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서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책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권수제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표제 | 圓覺 |
이제 | |
서제 | 大方廣圓覺經略鈔序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注序 |
판심제 | 圓覺經序 / 圓覺經 |
자료구분 | 고서 |
---|---|
주제분류 | 경장-경집부 |
저역자 | 佛陀多羅(唐) 譯 ; 宗密(唐) 述 |
---|
판종 | 木板本 |
---|---|
저본 |
발행지 | 慶尙道 密陽 載岳山 |
---|---|
발행자 | 영정사(靈井寺) |
발행년 | [1661年(顯宗 2)]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1-2 |
장수 | 144張(大方廣圓覺經略鈔序: 張次 第1張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注序: 張次 第2-7張 / 卷1: 張次 第1-62張 / 卷2: 張次 第1-75張) |
결락중복 | |
도표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광곽종류 | 半郭 |
광곽크기 | 23.7×20.0 |
계선 | 有界 |
행자수 | 9行 大字16字 小字雙行21字 |
주표기 | 欄內書 / 欄外書 |
판구 | 白口(卷1) / 白口(下花口('詳'字 陰刻 陽刻) 混入)(卷2) |
어미 | 上下向1葉花紋魚尾下上向黑魚尾(內向1, 2, 3葉花紋魚尾, 下魚尾 '玄'字 등 陰刻, 上魚尾 '信'字 등 陰刻 混入) |
책크기 | 37.8×24.7 |
서문 | 大方廣圓覺經略鈔序...皇宋康定二年辛巳(1041)歲杓建鶉咮月望日謹序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注序…其他備乎本序云 |
---|---|
발문 | |
간기 | |
간행질 | 卷1末: 大施主 李起男兩主 등 다수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序-卷2): 慶興寺尙玄外祖母紛伊 등 다수 |
인출유통묵서기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卷之一(表題下) / ??(右下) |
합본사항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朱書傍點 |
인장 | |
주기상세 | 1. 角布: 청색 2. 補寫: 卷2 張次 第73張 筆寫補入 3. 墨書(書頭): '圓' '一' / 墨書(書根): [圓覺] 흔적 있음 4. 褙接: 序 張次 第1-3張(3張), 卷2 張次 第73-75張(3張) 5. 包匣: 6卷5冊 |
내용주기 | |
형태주기 |
소장자 | 원각사 |
---|---|
소재처 | |
소재처관리번호 | 2802-10-0072 |
통합대장경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
---|
- |
---|
이력과정 | 四敎科 |
---|
책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권수제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표제 | 圓覺 |
이제 | |
서제 | |
판심제 | 圓覺經 |
자료구분 | 고서 |
---|---|
주제분류 | 경장-경집부 |
저역자 | 佛陀多羅(唐) 譯 ; 宗密(唐) 述 |
---|
판종 | 木板本 |
---|---|
저본 |
발행지 | 慶尙道 密陽 載岳山 |
---|---|
발행자 | 영정사(靈井寺) |
발행년 | [1661年(顯宗 2)]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3 |
장수 | 124張(卷3: 張次 第1-124張) |
결락중복 | |
도표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광곽종류 | 半郭 |
광곽크기 | 23.2×19.6 |
계선 | 有界 |
행자수 | 9行 大字16字 低1字中字20字 低1字小字雙行20字 |
주표기 | 欄內書 / 欄外書 |
판구 | 白口(下花口('詳'字 陽刻) 混入) |
어미 | 內向2葉花紋魚尾(內向1, 2, 3葉花紋魚尾, 下魚尾 '玄'字 등 陰刻, 上魚尾 '信'字 등 陰刻 混入) |
책크기 | 38.0×25.0 |
서문 | |
---|---|
발문 | |
간기 | |
간행질 |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大施主 李起男亡父李論詳 등 다수 |
인출유통묵서기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卷之二(表題下) |
합본사항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朱書傍點 |
인장 | |
주기상세 | 1. 角布: 청색 2. 墨書(書頭): '圓' '二' / 墨書(書根): '圓覺 二' 3. 褙接: 卷3 張次 第1-2張(2張), 張次 第122-124張(3張) 4. 包匣: 6卷5冊 |
내용주기 | |
형태주기 |
소장자 | 원각사 |
---|---|
소재처 | |
소재처관리번호 | 2802-10-0073 |
통합대장경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
---|
- |
---|
이력과정 | 四敎科 |
---|
책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권수제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표제 | 圓覺 |
이제 | |
서제 | |
판심제 | 圓覺經 |
자료구분 | 고서 |
---|---|
주제분류 | 경장-경집부 |
저역자 | 佛陀多羅(唐) 譯 ; 宗密(唐) 述 |
---|
판종 | 木板本 |
---|---|
저본 |
발행지 | 慶尙道 密陽 載岳山 |
---|---|
발행자 | 영정사(靈井寺) |
발행년 | [1661年(顯宗 2)]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4 |
장수 | 152張(卷4: 張次 第1-152張) |
결락중복 | |
도표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광곽종류 | 半郭 |
광곽크기 | 23.1×19.9 |
계선 | 有界 |
행자수 | 9行 大字16字 低1字中字20字 低1字小字雙行20字 |
주표기 | 欄內書 / 欄外書 |
판구 | 白口 |
어미 | 內向2葉花紋魚尾(內向1,3葉花紋魚尾, 下魚尾 '戒'字 등 陰刻, 上魚尾 '信'字 등 陰刻 混入) |
책크기 | 38.0×25.0 |
서문 | |
---|---|
발문 | |
간기 | |
간행질 |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連今 등 다수 |
인출유통묵서기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卷之三(表題下) / 孤雲寺(右上) / ??(右下) |
합본사항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朱書傍點 |
인장 | 판정불가(卷4 張次 第1張 1개, 사각朱印, 6.1×6.1) / ?雲寺印(卷4 張次 第150張 1개, 사각朱印, 6.1×6.1) |
주기상세 | 1. 角布: 청색 2. 墨書(書頭): '圓' '圓性' '三' / 墨書(書根): '圓覺' 3. 褙接: 卷4 張次 第1-2張(2張), 張次 第151-152張(2張) 4. 包匣: 6卷5冊 |
내용주기 | |
형태주기 |
소장자 | 원각사 |
---|---|
소재처 | |
소재처관리번호 | 2802-10-0074 |
통합대장경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
---|
- |
---|
이력과정 | 四敎科 |
---|
책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권수제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표제 | 圓覺經 |
이제 | |
서제 | |
판심제 | 圓覺經 |
자료구분 | 고서 |
---|---|
주제분류 | 경장-경집부 |
저역자 | 佛陀多羅(唐) 譯 ; 宗密(唐) 述 |
---|
판종 | 木板本 |
---|---|
저본 |
발행지 | 慶尙道 密陽 載岳山 |
---|---|
발행자 | 영정사(靈井寺) |
발행년 | [1661年(顯宗 2)]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5 |
장수 | 117張(卷5: 張次 第1-117張) |
결락중복 | 卷5: 張次 第117張 後缺落 |
도표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광곽종류 | 半郭 |
광곽크기 | 22.8×20.3 |
계선 | 有界 |
행자수 | 9行 大字16字 低1字中字20字 低1字小字雙行20字 |
주표기 | 欄內書 / 欄外書 |
판구 | 白口(下花口('敬'字 陽刻) 混入) |
어미 | 內向3葉花紋魚尾(內向1, 2葉花紋魚尾, 上下魚尾 '信'字 등 陰刻 混入) |
책크기 | 37.9×25.3 |
서문 | |
---|---|
발문 | |
간기 | |
간행질 |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大施主李守義兩主 등 다수 |
인출유통묵서기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第五(表題下) / 孤雲寺(左下) / 錦波 白岩(右下) |
합본사항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인장 | ?雲寺印(卷5 張次 第1張 1개, 사각朱印, 6.1×6.1) / 판정불가(卷5 張次 第1張 1개, 사각朱印, 5.4×5.4) / 판정불가(卷5 冊末 1개, 사각朱印, 5.0×5.5) |
주기상세 | 1. 墨書(書背): '大曄' 2. 卷5 張次 第65張 欄外下段에 묵서된 종이 덧붙어 있음 3. 包匣: 6卷5冊 |
내용주기 | |
형태주기 |
소장자 | 원각사 |
---|---|
소재처 | |
소재처관리번호 | 2802-10-0075 |
통합대장경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
---|
- |
---|
이력과정 | 四敎科 |
---|
책명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
권수제 |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표제 | 圓覺 |
이제 | |
서제 | |
판심제 | 圓覺經 / 圓覺經跋 |
자료구분 | 고서 |
---|---|
주제분류 | 경장-경집부 |
저역자 | 佛陀多羅(唐) 譯 ; 宗密(唐) 述 |
---|
판종 | 木板本 |
---|---|
저본 |
발행지 | 慶尙道 密陽 載岳山 |
---|---|
발행자 | 영정사(靈井寺) |
발행년 | 1661年(顯宗 2) |
장정 | 線裝 |
---|---|
권사항 | 卷6 |
장수 | 119張(卷6: 張次 第1-117張 / 跋: 張次 第118-119張) |
결락중복 | |
도표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광곽종류 | 半郭 |
광곽크기 | 23.2×19.4 |
계선 | 有界 |
행자수 | 9行 大字16字 低1字中字20字 低1字小字雙行20字 |
주표기 | 欄內書 / 欄外書 |
판구 | 白口 |
어미 | 內向2葉花紋魚尾(內向1, 2, 3葉花紋魚尾, 上下魚尾 '卍'字 등 陰刻 混入) |
책크기 | 38.1×25.1 |
서문 | |
---|---|
발문 | 圓覺經後跋...順治十八年辛丑(1661)六月日慶尙道密陽地載岳山靈井寺開板留 |
간기 | 冊末: 順治十八年辛丑(1661)六月日慶尙道密陽地載岳山靈井寺開板留 |
간행질 | 冊末: 山中大德 慧根比丘 등 다수, 本寺秩 時主持三學 등 다수, 刻秩 首比李時一 등 다수, 鍊板 唯禪 등 다수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白榮鶴 등 다수 |
인출유통묵서기 | 뒤속지: 印經施主 智學比丘 淨玄比丘 呂?比丘 崔召吏保體 |
지질 | 楮紙 |
---|---|
표지첨기 | 卷之五(表題下) / ??(右下) |
합본사항 | |
현토표점방점 | 墨書懸吐 / 朱書傍點 |
인장 | ?雲寺印(卷6 張次 第1張 1개, 사각朱印, 6.1×6.1) |
주기상세 | 1. 角布: 청색 2. 墨書(書頭): '圓' '圓性' '五' / 墨書(書背): '大曄' / 墨書(書根): '圓覺' '五' 3. 卷6 張次 第105-106張과 張次 第115-116張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음 4. 褙接: 卷6 張次 第1張(1張) 5. 包匣: 6卷5冊 |
내용주기 | |
형태주기 |
소장자 | 원각사 |
---|---|
소재처 | |
소재처관리번호 | 2802-10-0076 |
통합대장경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
---|
- |
---|
이력과정 | 四敎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