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제목정보
대표서명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저자정보
저자 원효(元曉)
역자 이평래
발행정보
간행시기 통일신라
형태정보
권사항 v01
확장정보
시작책_시작번호 v01_p0553c
시작책_끝번호 v01_p0562b
시작책_권수 1
시작책_단수 27
끝책_시작번호 v01_p0553c
끝책_끝번호 v01_p0562b
끝책_권수 1
끝책_단수 27

[서지해제]

1. 저자
원효元曉(617~686) 시호는 화쟁 국사和諍國師, 속성은 설薛. 15세 전후에 출가하였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을 시도하였으나 ‘마음 밖에 법이 없다(三界唯心 萬法唯識)’라는 것을 깨닫고 마음을 바꾸었다. 그 후 수많은 다양한 저술을 남겼는데, 저술의 특징으로 ‘종요宗要’와 ‘대의大義’라는 형식과 체재를 들 수 있으며, 일심에 바탕을 둔 화회和會, 화쟁和諍 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분황사芬皇寺에서 『화엄경』「십회향품」을 주석한 후 절필하고는 무애행으로 민중 교화에 헌신하였다.
2. 서지 사항
『속장경』 제1편 32투 3책 수록본을 저본으로 하여 『신수대장경』 제37권과 대조, 교감.
3. 구성과 내용
『양권무량수경종요兩卷無量壽經宗要』, 『대무량수경소大無量壽經疏』, 『양권무량수경종지兩卷無量壽經宗旨』라고도 한다. 종래에는 강승개康僧鎧가 역출譯出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동진東晋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와 유송劉宋의 보운寶雲이 공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설무량수경佛說無量壽經』의 요의를 간추린 것이다. 이 경전은 대경大經 또는 대본大本이라고도 하는데, 『아미타경阿彌陀經』ㆍ『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과 함께 정토삼부경으로 불린다. 이 경전에서는 48대원大願과 정토의 장엄 및 왕생인往生因의 구별 등에 대해 설한다.
『무량수경종요』는 대의大意, 종치宗致, 의혹중생疑惑衆生, 취문해석就文解釋의 사문四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네 번째 문인 취문해석은 실전失傳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첫 번째 문인 대의에서는, 이 경전은 보살장의 가르침 가운데 본보기이며 불국토의 인과를 밝힌 진실한 가르침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두 번째 문인 종치에서는 경의 근본 뜻을 가려냄에 있어서 정토의 과덕果德과 인행因行으로 드러내 보이고 있다. 세 번째 문인 의혹중생에서는 사람에 의거하여 왕생인을 분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네 가지 의혹을 가진 중생에 대해 분별하였는데, 의혹의 경계와 그 의혹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네 가지 의혹의 경계는 네 가지의 지혜를 분명히 알지 못하고 의혹하여 믿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전에서의 믿음은 네 가지의 지혜를 믿는 것이며, 그 궁극은 일체 경계가 일심一心임을 믿는 것이다.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게 하는 방편문은 칭명염불稱名念佛을 통해 왕생하도록 권하고 있다. 특히 원효는 십념염불十念念佛을 통해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