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1. 개요
이 논은 현장(玄奘)이 한역한 『광백론본(廣百論本)』의 주석서이다. 줄여서 『광백론(廣百論)』·『광백론석(廣百論釋)』·『광백론석론(廣百論釋論)』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호법(護法)이 저술하였고, 중국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0년 7월에서 651년 1월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성천(聖天), 즉 제바(提婆)가 저술한 『광백론본』의 주석서로, 성천의 의도에 따라 외도와 소승의 제법실유설(諸法實有說)을 논파하고 진공(眞空)과 무아(無我)의 이치를 설명한다. 중관학파에 속하는 성천의 저술을 유식 학파의 호법(護法)이 주석했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는 중관학파와 유식학파가 공(空)과 유(有)로 대립하기만 했다고 보는 견해가 옳지 않음을 입증한다. 오히려 양 학파의 교학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논은 『성유식론』과 일치하는 문구가 많고, 『성유식론』에서 보는 바와 같은 속제유(俗諦有)의 입장이 상당히 담겨 있지만, 결국 중관적 진제공(眞諦空)의 입장을 충실하게 지키면서 중도의 뜻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호법의 사상을 『성유식론』에 국한시켜 고찰하는 것이 편견임을 알 수 있다. 이 논은 『광백론본』과 마찬가지로 제1 「파상품(破相品)」, 제2 「파아품(破我品)」, 제3 「파시품(破時品)」, 제4 「파견품(破見品)」, 제5 「파근경품(破根境品)」, 제6 「파변집품(破邊執品)」, 제7 「파유위품(破有爲品」), 제8 「교계제자품(敎誡弟子品)」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