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주법계관문(注法界觀門)

제목정보
장소명 주법계관문(注法界觀門)
이명 화엄법계관문(華嚴法界觀門), 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
저자정보
찬자 이름종밀(宗密)
이명정혜선사(定慧禪師), 규산대사(圭山大師), 대지원명자증이타대보살(大智圓明自證利他大菩薩), 규봉종밀(圭峰宗密), 종밀(宗密)
생몰년780 ~ 0841.02.05
국적당(唐)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注法界觀門一卷 宗密注
찬술방식 주(注)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1권: 목판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산서성박물관(山西省博物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武村市兵衛, 1649. 1649년(慶安 2) 간본, 용곡대학도서관(龍谷大學圖書館)
서지정보 2종문헌합본: 목판본, 智異山王山寺, 1713. 1713년(康熙 52, 肅宗 39) 지리산王山寺 중간본, 가흥대장경의 복각 합본,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2종문헌합본: 목판본, 智異山王山寺, 1713. 1713년(康熙 52, 肅宗 39) 지리산王山寺 중간본, 가흥대장경의 복각 합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2종문헌합본: 목판본, 智異山王山寺, 1713. 1713년(康熙 52, 肅宗 39) 지리산王山寺 중간본, 가흥대장경의 복각 합본,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智異山王山寺, 1713. 1713년(康熙 52, 肅宗 39) 지리산王山寺 중간본, 가흥대장경의 복각 합본,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단권: 필사본, [不明], [不明]. 시기미상,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서지정보 2종문헌합본: 목판본, 武村市兵衞刊, 1649. 1649년(慶安 2) 간본, 일본국립국회도서관(日本國立國會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武村市兵衞刊], 1649. 1649년(慶安 2) 간본, 長澤目75, 도근현립도서관(島根縣立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武村市兵衞刊], 1649. 1649년(慶安 2) 간본, 明治中 印本, 동경대종합도서관(東京大學總合圖書館)
서지정보 단권: 목판본, 武村市兵衞刊, 1649. 1649년(慶安 2) 간본, 京都武村市兵衛 刊 京都錢屋庄兵衛, 印記城端瑞泉寺 25.8糎, 동북복지대학도서관(東北福祉大學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毘盧藏( No.1442) 『注華嚴法界觀門』 序裴休述 沙門宗密注 _函次 : 頗(595)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35 No.1423) 『注華嚴法界觀門』 1卷, 圭峯蘭若沙門宗密 注_函次 : 黍 1 (663)
한문대장경 ◎ 永樂南藏( No.1577) 『華嚴法界觀門』 _部別 : 此方撰述 _函次 : 青(608)
한문대장경 ◎ 永樂北藏(P174 No.1683) 『注華嚴法界觀門』 1卷, 唐宗密注 _部別 : 此土著述 _ 函次 : 迹
한문대장경 ◎ 嘉興藏(J No.1588) 『註華嚴法界觀門』 唐宗密注 _部別 : 此土著述 _法寶總目錄經號:1587 _函次:[正藏] 跡(612)
한문대장경 ◎ 嘉興藏新文豐版 [正藏](5冊 No.105) 『註華嚴法界觀門』 1卷, 唐 宗密注
한문대장경 ◎ 乾隆藏(L135 No.1566) 『註華嚴法界觀門』 1卷, 唐 宗密注 _部別 : 此土著述 _函次 : 沙
한문대장경 ◎ 縮刻藏( No.1750) 『注華嚴法界觀門』 1卷, 唐宗密述 _部別 : 支那撰述-諸宗部-華嚴宗 _函次 : 陽 3 (32)
한문대장경 ◎ 卍正藏(M66 No.1603) 『註華嚴法界觀門』 1卷, 唐 宗密注 _部別 : 此土著述 _原版第 34
한문대장경 ◎ 大正藏(T45 No.1884) 『註華嚴法界觀門』 1卷, 唐 宗密註 _部別 : 諸宗部二 _【原】增上寺報恩藏明本, 【甲】慶安二年刊大谷大學藏本, 【宮】宮內省圖書寮藏宋本 바로가기
한문대장경 ◎ 佛教大藏經(G68 No.1948) 『註華嚴法界觀門』 1卷, 唐 宗密註 _部別 : 諸宗部一 華嚴宗
한문대장경 ◎ 中華藏(C98 No.1864) 『注華嚴法界觀門』 1卷, 唐圭峰蘭若沙門宗密注 _【底本】明永樂北藏本
학술정보
학술논문 吉田 剛, 本崇 『法界觀門通玄記』について-華嚴復興期の敎觀幷修論を中心としてー(禪學硏究 80, 2001)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주법계관문注法界觀門
개요
중국 당나라의 화엄승 종밀宗密(780~840)이 두순杜順의 『법계관문法界觀門』을 주석한 것.
체제와 내용

두순杜順의 『법계관문』의 삼중이십팔종三重二十八種의 관법을 차례대로 주석한 것이다. 중국 화엄종 초조인 두순杜順은 화엄법계華嚴法界의 관법觀法을 정리한 『법계관문法界觀門』을 저술하였다. 여기서 두순은 삼중三重의 관觀을 세우고 있는데, 진공관眞空觀·이사무애관理事無碍觀·주변함용관周遍含容觀이 그것이다. 진공관은 사법계四法界 중의 이법계관理法界觀으로서, 거기에는 다시 회색귀공관會色歸空觀(四門이 있음)·명공즉색관明空卽色觀(四門이 있음)·공색무애관空色無碍觀·민절무기관泯絶無寄觀의 사구십문四句十門이 있다. 본서는 삼중의 관법 가운데서도 진공관眞空觀에 중점을 두고 있고, 진공관 중에서도 민절무기관泯絶無寄觀을 중요시하고 있다. 본서는『법계관문』에 대한 징관의 주석서인 『화엄법계현경華嚴法界玄鏡』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 1권. 『대정신수대장경』권45(No.1884)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종밀宗密(780~840)은 중국 화엄종華嚴宗의 제5조祖. 속성은 하何씨이며, 시호諡號 정혜대사定慧大師이다. 규봉대사圭峰大師라 칭하였다. 과주 서충果州西充(四川省) 출생이다. 28세에 도원선사道圓禪師 따라 출가하였고, 후에 화엄종 제4조 청량징관淸凉澄觀에게 배우고 『화엄경』을 수학했다. 또 스스로 선종禪宗의 일파인 하택선荷澤禪의 법계法系 이어받았다 하나 그 진부는 알 수 없다. 중국에서 지은 『원각경圓覺經』을 세상에 반포頒布한 공적이 다대하고, 『원각경』의 주석서를 저술한 외에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를 지어 교선敎禪일치설을 주장하였다. 중국 사상인 유교·도교를 불교의 입장에서 정의하여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한 것이『원인론原人論』인데, 그의 사상은 송학宋學의 원류가 되기도 하였다. 저서가 대단히 많은데 화엄관련 저술로는『화엄경윤관華嚴經綸貫』·『화엄경행원품소과華嚴經行願品疏科』·『화엄경행원품소초華嚴經行願品疏抄』·『주화엄법계관문注華嚴法界觀門』·『주화엄법계관과문註華嚴法界觀科文』·『화엄심요법문주華嚴心要法門注』등이 있고, 『원각경』 관련저술로는 『원각경과문圓覺經科文』·『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원각경대소초圓覺經大疏鈔』·『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 등이 있다. 우리나라 불교에 큰 영향을 끼쳤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