 아니하였다면 뭇 사람들은 마땅히 이르되, ‘황후(皇后)가 비록 보살을 탄생하였으나 반드시 고뇌와 통증이 있었을 것이요, 일반 사람과 같아서 다름이 없었을 것이다’ 하리니, 여러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보이기 위하여 어머니께서 마침 뜻과 성품이 부드럽고 평화스러워서 나뭇가지를 잡으시자 보살이 탄생하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c_10L何故菩薩母攀樹枝,然後而生?設不爾者,衆人當謂:‘皇后雖生菩薩必有惱患,若如凡庶而無殊別。’欲爲黎元示現安隱,母適攀樹枝,志性柔和,則菩薩誕育,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은 편안하고 평화로우며 담박하여 갑자기 탄생하였으며, 그 몸은 청정하여 때와 더러움이 없느냐? 보살은 삼계(三界)에서 지극히 높나니, 비록 태중에 있으나 해가 물에 비춤과 같아서 청정하여 집착한 바 없고 증가하지도 줄지도 아니한다. 그러므로 옆구리로 탄생하여 범인과 같지 않음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c_15L何故菩薩安和澹泊忽然而生,其身淸淨無有垢穢?菩薩至尊三界之上,雖處胎中如日炤水,淨無所著不增不減,故現脅生不與凡同,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탄생하자 제석(帝釋)이 곧 내려와 앞에서 머리를 조아려 받들고, 다른 하늘을 시키지 아니하였느냐? 그 제석은 본래 끝없는 옛적부터 이 본원(本願)을 세우되, ‘보살이 만일 탄생하면 마땅히 깨끗한 뜻으로 받들겠다’ 함이며, 또한 보살 근본 덕의 상징이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c_20L何故菩薩適生斯須,帝釋卽下前稽首奉,不使餘天?其釋無始立茲本願:‘菩薩若生,當以淨意而奉受之。’亦爲菩薩本德之徵,是爲菩薩善㩲方便。
- 006_1314_a_02L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탄생하자, 땅에서 일곱 걸음을 걸었고, 또 여덟 걸음을 걷지 아니했느냐? 이는 보살의 길상(吉祥)에 응함이니, 7각의(覺意)로 불각(不覺)을 깨달음에 응함이다.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능히 일곱 걸음 걷는 것을 보이는 이가 없었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3_c_24L何故菩薩適見受已,行地七步亦不八步?是爲正士吉祥之應,應七覺意覺不覺者也。自古迄于今,未有能現行七步者,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이미 일곱 걸음을 걷고 손을 들면서 말하되, ‘나는 세상에서 높다. 천상(天上) 천하(天下)에 가장 제일이 되나니, 마땅히 나고 죽는 근원을 다해 마치리라’ 하였느냐? 제석과 범천왕과 범지(梵志) 및 모든 천자(天子)들이 그때에 모두 두루 모였나니, 만일 이를 보이지 않으면 마땅히 제각기 높다 하여 곧 교만을 품고 문득 보살에게 다시 예배하고 모시려 하지 아니할 것이니, 보살이 외도(外道)와 범지와 모든 하늘 대중들이 긴 밤에 불안하여 반드시 악취(惡趣)에 떨어져서 고통 받을 것을 불쌍히 생각하느니라.
- 006_1314_a_05L何故菩薩已行七步,擧手而言:‘吾於世尊,天上天下爲最第一,當盡究竟生老死原!’釋、梵、梵志及諸天子,彼時衆會莫不遍集,設不現斯當各自尊,則懷憍慢,便不復欲禮侍菩薩。菩薩愍念外道梵志、諸天之衆長夜不安,必墜惡趣而受苦痛。
- 그러므로 보살이 소리 내어 스스로 칭찬하되, ‘나는 세상에서 높다. 천상 천하에 가장 제일이며, 좋은 방편의 지혜가 뛰어나고 독보(獨步)이어서 짝할 이 없다. 마땅히 나고 죽는 근본을 다해 마치리라’ 하여 이 음성으로써 삼천대천세계에 알리니, 그 천자들이 오지 못한 자도 이 소리를 듣고 곧 왔으며, 그때에 외도 범지 및 모든 천자들이 모두 함께 머리를 조아려 경계하고 찬탄하며 합장하고 귀의하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라 하느니라.
- 006_1314_a_12L是故菩薩擧聲自讚:‘吾於世尊,天上天下第一,㩲慧超異獨步無侶,當究竟盡生老死根。’以此音告三千大千世界。其諸天子未有來者,應聲便至。爾時異學梵志及諸天子,皆共稽首敬禮讚音,叉手歸誠,是爲菩薩善㩲方便。
- 006_1314_b_02L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크게 기뻐서 웃되 경솔과 희롱의 뜻을 품지 아니하며, 웃되 아첨한 웃음을 하지 않느냐? 보살이 생각하되, ‘일체 중생들이 본래 나와 함께 최상의 마음과 위없는 정각(正覺)을 내었지만, 겁을 내고 게으르며 방일하고 제멋대로 하였기에 비천하고 어리석고 높은 체하며 음성에 미혹한 자이기에 일체 법을 알게 하고, 모든 신통․지혜․정진․통달함에 도달하게 하며, 부처님께 귀의하게 한다. 그리고도 큰 자비로써 싹이 트는 무리들을 발기시키고 방일을 제거하며, 자기의 원(願)과 덕이 또한 널리 구족했음을 보게 하려고, 보살이 크게 웃으심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4_a_18L何故菩薩大悅而笑,不懷輕戲,笑而不諂笑?菩薩興念:‘一切衆類本與我俱,發上道意無上正覺,恐畏懈怠放逸自恣,故爲卑賤愚冥貢高;或音聲者解一切法,至諸通慧精進敏達,使歸命佛。’猶斯大哀,發起萌類除卻放逸,見已願果彼亦普具,以故正士現大欣笑,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은 청정하여 때가 없으면서 또한 씻고 목욕하며 제석과 범천왕과 사천왕이 받들어 모셨느냐? 무릇 사람이 처음 태어나매 다 마땅히 씻고 목욕하나니, 보살도 청정하지만 세속을 따라 목욕하여 세속 사람과 같이 함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뜻을 보였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4_b_03L何故菩薩淸淨無垢而復洗浴,釋梵四天所見供侍?凡人初生皆當洗浴,菩薩淸淨,隨俗而浴。況世人乎故現此義,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처음 탄생한 후에 조용한 곳에 가서 나무 밑에 앉은 후에야 성에 들어왔느냐? 모든 감관[根]의 근본을 구족했으며, 궁중의 풍류와 노래의 즐거움을 시현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4대(大)는 이 현재의 인연으로 된 것이니, 여러 사람으로 하여금 배워 본받고 재보를 버리고 미묘한 데에 오르기를 좋아하게 하려고 집에 들어가면 다시 나오며, 다른 행동을 일으키지 않고 집을 버리며 도를 배워 곧 보리수 밑에 앉았나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4_b_07L何故菩薩初生之後,去到空閑於樹下坐,然後入城?欲以具足諸根之本,示現中宮絃歌倡伎音樂之娛,然火四錠由斯現緣,令衆學勸,棄離財寶樂昇微妙,入家復出不興異行,去家學道則坐佛樹,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탄생한 후 7일 만에 어머니가 문득 돌아가셨느냐? 어머니는 목숨을 마치면 그 복은 마땅히 천궁에 오르실 것이니, 보살의 허물일 수 없다. 앞서 도솔천에 있을 때에 왕후 마야(摩耶)가 목숨을 장차 마치는데 열 달 7일이 남아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도솔천으로부터 신변(神變)으로 내려와서 왕후의 태장(胎藏)에 들어감을 시현했나니, 이로써 미루어 보건대 보살의 허물이 아니다.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4_b_13L何故菩薩生後七日其母便薨?后壽終盡福應昇天,非菩薩咎。前處兜術,觀后摩耶大命將終,餘有十月七日之期,故從兜術神變來下現入后藏,以是推之,非菩薩咎,是爲菩薩善㩲方便。
- 무슨 까닭으로 보살이 글씨 쓰기와 활쏘기와 말 달리기와 칼 쓰는 것과 기술과 살육과 희롱하고 즐기는 것을 배웠느냐? 세속에서 익히는 현재의 인연을 따름이니, 삼천대천세계의 모든 풍류와 경장(經藏)과 도의 긴요함과 시송(詩頌)과 술수(術數)와 신주(神呪)로 병 고치는 것과 재담과 조롱하는 것들을 모두 배워서 박통함을 보여 여러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교만하지 못하게 함이니, 이것이 보살의 선권방편이 되느니라.”
-
006_1314_b_19L何故菩薩學書射御、兵仗伎術、摴蒱戲樂?隨世習俗現前因緣,三千大千世界諸所伎樂,經藏道要詩頌術數,神呪所療言談嘲調,示現悉學無所不博,欲令庶人不自憍慢,是爲菩薩善㩲方便。”
慧上菩薩問大善㩲經卷上
己亥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