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설의(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說誼)

1. 저자
득통 기화得通己和(1376~1433) 당호는 함허涵虛, 속성은 유劉. 조선 초기의 억불 정책하에서 불교를 수호한 고승으로, 1397년 회암사檜巖寺에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 무학 자초無學自超에게 출가하였다. 1421년 세종의 명으로 대자암大慈庵에 주석하였고, 1431년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를 중수하고 1433년에 입적하였다.
2. 서지 사항
전남 광주 무등산 안심사安心寺, 1570년(선조 3) 중간. 목판본. 3권 1책. 25.7×16.5cm. 1464년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처음 간행.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을 저본으로 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883년 양주 천마산 봉인사奉印寺 부도암浮圖庵 환옹 환진幻翁喚眞 지기본識記本을 갑본, 1882년 감로사甘露社 지기본을 을본, 동국대 소장 간년 미상본을 병본으로하여 대조, 교감.
3. 구성과 내용
본서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줄여서 『원각경』이라고 하는 경전에 대한 함허 기화의 해설서이다. 처음에 당나라 종밀宗密의 해석에 근거해 ‘대방광원각大方廣圓覺’의 경전 명칭을 설명하고, 『원각경』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한 부분이 나온다.
본문은 『원각경』의 체제대로 총 12장에 걸쳐 12보살들과의 문답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본서의 권상은 1~3장, 권중은 4~8장, 권하는 9~12장에 해당한다. 각 장의 제목은 제1 문수장文殊章, 제2 보현장普賢章, 제3 보안장普眼章, 제4 금강장장金剛藏章, 제5 미륵장彌勒章, 제6 청정혜장淸淨慧章, 제7 위덕자재장威德自在章, 제8 변음장辨音章, 제9 정업장淨業章, 제10 보각장普覺章, 제11 원각장圓覺章, 제12 현선공장賢善貢章이다. 본문의 편집 체제는 경전의 원문을 단락별로 싣고 한 칸을 내려서 그에 대한 저자의 해설을 붙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