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금강살타설빈나야가천성취의궤경(金剛薩埵說頻那夜迦天成就儀軌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주술성취(呪術成就) 각종(各種)
분류체계 正藏-續藏經部-密敎部
제목정보
대표서명 금강살타설빈나야가천성취의궤경(金剛薩埵說頻那夜迦天成就儀軌經)
경명 금강살타설빈나야가천성취의궤경(金剛薩埵說頻那夜迦天成就儀軌經) 4권
병음 JINGANGSADUOSHUOPINNAYEJIATIANCHENGJIUYIGUIJING
약경명 빈나야가천의궤경(頻那夜迦天儀軌經)
별명
저자정보
역자 법현(法賢, Dharmabhadra)
형태정보
권사항 4
확장정보
고려_위치 34-0349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北宋으로 표기.
신수_NR T.1272
신수_위치 21-0306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33
적사_PAGE 09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318
중화_VOL 064
중화_PAGE 0626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금강살타(金剛薩埵)가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는 빈나야가천(頻那夜迦天)의 형상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소원을 성취하는 다양한 주법(呪法)을 열거한다. 줄여서 『빈나야가천의궤경(頻那夜迦天儀軌經)』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현(法賢)이 989년에 한역하였으며, 법현이 한역한 것은 모두 989년에서 999년 사이에 기록되었다. 한역자 법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지반(志磐)의 『불조통기(佛祖統紀)』는 법천(法天)이 그의 이름을 법현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한편『대중상부법실록(大中祥符法實錄)』에 의거한 오노(Ono)는 천식재(天息災)가 이름을 법현으로 바꾸었다고 주장한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4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금강살타(金剛薩埵)가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는 빈나야가천의 형상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소원을 성취하는 다양한 주법(呪法)을 열거한다. 빈나야가천은 코끼리 형상을 한 신의 이름으로, 본래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람들에게 재앙을 주는 악신이었으나 불교에 귀의해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는 신으로 묘사된다. 먼저 금강살타는 빈나야가천의 의궤를 통해 식재(息災), 증익(增益), 경애(敬愛), 조복(調伏) 등을 성취할 수 있음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적이나 원수를 조복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빈나야가천의 상(像)을 만든 후 그 형상에 겨자기름을 바르고, 양털을 꼬아 만든 끈을 머리 위에 동여맨다. 그리고 자신의 그림을 그려서 그 상에 걸어 놓은 다음 불을 지펴 함께 태운다. 그런 다음 적의 이름을 주문과 함께 외우면 적을 제압하게 된다. 그 밖에도 브라만에게 경배할 때나 큰 재물을 얻고자 할 때, 또는 하천의 물길을 다른 곳으로 바꿀 때도 이 의궤를 행한다. 그뿐 아니라 전쟁에서 적의 병사나 말을 무기력하게 만들기 위해서 이 의궤를 행하며, 홍수로 사람을 익사시키거나 물을 고갈시킬 때도 사용한다. 이 의궤를 행하면 음신(陰身)이나 천안(天眼)을 얻기도 하는데, 음신을 얻으면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몸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에는 이 의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약 190여 가지에 이르는 다양한 성취법을 열거한다. 이는 의궤를 행할 때 사용하는 빈나야가천의 다양한 모양과 크기, 또는 나무의 종류나 제구(祭具)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