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

1. 저자
경흥璟興(생몰년 미상) ‘경흥憬興’이라고도 한다. 7세기 중반~8세기 초반으로 추정. 백제 웅천주熊川州 출신. 신라 신문왕(재위 681~692)이 즉위하여 선대 문무왕의 고명顧命을 받들어 경흥을 국로國老로 책봉하고 삼랑사三朗寺에 주석하도록 하였다. 병으로 고생할 때 관음觀音을 친견하고 말을 타고 다닐 때 문수文殊가 현전하여 경계한 일화 등이 전한다. 아비달마ㆍ유식ㆍ계율ㆍ정토ㆍ반야부 등에 속한 여러 경론과 『법화경』ㆍ『열반경』 등과 관련된 저술이 다수 있다. 저술 가운데 『금광명최승왕경약찬』은 대정신수대장경간행회에 대장경 미수록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서지 사항
『속장경』 제1편 35투 5책을 저본으로 삼아 『신수대장경』 제38권과 대조, 교감. 필사본이 일본 교토(京都)대학에 소장되어 있다.
3. 구성과 내용
『속장경』 제1편 35투 5책을 저본으로 삼아 『신수대장경』 제38권과 대조, 교감. 필사본이 일본 교토(京都)대학에 소장되어 있다.『삼미륵경소』는 『미륵상생경요간기彌勒上生經料簡記』ㆍ『미륵하생경소彌勒下生經疏』ㆍ『불설미륵성불경소佛說彌勒成佛經疏』의 합본으로, 『상생경』과 『하생경』ㆍ『성불경』에 대한 주석서를 엮은 것이다.<개행>먼저 세 경 전체를 대상으로 한 총설로서, 가르침을 펼친 이유(述敎興緣起), 경의 종체(廣辨經宗體), 경의 판본(經本單重)을 설명한 뒤 경별로 제목과 본문을 하나씩 풀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불교전서』 편집 체제로, ① 총설 9단, ② 『상생경』 27단(①, ②가 『미륵상생경요간기』), ③ 『하생경』 16단(『미륵하생경소』), ④ 『성불경』 7단(『불설미륵성불경소』)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삼미륵경소』에서는 도솔천 왕생이 쉽다는 점을 명확히 하면서 왕생의 주체인 중생의 발심發心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개행>경흥은 혜균慧均ㆍ원효元曉ㆍ규기窺基 등의 미륵 주석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미륵경』을 자세히 풀이하였다. 『미륵경』의 종체宗體, 대승ㆍ소승의 여부, 미륵의 출세出世 시기, 석가와 미륵의 발심發心 및 성불成佛 시기의 선후 등 미륵 주석서에서 주요하게 다룬 문제들을 빼놓지 않고 거론하면서, 기존의 견해를 『불지경론佛地經論』 등에 의거하여 철저하게 고증하였다. 글의 구성 방식이나 용어 표기 등은 규기를 많이 따르고 있지만, 사상 맥락상 원효의 견해와 일치하는 부분도 많다. 하지만 때로는 원효와 규기를 모두 비판하고 있다. 『삼미륵경소』는6~7세기 동아시아 미륵사상의 결정판이라 평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