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원효元曉(617~686) 시호는 화쟁 국사和諍國師, 속성은 설薛. 15세 전후에 출가하였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을 시도하였으나 ‘마음 밖에 법이 없다(三界唯心 萬法唯識)’라는 것을 깨닫고 마음을 바꾸었다. 그 후 수많은 다양한 저술을 남겼는데, 저술의 특징으로 ‘종요宗要’와 ‘대의大義’라는 형식과 체재를 들 수 있으며, 일심에 바탕을 둔 화회和會, 화쟁和諍 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분황사芬皇寺에서 『화엄경』「십회향품」을 주석한 후 절필하고는 무애행으로 민중 교화에 헌신하였다.
2. 서지 사항
『속장경』 제1편 38투 2책 수록본을 저본으로하여 『신수대장경』 제33권 수록본과 대조, 교감.
3. 구성과 내용
『대혜도경大慧度經』(큰 지혜로 생사의 바다를 건넘에 대해 설하는 경전)의 핵심 요지를 설한 것이다. 『대혜도경』은 당나라 현장 법사玄奘法師가 663년에 번역한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을 말한다. 『대혜도경종요』는 6문으로 나뉘어 있으니, ① 대의大意, ② 경의 종지(經宗), ③ 경의 제목 해석(釋題目), ④ 경을 설한 연기를 밝힘(明緣起), ⑤ 교상판석(敎判), ⑥ 문장의 해석(消文)이다. 그런데 마지막 ⑥의 주석 내용은 남아 있지 않다.
반야(지혜)란 “아는 바가 없으므로 알지 못하는 것도 없다(由無所知無所不知).”, 바라밀(到彼岸) 역시 “이르는 바가 없으므로 이르지 못하는 바도 없다(無所到故無所不到).”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마하반야바라밀을 ‘대혜도’라고 번역하였으니, 원효의 화회和會 정신이 담긴 신라시대 반야사상을 알 수 있다.