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계초심학인문』 합본은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자경서(自警序)」 3종의 저술과 「사법어(四法語)」, 「시각오선인법어(示覺悟禪人法語)」,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이하 ‘「법어약록」’으로 칭함)을 모아 편찬한 것으로 우리나라 승려들의 저술과 중국 선사(禪師)들의 법어가 수록된 책이다. 송광사 소장의 『계초심학인문』 목판은 승려 교육을 위해 기존에 전해지던 판본을 바탕으로 1608년 판각되었으며, 현재 온전하게 송광사에 전해지고 있다.
2. 저작자
「계초심학인문」은 고려시대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이 저술하였으며 이것은 내용 말미에 나오는 ‘泰和乙丑(1205)冬月海東曺溪山老衲 知訥 誌’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발심수행장」은 신라시대 원효(元曉, 617~686)의 저술로 알려져 있으며, 「자경서」는 고려 말 야운 각우(野雲覺玗)가 저술하였다. 「사법어」는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皖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 「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 「몽산화상시중(蒙山和尙示衆)」, 「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를 수록한 것으로, 고려 말 나옹 혜근(懶翁 惠勤, 1320~1376)의 문도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에 나오는 「시각오선인법어(示覺悟禪人法語)」는 나옹이 제자 각오선인에게 내린 법어이며, 「법어약록」은 원대(元代)에 활동한 몽산 덕이(蒙山 德異, 1231~?)의 법어를 약록한 것이다. 합본의 편찬자는 알 수 없다.
3. 구성과 내용
『계초심학인문』 합본은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사법어」, 「시각오선인법어」, 「법어약록」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발심자경문」은 「계초심학인문」, 「발심수행장」, 「자경문」 3가지를 일컫는다.
「계초심학인문」은 수행의범(修行儀範)인 율문(律文)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 중 핵심 부분을 정리하여, 우리나라 사원 생활에 맞게 구성한 것이다. 「발심수행장」은 출가한 수행자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위한 지(智)와 행(行), 자리(自利)와 타리(他利), 보살행(菩薩行)을 위한 인욕(忍辱), 지계(持戒), 정진(精進)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경서」는 수행에 뜻을 둔 초학자들을 경책하고자 지침을 제시하고, 게송을 붙인 것이다.
「사법어」는 4편으로, 앞의 2편은 몽산이 받은 법어이고, 다음의 2편은 몽산이 대중과 고려의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 1249~1319)에게 내린 법어로 몽산과 관련이 깊은 저술이다. 첫 번째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는 환산 정응(皖山正凝, 1191~1274)이 몽산에게 오직 무자(無字)만을 챙겨 공부할 것을 설하고 있으며, 두 번째 「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는 공부하는 승려의 자세와 공부 방법을 설하고, 살아있는 공부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 「몽산화상시중」은 몽산이 대중들에게 견성통종(見性通宗)을 위해 경계하고 지켜야 할 것들을 설하고 있으며, 마지막 「고담화상법어」는 몽산이 만항에게 조주(趙州, 778~897)의 무자(無字)를 염두에 두고 화두를 들어야 하며, 그 자세에 대해 설하고 있다.
「시각오선인법어」는 나옹이 각오선인에게 화두에 들었을 때 주의해야 할 점과 공부를 이루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한 것이다.
「법어약록」은 「시고원상인(示古原上人)」, 「시각원상인(示覺圓上人)」, 「시유정상인(示惟正上人)」, 「시총상인(示聰上人)」,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의 6가지 법어로 구성되어 있다. 앞의 4편은 몽산이 제자로 추정되는 상인에게 내린 법어이고, 후반부의 2편은 수행 과정의 지침서에 해당된다.
4. 편찬과 간행
「계초심학인문」은 1233년 해인사본, 1400년 덕기암본(德奇庵本), 1465년 화암사본(化岩寺本)이 전해지며, 합본 형태는 1525년 대광사본(大光寺本)이 최초의 판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1528년 봉은사본(奉恩寺本), 1536년 하동의 신흥사본(神興寺本) 등, 1883년 해인사본(海印寺本)을 마지막으로 약 500년 동안 39종에 이르는 판본이 간행되었다. 「사법어」는 1375년 무위암본(無爲菴本)과 1400년 덕기암본에서 원형이 확인되며, 1441년 윤필암본(潤筆庵本)에서 체계가 갖추어졌다. 「법어약록」은 현재 왕실에서 간행된 언해본이 최초의 판본이며, 한문본은 이후 1525년 대광사에서 「초발심자경문」, 「사법어」, 「시각오선인법어」와 합본된 것이 최초이다. 『계초심학인문』 합본은 16-17세기 동안 활발한 간행을 보이며, 이후에는 「초발심자경문」이 다른 서적과 합본되어 간행되기도 하였다.
1608년 판각된 송광사의 목판은 기존의 판본을 바탕으로 새롭게 판각한 중간본이다. 간행의 전반적인 업무는 응선(應禪), 서사는 학명(學明), 연판은 의경(義冏)이 담당하였다. 각화사(刻畵師)는 성옥(性玉), 자경(自敬), 지해(智海), 심인(心印)이다. 이 외에 약 19명이 참여하였다. 송광사는 오랜 전통을 지닌 승보사찰로 승려 교육을 위해 본 저술을 판각하고 인쇄한 것이다.
집필자: 김은진(동국대)
참고문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2015), 『한국불교전서 편람』, 동국대학교출판부.
문화재청‧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2015), 『한국의 사찰문화재: 2014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4 전라남도_2, ㈜조계종출판사.
송일기(2021), 『조선 사찰본 서지 연표』, 현재기록유산보존연구원.
김은진(2022), 「조선시대 사찰본 『몽산 어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