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분류정보
주제분류 통불교(通佛敎)-목록(目錄)-불전목록(佛傳目錄)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聖賢集-中國人撰述
제목정보
대표서명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경명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10권
병음 DATANGNEIDIANLU
약경명 내전록(內典錄)
별명
저자정보
편자 도선(道宣)
형태정보
권사항 10
확장정보
고려_위치 31-0658
고려_주석
신수_NR T.2149
신수_위치 55-021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29
적사_PAGE 52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149
중화_VOL 054
중화_PAGE 0460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대장경을 보관할 서명사(西明寺)의 윤장(輪藏)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역대삼보기(歷代三寶記)』·『법경록(法經錄)』·『인수록(仁壽錄)』 등 기존의 목록과 서명사의 대장경을 참조해 만든 대장경 목록이다. 줄여서 『내전록(內典錄)』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도선(道宣)이 664년에 서명사(西明寺)에서 편찬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대장경을 보관할 서명사(西明寺)의 윤장(輪藏)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역대삼보기(歷代三寶記)』·『법경록(法經錄)』·『인수록(仁壽錄)』 등 기존의 목록과 서명사의 대장경을 참조해 만든 대장경 목록이다. 전체 10권을 총 10문(門)으로 나눈다. 제1 역대중경전역소종록(歷代衆經傳譯所從錄)은 이 책의 총괄적인 목록으로, 왕조별로 정리하여 각 왕조에서 활동한 역경(譯經) 삼장(三藏)과 번역한 경전의 총수를 제시하고, 개별 경전의 기록과 함께 특기 사항을 언급한다(제1∼제5권). 제2 역대대승장경번본단중전역유무록(歷代大乘藏經飜本單重傳譯有無錄)은 역대로 번역한 대승 경전 중 단역(單譯)과 중역(重譯) 여부 및 역본의 존재 유무 등을 기록한다((제6∼제7권). 제3 역대중경견입장록(歷代衆經見入藏錄)은 당시 서명사에서 소장한 대장경 목록으로 이 책의 가장 특색 있는 부분으로 평가 받는다(제8권). 제4 역대중경거요전독록(歷代衆經擧要轉讀錄)은 실제 독송을 위한 경전 선택을 염두에 두고 정리한 것이다(제9권). 제5 역대중경유목궐본록(歷代衆經有目闕本錄)은 목록에 기록은 있지만 전하지 않는 궐본의 의의를 논한다. 다만 궐본으로 어떤 경전이 있는지는 정리하지 않는다. 제6 역대도속술작주해록(歷代道俗述作注解錄)은 중국에서 이루어진 주해서의 목록을 싣는다. 제7 역대제경지류진화록(歷代諸經支流陳化錄)은 파생된 경전의 의의를 제시하고 총 부수를 기록한다. 다만 경전의 이름은 정리하지 않는다. 제8 역대소출의위경론록(歷代所出疑僞經論錄)은 저작에 의심스러운 점이 있거나 위경으로 판명된 불전 목록을 정리한다. 제9 역대중경록목종시서(歷代衆經錄目終始序)는 그 이전에 편집된 목록을 그 속에 포함된 불전의 부수(部數)와 함께 제시한다. 제10 역대중경응감흥경록(歷代衆經應感興敬錄)은 경전 독송의 공덕을 영험담과 함께 기록한다. 이상 제6 역대도속술작주해록부터 제10 역대중경응감흥경록까지는 모두 제10권에 해당한다.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은 『역대삼보기』·『인수록』·『출삼장기집』 등 이전의 목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려 한 편찬 의도와 달리 제1권부터 제5권까지는 『역대삼보기』를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제6권부터 제7권까지는 『인수록』을 거의 그대로 답습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