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법집별행록절요사기해(法集別行錄節要私記解)

1. 저자
회암 정혜晦庵定慧(1685~1741) 속성은 김金, 창원 출신. 9세에 범어사 자수自守 선사 문하로 출가한 후, 모운慕雲 대사의 상좌上佐인 보광葆光 화상을 참배하고 구족계를 받았다. 설암 추붕雪巖秋鵬, 환성 지안喚惺志安 선사들을 두루 찾아 배웠다. 불영산 청암사靑巖寺에서 입적하였다. 저서에는 『제경론소구절諸經論疏句絶』, 『화엄경소은과華嚴經疏隱科』 등이 있다.
2. 서지 사항
함북 길주 성불산 길상암吉祥庵, 1747년(영조 23) 발행. 목판본. 1권 1책. 20.0×14.1cm. 『선원제전집도서과기禪源諸詮集都序科記』와 합철. 별도의 서문은 없으며, 마지막에 제자 설담 영률雪潭靈律의 발문이 실려 있다.
3. 구성과 내용
함북 길주 성불산 길상암吉祥庵, 1747년(영조 23) 발행. 목판본. 1권 1책. 20.0×14.1cm. 『선원제전집도서과기禪源諸詮集都序科記』와 합철. 별도의 서문은 없으며, 마지막에 제자 설담 영률雪潭靈律의 발문이 실려 있다.『도서과기』와 마찬가지로 함월 해원涵月海源이 증정證正하고, 법손 풍곡 총활豊谷總闊이 편록編錄하였다. 『법집별행록』은 본래 당의 규봉 종밀圭峰宗密이 그의 법조法祖 하택 신회荷澤神會가 주창한 공적영지지심空寂靈知之心을 밝히고 선교일치를 천명하기 위하여 펴낸 책이다. 이를 다시 고려의 보조 지눌普照知訥이 번잡한 것을 제거하고 요점만을 간추려 편집한 후, 여기에 주석을 붙여 펴낸 것이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이다. 보조 지눌은 당시의 수행인들이 먼저 불법을 배우지 않고 깊은 선에 의지함으로써 헛되이 방황하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그것을 바로잡고자 이 책을 찬술한 것이다.<개행>『절요』는 『도서』와 함께 조선시대 강원의 중요 교과목으로 채택되어 읽혀 왔다. 연구서가 가장 많고 간행 횟수도 여러 차례인 것을 보면 조선시대에 이 두 저술에 관한 관심이 어느 정도였던가를 짐작할 수 있다. 정혜의 『절요사기해』는 『도서과기』와 마찬가지로 과목을 과도科圖로 미리 제시하고, 그 과목의 체제에 따라 문단을 나누고 별도의 주석을 붙이고 있다.<개행>정혜는 지눌의 저술 의도에 따라 상근기上根機가 아닌 사람은 교의를 빌려 깨달음에 이를 것을 강조한다. 그것은 조사가 밀전密傳한 심법心法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고 진술하고 있다. 상근기는 직접 화두를 참구하여 견성에 이를 수 있지만, 중하의 근기는 여실한 언교言敎에 의하여 자신의 진망眞妄을 분명히 한 후에 언구를 참구하여 지견知見의 병을 제거하고 구경의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선교를 겸학해야 된다는 것이 정혜의 견해이다. 연담 유일蓮潭有一 이전까지는 많은 학인들이 정혜의 해석에 의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