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신역화엄경소(貞元新譯花嚴經疏)
제목정보
-
저자정보
-
발행정보
-
발행국 |
일본
|
발행년 |
1264
|
발행자 |
단주신미산북곡 선암(丹州神尾山北谷 禪庵)
|
형태정보
-
판본 |
필사본 |
장정 |
점엽장 |
권책수 |
零本9권9책 |
권사항 |
권제2-10 |
인출사항 |
1264년(文永 1) 일본 사본 |
소장정보
-
소장기관 |
금택문고(金澤文庫)
278-020-0001-01 |
총람정보
-
총람수록 |
137 |
총람이미지 |
간이촬영(2013.12) |
총람해제 |
2014(3차년) |
총람DB구축 |
2014 |
[서종해제]
가나자와문고(金澤文庫)소장본 정원신역화엄경소(貞元新譯花嚴經疏) 02
권제2-10으로 권10말에 1264년(文永元年)의 사문 순고(順高)가 47세에 당본을 필사했다는 기록(順高書寫)이 있는 필사본이다. 권8 말미에는 1095년(壽昌乙亥)에 흥왕사에서 조조(雕造)한 기록이 필사되어 있고, 권10 말에는 대장경에서 오랫동안 결실되었던 것을 소흥(紹興) 기사년(己巳, 1149년)에 원증대사(圓證大師) 의화(義和)가 양공(梁公)의 어약정(御藥鼎)에서 얻어 오강(吳江)으로 가져와 권연을 통해 겨우 12권을 간행했고 이후 이후 양중(良中)이 나머지 8권의 판각을 계획하던 중 병으로 세상을 떠나서 완성되지 못하다가 1155년(紹興 25)에 돌아가신 아버지의 뜻을 이어 아들들이 간행한 것에 대한 기록까지 필사되어 있다. 이러한 필사 기록을 살펴보면 사문 순고는 당본을 필사했다고는 하나 필사한 모본은 흥왕사에서 판각한 『정원소』의 판본을 남송년간에 흥왕사 원간기를 포함하여 판각한 번각본을 필사한 것이다. 금택문고 소장 필사본 『정원소』 권제2-10은 대각국사 의천이 판각한 교장본 『정원소』의 동아시아 유통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는 전적이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최애리>
징관의 『정원소』는 정원 12년(貞元, 796) 5월에 칙명을 받고 수십 부의 경론을 인용하여40권 본 『화엄경』의 강요(綱要)를 서술하고 그 문의(文義)를 해석한 것이다. 『정원소』는 교기인연(敎起因緣), 교문권실(敎門權實), 소전의리(所詮義理), 변정소종(辯定所宗), 수증천심(修證淺深), 창교체성(彰敎體性), 부류품회(部類品會), 유전감통(流傳感通), 석경명제(釋經名題), 수문해석(隨文解釋)의 10문(十門)을 세운다.
『의천록』에 수록된 『정원소』는 1095년(壽昌元年)에 고려 대흥왕사(大興王寺)에서 봉칙으로 조조(雕造)한 것으로, 의(義)는 수정천심문(修證淺深門)·창교체성문(彰敎體性門)·부류품회문(部類品會門)유전감통문(流傳感通門)·석경제목문(釋經題目門)의 5문으로, 경(經)은 서분(序分)과 청분(請分)으로 나누어 주석하였다. 권 머리에 자서(自序) 및 귀경게(歸敬偈)가 있다. 그런데 금택문고본은 현재 서문에 해당하는 『정원신역화엄경소』권1이 일실되어 전하지 않고 권2~10만 영본으로 현전하고 있다. 일실된 권1에는 총 10문 가운데서 교기인연문(敎起因緣門)·교문권실문(敎門權實門)·소전의리문(所詮義理門)·변정소종문(辯定所宗門)의 4문을 주석한 내용이 실려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동국대학교 계미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