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술기(述記)

제목정보
장소명 술기(述記)
이명 범망경보살계본술기(梵網經菩薩戒本述記), 범망경소(梵網經疏), 범망경보살계본초(梵網經菩薩戒本抄)
저자정보
찬자 이름승장(勝庄)
이명승장(勝莊)
생몰년 ~
국적신라(新羅)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述記三卷 勝庄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安元寫本>: "述記三卷 勝庄述" [庄: <正保寫本>에 「庄」, <元祿刊本>,<大正藏本>에 「莊」, <韓佛全本>에 「庄」, 案 「庄」].【cf. 朴鎔辰. "『新編諸宗敎藏總錄』의 對校와 校勘 硏究." 『서지학연구』, 67 (2016.09), 177-207.】 / <撰者 出生国 情報> http://authority.dila.edu.tw/person/?fromInner=A001179
형태정보
권수 三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상,하: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 권하: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대정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 권하: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동양대학도서관(東洋大學圖書館)
서지정보 :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경도대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人文科學硏究所)
서지정보 :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동경도립중앙도서관(東京都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상, 권하: 목판본, 林重義藏版, 1714. 1714년(正德 4) 간본, 입정대학도서관(立正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상, 권하: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철학당도서관(哲學堂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범망경술기(梵網經述記) 승장(勝莊) 4권 통일신라 H0033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38 No.686) 『梵網經菩薩戒本述記』 4卷, 唐 勝莊撰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律部一 大乘律疏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60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60冊 바로가기
학술정보
학술논문 吉津 宜英, 法藏以前の『梵網經』 諸註釋書について(駒澤大學佛教學部研究紀要 47, 1989)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범망경술기梵網經述記
개요

『범망경술기』는 신라 출신의 당나라 유학승으로 유식학자인 승장勝莊이 대승보살계大乘菩薩戒를 설한 대표경전인 『범망경』을 상세하게 해설한 것이다.
체제와 내용

『범망경술기』는 상·하 2권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다섯 문을 시설하여 본문을 풀이하였다. 첫 번째는 가르침이 일어난 이유와 제목 및 경명經名의 유래를 설했다. 두 번째는 경의 종지宗旨와 체體를 밝혔다. 불법 전체를, 공空을 숨기고 유有를 드러내는 종지·유를 숨기고 공을 설하는 종지·공과 유의 두 변을 멀리 여의는 종지의 셋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법상종의 교판론과 일치한다. 다음은 본 경의 개별적인 종지를 심지법문心地法門이라고 했다. 거짓을 포섭하여 참으로 돌아가게 하는 문·지말을 포섭하여 본질로 돌아가게 하는 문·일시적인 것을 포섭하여 진실을 따르게 하는 문·법수에 의해 체를 정하는 문 등의 관점에서 체를 정의하였다. 세 번째는 가르침이 포섭되는 범주를 밝혔다. 네 번째는 가르침의 대상을 밝혔는데, 법상종의 오성각별설五性各別說을 따라서 삼승정성三乘定性 중 보살정성菩薩定性과 부정성不定性의 중생을 위한 가르침으로 한정하였다. 다섯 번째는 본문을 풀이하였다. 『범망경』 상권을 서분, 하권을 정설분·유통분으로 분과하고, 하권만 풀이했는데, 정설분의 주석에서 주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범망경』의 10발취심十發趣心·10장양심十長養心·10금강심十金剛心·10지十地 등의 40심을 차례대로 『화엄경』의 10해十解·10행十行·10회향十迴向·10지十地 등에 배대했다. 이는 두 경의 분리를 시도하는 법장의 입장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중계의 해석에 있어서 방편의 허용을 특성으로 하는 『유가사지론』의 보살계를 중심으로 원리주의적인 『범망경』의 보살계를 포섭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경계의 해석에 있어서 『유가사지론』의 삼취정계를 끌어들이고 있는데, 이는 유식학자들의 주석서에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
<동국대학교 한명숙>
장소찬자

승장勝庄의 독립된 전기는 전하지 않는다. 법장法藏(643~712)·자은대사慈恩大師 기基(632~682)의 동문이었던 법보法寶와 함께 의정義淨·보리류지菩提流志 등이 주도한 역장에 활발하게 참여한 기록에 의해 그 생존연대를 7세기 중반~8세기 초반으로 추정할 수 있다. 원측圓測(613~696)의 분골을 이장하고 탑을 세우는 일에 동참한 기록은 그를 원측의 제자로 판단하는 유력한 근거이다. 그 저술로 전문이 전해지는 것은 『범망경술기』 뿐이고, 『금광명최승왕경소金光明最勝王經疏』가 집일본輯佚本의 형태로 전해진다. 이밖에 『인명정리문론술기因明正理門論述記』·『성유식론결成唯識論決』 등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국대학교 한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