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야운대선사문집(野雲大禪師文集)

제목정보
대표서명 야운대선사문집(野雲大禪師文集)
저자정보
저자 시성(時聖)
발행정보
간행시기 조선
형태정보
권사항 v09
확장정보
시작책_시작번호 v09_p0748c
시작책_끝번호 v09_p0759b
시작책_권수 3
시작책_단수 33
끝책_시작번호 v09_p0748c
끝책_끝번호 v09_p0759b
끝책_권수 3
끝책_단수 33

[서지해제]

1. 저자
야운 시성野雲時聖(1710~1776) 속성은 김金, 본관은 광산光山. 14세에 출가하여 담휘曇輝 화상과 와운臥雲 대선사 그리고 환성 지안喚惺志安의 적손適孫인 영월影月 대선사에게 배웠다. 안동 학가산 광흥사光興寺와 예천 용문산 창기사昌基寺 등 주로 안동ㆍ문경ㆍ예천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2. 서지 사항
발행지 미상, 1827년(순조 27) 간행. 3권 1책. 30.0×20.0cm. 재전再傳 제자인 영식永植이 간행.
3. 구성과 내용
권1에는 시 30여 편, 권2에는 편지 1편, 잡저 3편, 서문 1편, 기 6편, 권3에는 제문 그리고 부록이 실려 있다. 작품의 양이 많지 않음은 유고 일부가 불에 탔기 때문이다. 서문을 쓴 여러 사람들의 평가는 한결같이 문文보다 시詩가 뛰어나다고 하였다. 이오수李五秀는 〈운상인시집서雲上人詩集序〉에서, 인간은 곤궁한 뒤에야 시가 훌륭하게 된다는 송의 문장가 구양수歐陽脩의 말을 인용하여 대사의 시도 그러하다고 평가하였다.
대사의 시가 뛰어남은, 첫째로 타고난 뛰어난 능력, 둘째로 깊은 수행, 셋째로 세상의 역경을 경험한 후에 자신의 감정을 시로 표출한 것에 기인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대사의 시는 쉬운 시어詩語가 사용되어 평이하고 이해하기 쉽다.
1760년(영조 36)에 지은 〈광흥사대웅전불상개금탱화성기廣興寺大雄殿佛像開金幀畵成記〉는 조선 후기 불화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당시 불상금화佛像金畵, 영산회후불탱靈山會後佛幀, 삼장탱三藏幀, 시왕탱十王幀, 감로탱甘露幀 등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사가 남긴 시문이 많지 않아 진면목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지만 30여 편의 시를 통해서 대사의 뛰어남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