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화엄법계도주병서(大華嚴法界圖註幷序)

1. 저자
설잠雪岑(1435~1493) 김시습金時習.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ㆍ청한자淸寒子ㆍ동봉東峰ㆍ벽산청은碧山淸隱ㆍ췌세옹贅世翁. 5세 때 세종의 부름을 받고 〈삼각산시三角山詩〉를 지었다. 1455년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하던 중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선위禪位했다는 소식을 듣고 출가하였다. 1463년 가을에 효령대군의 추천으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佛經諺解事業에 참가하였다. 1475년 폭천정사瀑泉精舍에서 『십현담요해』를 지었으며, 1476년 『대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를 지었다. 1481년 잠시 환속하였다가 1483년 다시 출가하였다. 1493년 3월에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서 입적하였다.
2. 서지 사항
발행지 미상, 1944년 발행. 필사본. 1권 1책. 27.4×19.3cm. 통도사通度寺에 있던 현민玄敏의 간행본(1562년)을 필사한 것. 교감본은 서울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통도사 간행 필사본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1973년에 편찬한 『매월당전집梅月堂全集』에 수록된 『대화엄법계도주』이다.
3. 구성과 내용
발행지 미상, 1944년 발행. 필사본. 1권 1책. 27.4×19.3cm. 통도사通度寺에 있던 현민玄敏의 간행본(1562년)을 필사한 것. 교감본은 서울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통도사 간행 필사본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1973년에 편찬한 『매월당전집梅月堂全集』에 수록된 『대화엄법계도주』이다.『대화엄법계도주병서』는 〈법성게法性偈〉 30구에 대한 주석과 서문을 합한 것으로서 의상의 〈법성게〉를 선적禪的 세계로 이해한 것이다.<개행>설잠은 〈법성게〉의 화엄세계를 ‘법성’으로 이해하고, 이로써 불법의 원융한 본래면목을 잘 드러내었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법성의 원융한 법은 본래 이름과 형상이 없는 것이지만 언어를 빌려 설하면 경론이 되니, 경론은 원융법성의 드러난 모습이며, 삼세제불三世諸佛의 대의가 된다고 한다.<개행>이 저술은 설잠의 화엄선사상과 조선시대에 유통된 의상 계열의 화엄사상을 알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