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해제 닫기

대소주경(大疏注經)

제목정보
장소명 대소주경(大疏注經)
이명 화엄경소(華嚴經疏),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대방광불화엄경소주(大方廣佛華嚴經疏注), 화엄경소주(華嚴經疏注)
저자정보
찬자 이름정원(淨源)
이명진수(晉水), 잠수(潛叟), 백장(伯長), 혜인정원(慧因淨源), 진수정원(晉水淨源)
생몰년1011 ~ 1011.12.31-1088.12.19
국적북송(北宋)
참고사항바로가기
장소정보
총록정보 大疏注經一百二十卷(淨源移清涼大疏注於經下)
찬술방식 이(移)
교감현황
형태정보
권수 一百二十卷
현존정보
서지정보 권제4, 12, 19-20, 26, 33, 37, 40, 42, 46, 49, 51, 54-55, 57, 61-62, 65, 69, 71-72, 75, 77, 81-82, 86, 91, 94-95, 97, 99, 102, 104-107, 109, 111-114, 116: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계명대동산도서관(啓明大童山圖書館)
서지정보 권제21,24: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
서지정보 권제28-30,100-102: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아단문고(雅丹文庫)
서지정보 권제42: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고려시대, 아단문고(雅丹文庫)
서지정보 권제30: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제91-92: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제48,64,83: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청주고인쇄박물관(淸州古印刷博物館)
서지정보 권제52,56,70: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고려대도서관(高麗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68: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14C, 불교천태중앙박물관(佛敎天台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제84,100,117: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호림박물관(湖林博物館)
서지정보 권제97: 목판본, [宋收入], 1087. 시기미상, 기림사(祇林寺_慶北慶州)
서지정보 권제118: 목판본, [不明], [1200]. 13C(추정),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서지정보 권제41: 목판본, [不明], 1372. 1372년(洪武 5,恭愍王 21) 간본, 불교천태중앙박물관(佛敎天台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제91,94,103: 목판본(宋版),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대동급문고(大東急記念文庫)(五島美術館)
서지정보 권제21-22: 목판본(宋版),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정가당문고미술관(靜嘉堂文庫美術館)
서지정보 권제47,49-50,61-63,68-69,74,78-80,93-95,97,99,110-111,118: 목판본(宋版),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정가당문고미술관(靜嘉堂文庫美術館)
서지정보 권제115: 목판본,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천리대학도서관(天理大學圖書館)
서지정보 권제71,83,85,94,99,114: 목판본(宋版),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중국국가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14: 목판본(宋版),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不明]. 시기미상, 수도도서관(首都圖書館)
서지정보 권제70-72: 목판본, [歸進寺], 1635. [1556-64년(嘉靖 35-43)], 귀진사본추정,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서지정보 권제11-13, ..., 118-120: 목판본, 松廣寺, 1635. 1633-35년(崇禎 6-8), 송광사본, 동화사(桐華寺_大邱)
서지정보 권제3-4, ... 119-120: 목판본, 松廣寺, 1635. 1633-35년(崇禎 6-8), 송광사본,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27-28, ... 83-84: 목판본, 松廣寺, [不明]. 시기미상, 개인(個人)
서지정보 권제64-66, ..., 118-120: 목판본, 松廣寺, 1635. 1633-35년(崇禎 6-8), 송광사본, 동화사(桐華寺_大邱)
서지정보 권제1: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추정], 용흥사(龍興寺_全南潭陽)
서지정보 권제2,8,9,12: 목판본, 松廣寺, 1635. 1635년(崇禎 8), 松廣寺本, 腹藏物,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9-10,37-38,67-68,87-88,98,119-120: 목판본, [龍腹寺], 1631. 1628-31(崇禎 1-4), 용복사본,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43-45, ... 118-120: 목판본, 松廣寺, 1635. 1633-35년(崇禎 6-8), 송광사본,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11-12, ... 117-118: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송광사(松廣寺_全南順天)
서지정보 권제39-40: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추정], 용화사(龍華寺_全南潭陽)
서지정보 권제13-15: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 귀진사 간기1557년(嘉靖 36) 있으나 송광사본임, 용화사(龍華寺_全南潭陽)
서지정보 권제79-81: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추정], 용화사(龍華寺_全南潭陽)
서지정보 권제106-108: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추정], 기림사(祇林寺_慶北慶州)
서지정보 권제1-2,3-4,5-6: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기림사(祇林寺_慶北慶州)
서지정보 권제4-6,9,22-24,52-54,67-69,79-81,88-90,112-114,115-117: 목판본, [不明], [不明]. , 기림사(祇林寺_慶北慶州)
서지정보 권제13-15: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귀진사 간기1557년(嘉靖 36) 있으나 송광사본임, 원각사(圓覺寺_京畿高陽)
서지정보 권제17-19,...,106-107: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중앙승가대도서관(中央僧伽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7-18,...,97-99: 목판본, [松廣寺], [1635]. 1634-35년(崇禎 7-8), 송광사본, 중앙승가대도서관(中央僧伽大圖書館)
서지정보 권제1-4: 목판본, 伽倻山下鋸寺, 1241. 1241년(高宗 28) 下鋸寺 조조각판의 후쇄인본년(1990년대), 고려대장경연구소(高麗大藏經硏究所)
서지정보 권제74: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개인(個人)
서지정보 권제13-14: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제35: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제36: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제51: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북재문고(北齋文庫)
서지정보 권제32: 목판본, [兩浙轉運司; 浙西運司], 1087. 시기미상, 경도국립박물관(京都國立博物館)
서지정보 권제2,108,110: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개인(個人)
서지정보 권제3-4: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광제사(廣濟寺_忠北淸原)
서지정보 권제52: 목판본, [不明], 1087. 시기미상, 대곡대학도서관(大谷大學圖書館)
연계정보
한문대장경 ◎ 洪武南藏(U223-229 No.1419) 『大方廣佛華嚴經疏』 120卷, 清涼山沙門澄觀 述 晉水沙門淨源 錄疏注經 _函次 : 野 1 (638)-治 10 (649)
한문대장경 ◎ 新纂卍續藏(X7 No.234) 『華嚴經疏注』 卷1-20, 71-90, 101-110, 113-120 唐 澄觀述 宋 淨源錄疏注經 _部別 : 中國撰述 大小乘釋經部五 華嚴部疏 _58卷 현존 - 『卍大日本續藏經』 第一編 第 88 - 『卍續藏經』 (新文豐版) 第 88冊 바로가기
학술정보
단행본 김영진 외,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소장 고서의 자료적 가치』(계명대학교 출판부, 2010) 바로가기
단행본 박용진, 『義天』(서울: 혜안, 2011) 바로가기
단행본 義天,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韓國佛敎全書』 4(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2)
단행본 李翥, 『慧因寺志』, 卷8, 「宋杭州南山慧敎院晉水法師碑」(杭州: 杭州出版社, 2007)
단행본 宋 元敬·元復 同述, 『武林西湖高僧事略』(杭州: 杭州出版社, 2006)
학위논문 강현찬, 「조선후기 『華嚴經疏鈔』의 판각과 화엄학의 성행」(동국대학교 대학원 한국불교융합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바로가기
학위논문 김단일, 17세기 조선의『大方廣佛華嚴經疏 』간행과 승려 문파의 상관성 : 삭녕 용복사와 순천 송광사 간행본을 중심으로(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바로가기
학술논문 김단일, 17세기 大方廣佛華嚴經疏의 간행과 승려문파 - 삭녕 용복사본과 순천 송광사본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No.83, 2020,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소 (卷35)』 입곁(口訣) 연구(배달말(Korean Language), Vol.32, 2003, 배달말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소(卷35)』 釋讀 資料에 나타난 독음 고찰 : -'-尸', '-七'을 중심으로(민족문화논총, Vol.26, 200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바로가기
학술논문 남권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初雕大藏經과 『大方廣佛華嚴經䟽』(한국학논집, No.37, 2008, 35-6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바로가기
학술논문 남권희, 『대방광불화엄경소(권 35)』 고려 구결본에 대한 서지적 연구(한국전통문화연구, Vol.12, 1997,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바로가기
학술논문 南權熙, 『大方廣佛華嚴경소(券三十五)』 高麗 口訣本에 대한 書誌的 硏究(口訣硏究, Vol.1, 1996, 구결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노기춘, 『順天 松廣寺 開板佛事에 관한 연구(II) -壬亂以後 有刊記 佛書를 中心으로(서지학연구 제26집, 2003, 303-346,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문상련(정각), 수덕사 소조 여래좌상 복장 전적류 고찰(정토학연구 Vol.30, 2018, 161-198, 한국정토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이상백, 歸眞寺와 간행 불경 연구(서지학연구 제58집, 2014,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박도화, 『靈通寺 大方廣佛華嚴經疏第41 變相圖(강좌 미술사, 제17권, 200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박도화, 碧巖 覺性 발원 順天 松廣寺刊 大方廣佛華嚴經疏 變相圖(강좌미술사 Vol.52, 201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오용섭. 송광사 간행의 『대방광불화엄경소』와 판본의 계통(서지학연구 84, 2020, 5-29) 바로가기
학술논문 오용섭, 조선시대 『대방광불화엄경소』의 간행(서지학연구 No.76, 2018, 135-158, 한국서지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이은규, 『大方廣佛華嚴經疏 (卷35)』 설독 입겿문의 동사 '삼-'에 대하여(語文學, No.81, 2003, 한국어문학회) 바로가기
학술논문 최영호, 해인사 소장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소)』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大方廣佛華嚴經隨소演義초)』의 판각성격(한국중세사연구, No.4, 1997, 한국중세사학회) 바로가기

[장소해제]

章疏書名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개요
북송대의 화엄승 진수정원(晋水淨源, 1011~1088)이 징관(澄觀)의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80권 『화엄경』에 배대(配對)시켜 간행한 것.
체제와 내용

본서는 정원이 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소』의 문장을 ‘자신의 사견私見을 가하지 않고’ 80권 『화엄경』의 경문에 하나하나 배당한 것이다. 의천이 귀국할 때 정원이 1질을 선물로 주었고, 이에 의천이 항주杭州의 각수刻手인 엄명嚴明 등에게 판각을 부탁하였다. 그 후 1087년(宣宗 4) 3월에 송상宋商 서전徐戩 등이 경판을 가지고 온 것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과정이다. 총 120권으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는 “정원이 청량의 대소를 옮겨서 경 밑에 주석하였다淨源移淸凉大疏注於經下”라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송판을 가지고 주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인 1424년(世宗 6)에 일본이 누차 대장경판을 요구하자 대신에 다른 경판을 주었는데, 이때 이 화엄경주소의 경판도 일본에 건너가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교토(京都)의 소우코쿠지(相國寺)에 비치시켰지만 오늘날 그 행방을 알 수 없다. 현재 『만속장경』X7(No.234)에 수록되어 있는데, 만속장경본은 송판으로서 모두 58권만 현존하고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
장소찬자

자字는 백장伯長이고 성姓은 양楊씨이다. 동경東京(현 낙양) 보자사報慈寺의 해달海達)에게 출가하여 참학하다가 오대산의 승천承遷에게 화엄학을, 횡해橫海의 명담明覃에게 이통현의 『화엄경론華嚴經論』을 배웠다. 다시 남방의 장수 자준長水子璿(965~1038)에게 『능엄경愣嚴經』, 『원각경圓覺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등을 배우고 화엄교학의 오묘한 뜻을 깨닫는다. 정원은 마명馬鳴(Aśhvaghoṣa)과 용수龍樹(Nāgārjuna)를 화엄의 조祖로 세워 화엄7조를 주장했다.
좌승상 포종맹蒲宗孟이 항주의 태수로 부임하여 법사의 도를 흠모하여 전에 있던 혜인선원慧因禪院을 혜인교원慧因敎院으로 개명하고 초빙하여 도를 크게 진작시켰다. 고려의 의천義天이 법사를 두 번째 만난 것이 이 절이다. 의천은 고려로 돌아가 금자 사경金字寫經한 『화엄경』의 3역본 총 180권을 보냈고 정원은 혜인원에 전각을 세우고 안치했다. 이런 인연으로 사람들은 정원을 화엄종 '中興敎主'라고 존중하고 이 절을 고려사高麗寺라고 부르기도 했다. 철종 원우元祐 3년1088에 세수 78세로 입적했다. 정원이 살았던 곳에 진수晉水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따라 진수법사晉水法師라고 하며, 장수자선長水子璿과 함께 송대 화엄종의 이수二水로 불린다.
저서로는 2종의 『화엄보현행원수증의華嚴普賢行願修證儀』1권, 『원각도량약본수증의圓覺道場略本修證儀』1권, 『수릉엄단장수증의首愣嚴壇場修證儀』1권, 『화엄원인론발미록華嚴原人論發微錄』3권, 『주인왕반야경과注仁王般若經科』4권 등과 징관의 『화엄경』의 소疏와 초鈔를 합본하여 읽기의 편리를 도모한 『화엄경주소華嚴經注疏』120권이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정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