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ical Introduction

닫기

연경별찬(蓮經別讚)

1. 저자
설잠雪岑(1435~1493) 김시습金時習.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ㆍ청한자淸寒子ㆍ동봉東峰ㆍ벽산청은碧山淸隱ㆍ췌세옹贅世翁. 5세 때 세종의 부름을 받고 〈삼각산시三角山詩〉를 지었다. 1455년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하던 중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선위禪位했다는 소식을 듣고 출가하였다. 1463년 가을에 효령대군의 추천으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佛經諺解事業에 참가하였다. 1475년 폭천정사瀑泉精舍에서 『십현담요해』를 지었으며, 1476년 『대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를 지었다. 1481년 잠시 환속하였다가 1483년 다시 출가하였다. 1493년 3월에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서 입적하였다.
2. 서지 사항
경북 문경 지화산 쌍룡사雙龍寺, 1524년(중종 19) 간행. 목판본. 1권 1책. 28.3×18.3cm. 1546년(명종 1)에 황해도 서흥 숭덕산 귀진사歸眞寺에서 개판.
3. 구성과 내용
경북 문경 지화산 쌍룡사雙龍寺, 1524년(중종 19) 간행. 목판본. 1권 1책. 28.3×18.3cm. 1546년(명종 1)에 황해도 서흥 숭덕산 귀진사歸眞寺에서 개판.『묘법연화경』을 선禪의 입장에서 해석한 것으로서, 『묘법연화경』 28품을 각 품마다 찬讚을 쓰고 송頌을 붙인 것이다. 『연경별찬』 말미의 송은 격외선적인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서, 천태 지자天台智者의 사상과 구별되는 설잠의 특징이다.<개행>저술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463년 내불당에서 『법화경』을 교정할 당시를 전후하여 지은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의 다른 불교 관계 저술과 비교 검토하여 『대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 이후에 저술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개행>『연경별찬』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서론에 해당하는 〈연경별찬서〉가 있고, 이어서 본문에 해당하는 〈연경별찬〉이 있으며, 마지막에 결론 부분이 있다. 〈연경별찬서〉는 서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 찬을 쓰게 된 동기와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의 목적은 천태사상과 선사상의 융합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본문에 해당하는 〈연경별찬〉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경의 종지를 밝히는 부분이고(擧揚宗乘), 둘째는 7권 연경蓮經의 대의를 드러내며(七軸大意), 이어서 전체 28품의 각 품을 찬한다. 거양종승에서는 경의 종지를 밝히고 있는데, 즉 일승실상一乘實相의 경계를 선사의 선지禪旨에서 밝힌 대목으로 다른 주소가註疏家들에게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시각이다. 칠폭대의는 7권 『법화경』의 대의를 밝힌 부분으로 먼저 경이 차지하는 교판상의 위치를 밝히고, 다음으로 각 품의 대의를 간략히 살폈다. 이 각 품 찬의 끝에는 게송으로 전체의 대의를 총괄 찬탄하고 있다. 결結에서는 일대사 인연이 지와 행의 원만한 성취에 있음을 밝히고, 이 경의 위대한 영산법회 정신으로 널리 유통할 것을 부촉하는 것으로 마쳤다.<개행>설잠은 이 찬讚을 쓰면서 이 경經의 올바른 이해에 관한 방법과 태도에 많은 중점을 두었다. 각 장의 공통적인 특징은 선지나 경의 내용을 먼저 제시하고 올바른 이해를 위한 인증引證을 거쳐 결론結論과 결송結頌으로 맺음으로써 전체적인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특히 각 품의 찬에서는 각 품의 대의를 설한 다음 날카로운 선기禪機로 다시 묻고, 찬讚의 선송禪頌을 두어 선적인 체득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