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대방광여래장경(大方廣如來藏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여래장(如來藏)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續開元釋敎錄部-不空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대방광여래장경(大方廣如來藏經)
경명 대방광여래장경(大方廣如來藏經)
병음 DAFANGGUANGRULAIZANGJING
약경명 여래장경(如來藏經)
별명
저자정보
역자 불공(不空, Amoghavajra)
형태정보
권사항
확장정보
고려_위치 37-0231
고려_주석
신수_NR T.0667
신수_위치 16-0460
속장_NR Z.0174
속장_위치 0002?0805
만속_위치 003?0670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Tathāgatagarbha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37
적사_PAGE 537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01
송장_PAGE 0051
중화_NR 1490
중화_VOL 066
중화_PAGE 0204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불공(不空)이 한역한 『대방광여래장경(大方廣如來藏經)』이다. 여래장 즉 불성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산스크리트어로 Tathāgatagarbha Sūtra라고 하고, 티벳어로 Ḥphags pa de bshin gśegs paḥi sñiṅ po shes bya ba theg pa chen poḥi mdo라고 한다. 줄여서 『여래장경』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에 낙양(洛陽)에 와서 774년에 입적한 불공(不空, Amoghavajra)이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는 알려진 바 없고, 이역본으로는 이역본으로 동진 시대의 불타발다라(佛陀跋陀羅)에 의해 한역된 『대방등여래장경』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중생이 번뇌 속에 있으면서도 그것에 의해 더럽혀지는 일이 없는 부처의 성품, 즉 여래장 또는 불성을 지니고 있음과 여래장 즉 불성에 대하여 설한다. 모든 중생은 비록 번뇌에 싸여 있다고 하더라도, 여래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을 믿고 닦으면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설한다. 이러한 주제를 아홉 가지의 비유로써 설명하고 있는데, 산문 다음에 비슷한 내용의 게송을 반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 내용도 단순하여 여래장이 실재함을 강조할 뿐이고 아뢰야식과의 관계를 언급하는 일은 없다. 이러한 내용과 형식, 그리고 한역된 연대를 추정해 보더라도 이 경전은 여래장을 설명하는 경전 중에서 초기의 것으로 보인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룬 지 10년이 지난 어느 날, 영취산의 전단장 누각에 수많은 비구와 보살들과 함께 계셨다. 부처님은 신통력으로 거대한 연꽃들을 피우고 그 연꽃에 앉아 있는 작은 부처들과 금새 악취와 함께 시들어 버리는 그 연꽃을 보여 주었다. 금강혜 보살은 그 기이한 광경에 대해 부처님에게 묻는다. 부처님은 곧 그것이 모든 중생들이 부처가 될 수 있는 성품이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한 조화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모든 중생은 번뇌에 사로잡혀 있으나 그 마음속에는 번뇌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부처의 고유한 성품, 즉 여래장이 내재해 있다고 말한다. 이어서 다시 아홉 가지의 비유를 들어서 그 성품의 고유한 내재성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악취가 나며 시들어 버리는 연꽃이 번뇌에 싸인 중생의 모습이라면 그 연꽃잎을 제거하여 거기서 부처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유 외에 이 경의 유포를 위한 사경과 수지 독송의 공덕도 아울러 강조한다.
이 경전은 불공(不空)의 번역 외에도 동진 시대의 불타발다라(佛陀跋陀羅)에 의해 『대방등여래장경(大方等如來藏經)』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경록에 의하면 네 차례 번역되었다고 하는데 현존하는 위의 두 사람의 번역은 세 번째와 네 번째 번역이다. 최초로 번역한 사람은 서진(西晋)의 법거(法炬)라고 하는데 이에 따라 3세기 초에 이 경전이 성립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경전에 등장하는 아홉 개의 비유는 나중에 『보성론』이나 『불성론』에 계승되며, 9종의 비유는 9종의 번뇌를 표현하는 것으로 교리적인 조직화가 이루어지는 등 후기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설법 장소가 왕사성 영취산 보개녹모택(寶蓋鹿母宅)으로 번역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번역인 『대방등여래장경』과 내용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