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차

해제 닫기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간략정보
  • 妙法蓮華經 / 鳩摩羅什(後秦) 譯. -- 木板本 -- [不明] : [不明], [朝鮮前期].
  • 卷1-2(全7卷), 變相, 四周雙邊 半郭 22.3×15.8 cm , 有界, 8行13字, 黑口, 上下內向黑魚尾 ; 31.9×20.5 cm.
  • 소장자 : 용연사

제목정보
책명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수제 妙法蓮華經
표제
이제
서제 妙法蓮華經弘傳序
판심제 法華經
분류정보
자료구분 고서
주제분류 경장-법화부
저자정보
저역자 鳩摩羅什(後秦) 譯
판사항
판종 木板本
저본
발행정보
발행지 [不明]
발행자 [不明]
발행년 [朝鮮前期]
형태정보
장정 線裝
권사항 卷1-2(全7卷)
장수 108張
결락중복
도표 變相
광곽형태 四周雙邊
광곽종류 半郭
광곽크기 22.3×15.8
계선 有界
행자수 8行13字
주표기
판구 黑口
어미 上下內向黑魚尾
책크기 31.9×20.5
기록정보
서문 妙法蓮華經弘傳序 終南山釋道宣 述
발문
간기
간행질
기타판각인명정보
인출유통묵서기
주기정보
지질 楮紙
표지첨기
합본사항
현토표점방점 板刻標點
인장
주기상세 1. 張數: 변상: 2장 / 홍전서: 3장 / 권1: 51장 / 권2: 52장
2. 缺落: 앞뒤표지 없음
3. 본문 물에 젖어 변색됨
내용주기
형태주기
소장정보
소장자 용연사
소재처 동화사
소재처관리번호
연계정보
출처정보
-
참고정보
이력과정 四敎科

[책차해제]

※ 변상도해제
1664년 전남 순천 영축산 흥국사에서 간행한 법화경의 변상도로 3매의 판에 위태천과 영산회상도, 약사불회도, 아미타불회도를 새긴 삼세불회도의 도상이다. 이는 약사불과 아미타불의 대좌 아래에 기록된 변상간기에 기록되어 있듯이 1646년 화원 지환(지환)이 밑그림을 그리고 일욱이 판각한 위태천과 삼세불화의 도상이며, 이미 선암사에서 간행한 법화경(1660)의 변상도이기도 하다. 다시말해 1646년 이 변상도를 판각하여 1660년 선암사법화경과 1664년 흥국사 법화경 간행시 권수변상도로 활용한 것이다.
제1판에는 위태천을 반곽에 새겼다. 갑옷을 입은 무장형의 위태천은 새깃털이 꽂힌 투구를 쓰고 있는데 주위에 화염광배가 둘러져있다. 합장한 팔 위에는 금강저를 얹었다. 어깨와 신체에 천의가 휘날리고 있어 당당하고 활달하여 동감있는 모습이다. 주위에는 큼직한 산화(散華)가 공간에 가득 흩어져 있어 동감을 더하고 있다. 나머지 반곽에는 세로로 칸이 쳐 있을 뿐 그림은 없다.
제2판과 제3판에 삼세불도상이 이어져 있다. 중앙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하고 각각 보주형의 두광과 신광을 진 석가모니불이 대좌 위에 앉아있고 앞에는 청문자, 주위에는 협시인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및 십대제자가 둘러서 영산회를 이루고 있다. 향우측에는 왼손 위에 약그릇을 올려놓고 오른손은 어깨 쪽으로 올려 설법인을 짓고 있는 약사불이 원형 광배를 뒤로 하고 대좌 위에 앉아 있다. 약사불 좌우에는 협시인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비롯한 4보살과 좌ㆍ우 보필성(輔弼星) 및 제석천이 자리하고 주위에 약사12신장과 사천왕 중 북방과 동방천왕이 시립하고 있다. 왼쪽에는 설법인을 취한 아미타불과 관음 및 세지보살을 비롯한 팔대보살과 범천, 남방천왕과 서방천왕, 그리고 신중 3위가 배치되어 있다. 이 3매판을 이어 놓으면 오른쪽에서부터 약사, 석가, 아미타회도의 형식인데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도상이다. 실제로 삼세불화는 17세기 이후 대웅전에 봉안되어 전해지는 사례가 많다.
이 변상도의 약사불과 아미타불 대좌 아래에 각기 곽을 만들어 그 안에 간기를 새겨 넣었다. 약사불 아래에는 ‘연판천은비구자판종감비구(鍊板天訔比丘自板宗甘比丘) 순치삼년병술일개간(順治三年丙戌日開刊)’, 아미타불 아래에는 ‘주상전하수만세운운(主上殿下壽萬歲云云) 화원지환구 각원일욱구 변상시주 십아이단월 공덕희안구(畫員智環丘 刻員一昱丘 變相施主 什我伊單月 功德熙安丘)’라는 내용이다.
문화재청 박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