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서명 |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
|---|
간략정보| 책명 |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
|---|---|
| 권수제 | 僧家禮儀文 |
| 표제 | 僧家禮文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僧家禮 |
| 자료구분 | 고서 |
|---|---|
| 주제분류 | 한국찬술-의례 |
| 저역자 | 明照(朝鮮) 纂 |
|---|
| 판종 | 木板本 |
|---|---|
| 저본 |
| 발행지 | 慶尙道 梁山 鷲栖山 |
|---|---|
| 발행자 | 통도사(通度寺) |
| 발행년 | 1670年(顯宗 11) |
| 장정 | 線裝 |
|---|---|
| 권사항 | |
| 장수 | 28張(僧家禮儀文: 張次 第1-16(右)張 / 施主秩: 16(左)張 / 茶毗作法文: 張次 第17-27(右)張 / 跋: 張次 第27(右)-28張) |
| 결락중복 | |
| 도표 | 科表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19.1×14.5 |
| 계선 | 有界 |
| 행자수 | 8行16字 |
| 주표기 | 註雙行 / 欄外書 |
| 판구 | 白口(黑口 混入) |
| 어미 | 上上向下下向白魚尾(上上向下下向黑魚尾, 上上向下上向1葉花紋魚尾, 黑魚尾 混入) |
| 책크기 | 24.7×17.8 |
| 서문 | |
|---|---|
| 발문 | 冊末: 夫僧家禮者... 康熙九年上章閹茂(1670)仲春彌混沙門冲徇謹拔兼書 |
| 간기 | 僧家禮儀文 張次 第16(右)張: 康熙九年庚戌(1670)仲春梁山鷲栖山通度寺刊 |
| 간행질 | 僧家禮儀文 張次 第16(左)張: 山中大德 眞熙, 寺內 義嚴, 師印書, 時住持 普琦, 通政大夫 一應 등 다수, 典座 海暹, 眞歲 敬悅, 書記 智暹, 首僧 坦宗, 三剛 守軒, 持殿 衍淸 性日 熙玉, 印鑑 信休, 刻字 冲絢 등 7명 |
| 기타판각인명정보 | |
| 인출유통묵서기 |
| 지질 | 楮紙 |
|---|---|
| 표지첨기 | 葬(右中) |
| 합본사항 |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標點 |
| 인장 | |
| 주기상세 | 1. 墨書: '百丈和尙淸規法'(앞속지 2장)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자 | 대성사 |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 한국불교전서 |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H0170 |
|---|
| - |
|---|
| 이력과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