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표서명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 
|---|
 간략정보
 간략정보| 책명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 
|---|---|
| 권수제 | 誡初心學人文 | 
| 표제 | 無(표지없음) | 
| 이제 | |
| 서제 | |
| 판심제 | 初 / 章 / 自 | 
| 자료구분 | 고서-언해 | 
|---|---|
| 주제분류 | 한국찬술-교육 | 
| 저역자 | 知訥(高麗) 著 | 
|---|
| 판종 | 木板本 | 
|---|---|
| 저본 | 
| 발행지 | 全羅道 順天 | 
|---|---|
| 발행자 | 송광사(松廣寺) | 
| 발행년 | [1577年(宣祖 10)] | 
| 장정 | 線裝 | 
|---|---|
| 권사항 | |
| 장수 | 83張(誡初心學人文: 3張(筆寫補入), 張次 第5-21張 / 發心修行章: 張次 第22-37張 / 自警序: 張次 第38-84張) | 
| 결락중복 | 張次 第4張(1張 缺落) | 
| 도표 | |
| 광곽형태 | 四周單邊 | 
| 광곽종류 | 半郭 | 
| 광곽크기 | 19.0×12.9 | 
| 계선 | 無界(有界 多數混入) | 
| 행자수 | 7行15字 | 
| 주표기 | |
| 판구 | 白口 | 
| 어미 | 無魚尾(內向黑魚尾 混入, 內向3葉花紋魚尾 多數混入, 下魚尾 '太'字 陰刻 混入) | 
| 책크기 | 24.5×17.0 | 
| 서문 | |
|---|---|
| 발문 | |
| 간기 | |
| 간행질 | |
| 기타판각인명정보 | 欄外下段: 湛惠 등 다수 | 
| 인출유통묵서기 | 
| 지질 | 楮紙 | 
|---|---|
| 표지첨기 | |
| 합본사항 | 合本 | 
| 현토표점방점 | 한글板刻懸吐(諺吐本) | 
| 인장 | |
| 주기상세 | 1. 音譯, 諺吐 및 諺解本 2. 내용: 誡初心學人文_知訥(高麗) 著 / 發心修行章_元曉(新羅) 述 / 自警序_野雲(高麗) 述 3. 발행: 동국대 중앙도서관 소장 218.8 지217ㄱ언(등록번호: D18955)과 동일본으로 발행사항 추정[萬曆五年丁丑(1577)夏 全羅道順天地曹溪山松廣寺留板] 4. 褙接 및 筆寫補入 다수 | 
| 내용주기 | |
| 형태주기 | 
| 소장자 | 동국대 중앙도서관 | 
|---|---|
| 소재처 | |
| 소재처관리번호 | 218.8 지217ㄱㄱ // D11013 | 
| 한국불교전서 |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H0025 | 
|---|---|
| 한국불교전서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H0072 | 
| 한국불교전서 | 자경서(自警序) H0106 | 
| - | 
|---|
| 이력과정 | 沙彌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