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계초심학인문(언해)(誡初心學人文(諺解))

1. 개요
1577년 간행된 송광사의 『계초심학인문』 언해본은 고려시대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계초심학인문」, 원효(元曉, 617~686)의 저술로 알려진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야운 각우(野雲覺玗)의 「자경서(自警序)」 3종의 저술로 구성되어 있다. 언해 방식은 국한혼용체의 구결문과 순한글의 언해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순천 지역의 구개음화 진행을 알 수 있으며, 전라도 방언이 나타난다. 송광사의 『계초심학인문』 언해본 목판은 교육을 위해 당시 독자층을 고려하여, 1577년 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2. 저작자
「계초심학인문」은 고려시대 보조 지눌이 저술하였으며 이것은 내용 말미에 나오는 ‘泰和乙丑(1205)冬月海東曺溪山老衲 知訥 誌’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발심수행장」은 신라시대 원효의 저술로, 권수제 아래 ‘분황사사문(芬皇寺沙門) 원효술(元曉述)’이 나타나 있다. 「자경서」는 고려 말 야운 각우(野雲覺玗)가 저술하였다. 3종의 저술을 하나의 책으로 편찬한 편찬자는 알 수 없으며, 본 목판의 언해와 판각은 송광사 내에서 이루진 것으로 보인다.
3. 구성과 내용
『계초심학인문』 언해본은 「계초심학인문」, 「발심수행장」, 「자경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3가지를 합하여 ‘초발심자경문’이라고 한다.
「계초심학인문」은 수행의범(修行儀範)인 율문(律文)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 중 핵심 부분을 정리하여, 우리나라 사원 생활에 맞게 구성한 것이다. 내용은 초심자를 경계한 것, 일반 승려를 경계한 것, 선방에서 수행하는 자들을 경계한 것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발심수행장」은 출가한 수행자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위한 지(智)와 행(行) 그리고 자리(自利)와 타리(他利), 보살행(菩薩行)을 위한 인욕(忍辱), 지계(持戒), 정진(精進)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경서」는 수행에 뜻을 둔 초학자들을 경책하고자, 지침을 제시하고, 게송을 붙인 것이다.
4. 편찬과 간행
『계초심학인문』 언해본은 「계초심학인문」, 「발심수행장」, 「자경서」 3종의 저술만으로 구성되어 간행되었다. 한문본이 다른 저술과 합본되어 전해지는 것과는 다른 점이다.
『계초심학인문』은 40종에 가까운 한문본이 전해지는 것과는 다르게, 언해본은 1558년 천안 광덕사본(廣德寺本), 1577년 순천 송광사본, 1583년 용인 서봉사본(瑞峯寺本) 3종이 알려져 있다. 송광사본과 서봉사본을 대조해보면 몇 가지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송광사본은 한자음을 한글로 병기하고, 국한혼용체의 구결문과 순한글의 언해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시 사용했던 전라도 방언으로 골[州], 그림재[影], 니서[連] 등이 본문에 나타난다. 반면 서봉사본은 구결문과 언해문 모두 국한혼용체로 한자음을 한글로 병기하였다. 그리고 협주를 추가하고 일부 구결을 바꿔 개역하였다. 서봉사본은 송광사본을 저본으로 하여 오류가 수정 및 보완되었고, 통일성 있는 번역을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송광사의 언해본은 승려의 교육을 위한 교재로 당시의 실제의 독자층을 고려하여 편찬되었으며, 이후 다른 언해본의 저본(底本)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1577년 간행된 송광사의 언해본은 송광사본만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중세 한글과 전라도 지역 방언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집필자: 김은진(동국대)
※ 목판 사항
언해본 『계초심학인문』의 목판은 19판이 1판4면, 2판이 1판2면의 형태로 21판이 전해지고 있다. (4 · 3, ×)판의 경우 한쪽 면만 판각되어 있다. 마구리는 따로 제작하여 장부가 노출되지 않게 판면과 결합한 형태로, 못을 이용해 고정하였다. 전체 내용에서 33장-36장에 해당하는 판이 결손된 상태이다. 목판의 크기는 세로 18.9-20.0cm, 가로 67.1-72.1cm, 두께 2.0-3.3cm이다. 목판 무게는 2.29kg에서 3.25kg에 이르며, 평균 2.90kg 정도이다. 목판의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다. 일부판은 마구리가 결손되어 있고, 근래에 마구리를 보수한 판들도 있다. 전체적으로 균열이 있고, 일부 판에서 글자 손상과 충해가 확인된다. (김은진(동국대) 정리)
참고문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2015), 『한국불교전서 편람』, 동국대학교출판부.
문화재청‧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2015), 『한국의 사찰문화재: 2014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4 전라남도_2, ㈜조계종출판사.
송일기(2021), 『조선 사찰본 서지 연표』, 현재기록유산보존연구원.
정우영(2008), 「『초발심자경문언해』 연구–송광사판과 서봉사판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51, 동악어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