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승장勝莊(생몰년 미상) 신라 출신. 중국 화엄종 제3조 법장法藏(643~712)·자은 대사慈恩大師 기基(632~682)와 동문이었던 법보法寶 등과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역경가 의정義淨(635~713)·보리류지菩提流志(?~727) 등이 주도한 역장에 활발하게 참여한 기록에 의거할 때 생존 연대를 7세기 중반에서 8세기 초반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찍이 중국에 유학하여 유식唯識을 연구했고, 신라 출신의 법상종 스님 원측圓測에게 사사했다. 다양한 저술을 남겼지만 그 전문이 전해지는 것은 『범망경술기』뿐이고, 여러 저술에 산재하는 단편을 집일輯佚한 『금광명최승왕경소金光明最勝王經疏』의 일부가 전해지고 있다.
2. 서지 사항
안계현安啓賢이 일본 승려 간교(願曉)·죠도(常騰) 등이 찬술한 4종의 『금광명최승왕경』 주석서 가운데 승장의 소를 뽑아 1964년 『불교학보』 제2집에 실은 것이다. 직접 인용은 물론 간접적으로 언급한 문구들까지 모두 포함시켰다.
3. 구성과 내용
승장의 소는 의정이 번역한 『금광명최승왕경』에 의거한 주석으로 모두 10권 31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은 전체 소 31품 가운데 5품에 불과하다. 비록 이 집일본이 단편적인 글이지만, 승장의 『금광명경』에 대한 견해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충분히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금광명경』은 불타 수명의 영원함, 금광명의 가르침과 금광명 참회의 공덕, 그리고 사천왕에 의한 국가의 보호나 현세 이익을 성취하는 신앙에 대해 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승장은『금광명경』이 삼승에 의거하여 설하는 경전이며, 보리인과菩提因果를 그 종지로 삼는다고 해석한다. 이에 간교(願曉)는 『금광명경』이 삼신三身·보리菩提·열반涅槃 등 삼덕三德의 차별을 보여 준다는 기존의 설을 비판하고, 보리인과를 종지로 삼는다는 승장의 견해에 동의한다. 이런 점에서 승장의 해석은 경전의 숨겨진 의미보다 현상에 드러난 정확한 의미 파악을 더 중시하는 실증적 입장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