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승기신론소기회본(大乘起信論疏記會本)

1. 저자
원효元曉(617~686) 시호는 화쟁 국사和諍國師, 속성은 설薛. 15세 전후에 출가하였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을 시도하였으나 ‘마음 밖에 법이 없다(三界唯心 萬法唯識)’라는 것을 깨닫고 마음을 바꾸었다. 그 후 수많은 다양한 저술을 남겼는데, 저술의 특징으로 ‘종요宗要’와 ‘대의大義’라는 형식과 체재를 들 수 있으며, 일심에 바탕을 둔 화회和會, 화쟁和諍 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분황사芬皇寺에서 『화엄경』「십회향품」을 주석한 후 절필하고는 무애행으로 민중 교화에 헌신하였다.
2. 서지 사항
중국 금릉각경처金陵刻經處에서 발행한 『대승기신론소기회본』 활자본을 복각한 판목이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이 해인사 목판본을 『속장경』 수록본과 교감하여 수록. 회본의 성립 경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3. 구성과 내용
기본적으로 『기신론소起信論疏』의 체재를 따르면서 『기신론소』의 해당 부분에 『별기別記』의 문장을 회본會本한 형태이다. 따라서 구성과 내용은 『기신론소』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기신론소』의 경우는 전문이 회본에 포함되었고, 『기신론소』의 해당 부분에 『별기』의 내용을 합본하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별기』의 내용을 전부 그대로 반영하지는 않았다.
회본에서 『별기』의 내용이 추가된 부분은 『기신론소』의 문文과 『별기』의 문文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 부분, 그리고 『기신론소』에서 『별기』에 자세한 설명을 미룬 부분 등이다. 그러나 『별기』의 전문이 회본에 포함된 것은 아니며, 편집자의 입장에 의해서 『별기』의 문장이 삭제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기』와 『기신론소』의 입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별기』의 해당 문장이 삭제된 경우 역시 존재한다.
회본이라고 하더라도, 회본한 편집자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어서 부분적으로는 저자인 원효의 본래 의도를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 부분들이 존재한다. 『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주석 중에 『기신론소』가 최종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효의 『기신론』에 대한 관점은 『기신론소』의 관점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기신론소』에서 『별기』 등에 미룬 부분에 한정하여 『별기』 등의 문文을 채용하는 것이 『기신론소』와 『별기』를 회본하는 정당한 관점일 것이다. 그러나 『회본』에는 그러한 관점의 같고 다른 부분이 드러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