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관허공장보살경(觀虛空藏菩薩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수행(修行)-수행법(修行法)-참회(懺悔)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참회법(懺悔法)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大集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관허공장보살경(觀虛空藏菩薩經)
경명 관허공장보살경(觀虛空藏菩薩經) 1권
병음 GUANXUKONGZANGPUSAJING
약경명 관허공장경(觀虛空藏經)
별명 허공장관경(虛空藏觀經), 허공장보살관경(虛空藏菩薩觀經)
저자정보
역자 담마밀다(曇摩蜜多, Dharmamitr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07-0821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劉宋으로 표기.
신수_NR T.0409
신수_위치 13-0677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07
적사_PAGE 023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071
중화_VOL 011
중화_PAGE 0292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유송(劉宋)시대에 담마밀다(曇摩蜜多)가 번역하였는데, 총 1권이다. 죄업을 지은 4부대중에게 참회하는 법을 설명한다. 줄여서 『관허공장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허공장관경』ㆍ『허공장보살관경』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유송시대에 담마밀다가 424년에서 441년 사이에 양주(楊州)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이다. 작은 분량의 경전이지만 그 구성은 복잡하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처님이 우파리와 대화를 나누면서, 허공장 보살을 칭념(稱念)하면서 35불에게 참회하기를 설하는 부분이다. 죄업을 지은 중생들은 마땅히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내서 1일 내지 7일 동안 시방의 부처님을 예배하며, 35불의 이름을 외우고, 허공장 보살을 칭념한다. 허공장 보살은 죄업의 중생을 불쌍히 여겨서 그의 정수리 위에 있는 여의주에서 35불과 시방의 부처님을 출현시킨다. 꿈에서나 좌선할 때, 마니주(摩尼呪)로써 중생의 팔에 “죄가 소멸하였다.”라고 새겨지면, 죄 지은 비구는 다시 승가에 복귀할 수 있으며, 우바새는 출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관허공장법(觀虛空藏法)이라 한다. 이 같은 설법에 대하여, “우파리는 부처님이 설한 것을 듣고서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라고 하며, 경전이 끝나는 형식을 취한다.
둘째, 그 다음부터는 잡다한 내용이 이어진다. 바로 아무런 이름이 없는 다라니가 하나 이어지고, 35불의 이름, 허공장 보살 다라니, 과거 53불, 과거 7불, 13불, 10불의 이름이 열거된다. 또 법화경의 14보살, 두 종류의 4보살, 반주삼매경의 8보살 등의 이름이 제시된다. 그런 뒤, 성문 중에는 부루나, 아난, 나후라의 이름이 열거되며, 부처님의 사리를 나누어 모신 10개 국, 천상의 4탑, 인간의 4탑 등을 열거한다. 마지막으로 집법열사고다라니경(集法悅捨苦陀羅尼經), 허공장보살다라니주(虛空藏菩薩陀羅尼呪)를 제시한다.
이들 두 부분은 서로 성격이 다르며, 내용의 연계 역시 그다지 높지 않다. 아마도 허공장 보살 신앙의 영향으로, 허공장보살경의 진언, 여러 경전의 불명(佛名) 및 다라니 등을 채집하여 참회를 위한 수행법으로 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