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고적기(古迹記)

제목정보
장소명 고적기(古迹記)
이명
저자정보
찬자 이름태현(太賢)
이명청구사문(青丘沙門), 대현(大賢)
생몰년703-752(추정) ~ 754-803(추정)
국적신라(新羅)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古迹記一卷 太賢述
찬술방식 술(述)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단권: 필사본, [不明], 1304. 1304년(嘉元 2) 사본, 신연문고(身延文庫_身延山久遠寺)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不明], 1675. [1675년(延寶 3)] 간본(추정),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대정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村上勘兵衛, 1649. 1649년(慶安 2) 간본, 동양대학도서관(東洋大學圖書館)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村上勘兵衛, 1675. 1675년(延寶 3) 간본, 동양대학도서관(東洋大學圖書館)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村上勘兵衛], 1675. 1675년(延寶 3) 간본,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上,下: 목판본, [村上勘兵衛], [不明]. 1675년(延寶 3) 간본, 대정대학도서관(大阪大學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본원약사경고적(本願藥師經古迹) 태현(太賢) 2권 통일신라 H0046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大正藏(T38 No.1770) 『本願藥師經古迹』 2卷, 新羅 太賢撰 _部別 : 經疏部六 _ 聯關資料:No.450 _【原】延寶三年刊大谷大學藏本, 【甲】大日本續藏經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21 No.380) 『藥師經古迹』 2卷, 新羅 太賢撰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十九 方等部疏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35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35冊
학술정보
학위논문 이은경, 韓國 藥師淨土思想에 關한 硏究 : 新羅太賢의 『本願藥師經古迹』을 中心으로(원광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논문, 2004)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본원약사경고적本願藥師經古迹
개요

신라의 태현(太賢, 생몰연대 미상)이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을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신라의 태현(太賢, 생몰연대 미상)이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을 주석한 것으로 약사경고적기(藥師經古迹記)라고도 한다. 1권본·2권본 등이 있다. 『대정신수대장경』권38(N. 1770)에 수록되어 있다. 본서는 당의 현장(玄奘)이 650년에 번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을 주석한 것이다. 전체의 구성은 제명(題名)·교섭(敎攝)·본문(本文)의 삼단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명(題名)에서는 경의 제목에 대해서 해설하고 있는데, 약사(藥師)라는 것은 ‘중생의 고통을 제거해 주는 것’, 유리광(瑠璃光)이란 ‘연(緣)이 널리 가 닿는 것’, 본원(本願)이란 ‘닦아야 할 묘행(妙行)’, 공덕(功德)이란 ‘증득되는 과보(果報)’를 각각 가리킨다고 한다. 교섭(敎攝)에서는 교판(敎判)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데, 돈교(頓敎)·점교(漸敎)·편방부정교(偏方不定敎) 가운데서 본경은 편방부정교에 속한다고 한다. 본문(本文)에서는 본경을 설경인기분(說經因起分)·대문광설분(對問廣說分)·문명희행분(聞名喜行分)으로 나누고 경문을 열거하면서 해석하고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신라 중기의 승려로서, 법명은 태현(太賢)·대현(大賢) 또는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고도 한다. 신라 유가종(瑜伽宗)의 종조로서 경주 남산의 용장사(茸長寺)에 거주하였는데, 지혜와 언변이 정민(精敏)하고 판단이 분명하였으며, 법상종(法相宗)의 이치를 통달하여 후학들과 중국의 학자들이 그의 저서를 기준으로 했다고 전한다. 그의 중심사상은 유식학에서 찾을 수 있지만, 저서를 통해 볼 때 화엄(華嚴)·열반(涅槃)·반야(般若)·법화(法華)·정토교(淨土敎)·미륵신앙(彌勒信仰)·보살계사상(菩薩戒思想) 등에 두루 통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원효(元曉) 다음 가는 신라의 대저작가로서 총 52종의 저술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존하는 것은『성유식론고적기(成唯識論古迹記)』·『기신론내의약탐기(起信論內義略探記)』·『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범망경보살계본종요(梵網經菩薩戒本宗要)』·『약사경고적기(藥師經古迹記)』뿐이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